하늘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근대 서양 과학사상
한국과학사상사

- 제목
- 한국과학사상사
- 저자
- 박성래 저
- 발행처
- 책과함께
- 발행년도
- 2015-05-1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과학 - [KRpia 기본분류]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KDC ] 철학 > 철학의 체계
제품소개
이 제품에서는 자연현상에 대한 기록과 그에 대한 태도 등을 소개하며 하늘의 과학사상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천문 현상을 시작으로 하여, 지상의 자연현상을 개별적으로 살펴본 후 종합 검토하였다. 조선 후기까지의 자료를 다루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17세기 이후 서양의 근대적인 과학사상과 접촉하기 이전의 모습을 서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수록내용
- 들어가며
- 1부 하늘의 과학사상
- 1장 해에 관한 생각
- 1. 일식 이야기
- 2. 그 밖의 여러 가지 일변(日變)
- 1) 해가 둘 또는 셋이 되는 경우
- 2) 해가 광채를 잃다
- 3) 태양 흑점
- 4) 햇무리와 백홍관일
- 2장 달에 관한 생각
- 1. 월식
- 2. 그 밖의 월변
- 3장 별에 관한 생각
- 1. 달이 행성을 가리다
- 2. 행성들의 접근
- 3. 행성들의 모임
- 4. 별이 낮에 나타나다
- 5. 혜성, 패성, 치우기
- 6. 객성
- 7. 유성
- 8. 상서로운 별(瑞星)
- 1) 노인성
- 2) 영성
- 3) 그 밖의 상서로운 별들
- 4장 그 밖의 하늘의 변이들
- 1. 천둥, 번개, 벼락: 조선시대 이전
- 2. 천둥, 번개, 벼락: 조선시대 이후
- 2부 재이의 과학사상
- 1장 천(天)ㆍ재(災)ㆍ지(地)ㆍ변(變)
- 1. 가뭄
- 1) 삼국시대
- 2) 고려시대
- 3) 조선시대 초기
- 2. 지진 및 기타 지변
- 3. 화재
- 4. 벌레(곤충)의 재해
- 1) 황충
- 2) 송충과 그 밖의 곤충
- 2장 상서로운 이변과 현상
- 1. 다산: 세쌍둥이, 네쌍둥이, 다섯쌍둥이
- 1) 한국사 속의 쌍둥이 기록
- 2) 다산 기록의 특징
- 3) 쌍둥이에 대한 태도 변화
- 4) 재앙으로서의 세쌍둥이
- 참고 : 한국사 속의 다산 기록
- 2. 상서로운 자연현상: 서성, 가화, 사리, 감로, 흰 동물 등
- 1) 노인성 등 천문상의 상서
- 2) 가화와 서지: 연리와 도리화
- 3) 상서로운 동물
- 4) 사리와 감로
- 3장 암탉이 수탉으로 변하는 변괴
- 1. 고려시대의 닭에 관한 이변
- 2. 조선시대의 닭에 관한 이변
- 1) 중종
- 2) 명종대
- 3) 선조 대
- 4) 현종 대
- 3. 닭의 변이에 대한 일반적인 검토
- 4장 유교에서의 재이사상
- 1. 중국 역사 속의 자연관
- 1) 동중서
- 2) 한유
- 3) 주희
- 4) 비판적 전통: 왕충, 유종원, 왕안석
- 2. 고려시대까지의 자연관과 유교
- 3. 조선 초기의 재이와 그에 대한 반응
- 1) 불교적 반응
- 2) 지리도참과 재이
- 3) 도교적 반응
- 4. 조선 초기의 재이와 왕권
- 1) 제후(천자의 대리자)로서의 조선 임금
- 2) 천명과 조선의 임금
- 3) 원단과 왕권
- 4) 조선의 시조 단군
- 5) 분야설과 조선
- 6) 재이와 조선의 왕권
- 5장 조선 초기의 정치와 재이
- 1. 조선의 유교화와 '재이의 정치'
- 1) 정도전의 유산
- 2) 이방원의 반발과 재이론 수용
- 3) 세종 초 양상(兩上) 시대의 재이와 정치
- 4) 모범과 교훈으로서의 역사: 세종 대에 확립된 재이사상
- 2. 유교의 재이론에 대한 수정과 저항: 세조와 연산군 시대
- 1) 재이에 대한 세조의 소극적 저항
- 2) 세조 대에 빈번해진 상서 기록
- 3) 성종 대의 재이론 전개
- 4) 재이사상과 '소인론(小人論)'의 등장
- 5) 연산군의 적극적인 재이론 비판
- 6) 연산군의 재이론 부정
- 7) 갑자사화 이후 연산군의 재이론 부정과 실각
- 8) 중종 대의 재이론 부활
- 보론
- 1. 한국사의 자연현상 기록과 그 정확성
- 2. 삼국 및 고려시대의 자연관
- 3. 조선 초의 자연관 변화와 유교의 신유교화
- 4. 자연관과 과학의 탐구
- 저자 후기
- 주
- 1부 하늘의 과학사상
- 1장 해에 관한 생각
- 1. 일식 이야기
- 2. 그 밖의 여러 가지 일변(日變)
- 1) 해가 둘 또는 셋이 되는 경우
- 2) 해가 광채를 잃다
- 3) 태양 흑점
- 4) 햇무리와 백홍관일
- 2장 달에 관한 생각
- 1. 월식
- 2. 그 밖의 월변
- 3장 별에 관한 생각
- 1. 달이 행성을 가리다
- 2. 행성들의 접근
- 3. 행성들의 모임
- 4. 별이 낮에 나타나다
- 5. 혜성, 패성, 치우기
- 6. 객성
- 7. 유성
- 8. 상서로운 별(瑞星)
- 1) 노인성
- 2) 영성
- 3) 그 밖의 상서로운 별들
- 4장 그 밖의 하늘의 변이들
- 1. 천둥, 번개, 벼락: 조선시대 이전
- 2. 천둥, 번개, 벼락: 조선시대 이후
- 2부 재이의 과학사상
- 1장 천(天)ㆍ재(災)ㆍ지(地)ㆍ변(變)
- 1. 가뭄
- 1) 삼국시대
- 2) 고려시대
- 3) 조선시대 초기
- 2. 지진 및 기타 지변
- 3. 화재
- 4. 벌레(곤충)의 재해
- 1) 황충
- 2) 송충과 그 밖의 곤충
- 2장 상서로운 이변과 현상
- 1. 다산: 세쌍둥이, 네쌍둥이, 다섯쌍둥이
- 1) 한국사 속의 쌍둥이 기록
- 2) 다산 기록의 특징
- 3) 쌍둥이에 대한 태도 변화
- 4) 재앙으로서의 세쌍둥이
- 참고 : 한국사 속의 다산 기록
- 2. 상서로운 자연현상: 서성, 가화, 사리, 감로, 흰 동물 등
- 1) 노인성 등 천문상의 상서
- 2) 가화와 서지: 연리와 도리화
- 3) 상서로운 동물
- 4) 사리와 감로
- 3장 암탉이 수탉으로 변하는 변괴
- 1. 고려시대의 닭에 관한 이변
- 2. 조선시대의 닭에 관한 이변
- 1) 중종
- 2) 명종대
- 3) 선조 대
- 4) 현종 대
- 3. 닭의 변이에 대한 일반적인 검토
- 4장 유교에서의 재이사상
- 1. 중국 역사 속의 자연관
- 1) 동중서
- 2) 한유
- 3) 주희
- 4) 비판적 전통: 왕충, 유종원, 왕안석
- 2. 고려시대까지의 자연관과 유교
- 3. 조선 초기의 재이와 그에 대한 반응
- 1) 불교적 반응
- 2) 지리도참과 재이
- 3) 도교적 반응
- 4. 조선 초기의 재이와 왕권
- 1) 제후(천자의 대리자)로서의 조선 임금
- 2) 천명과 조선의 임금
- 3) 원단과 왕권
- 4) 조선의 시조 단군
- 5) 분야설과 조선
- 6) 재이와 조선의 왕권
- 5장 조선 초기의 정치와 재이
- 1. 조선의 유교화와 '재이의 정치'
- 1) 정도전의 유산
- 2) 이방원의 반발과 재이론 수용
- 3) 세종 초 양상(兩上) 시대의 재이와 정치
- 4) 모범과 교훈으로서의 역사: 세종 대에 확립된 재이사상
- 2. 유교의 재이론에 대한 수정과 저항: 세조와 연산군 시대
- 1) 재이에 대한 세조의 소극적 저항
- 2) 세조 대에 빈번해진 상서 기록
- 3) 성종 대의 재이론 전개
- 4) 재이사상과 '소인론(小人論)'의 등장
- 5) 연산군의 적극적인 재이론 비판
- 6) 연산군의 재이론 부정
- 7) 갑자사화 이후 연산군의 재이론 부정과 실각
- 8) 중종 대의 재이론 부활
- 보론
- 1. 한국사의 자연현상 기록과 그 정확성
- 2. 삼국 및 고려시대의 자연관
- 3. 조선 초의 자연관 변화와 유교의 신유교화
- 4. 자연관과 과학의 탐구
- 저자 후기
-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