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적 보수주의의 역사/사상적 근원을 다루다
미국-보수적 정치문명의 사상과 역사

- 제목
- 미국-보수적 정치문명의 사상과 역사
- 저자
- 권용립 저
- 발행처
- 역사비평사
- 발행년도
- 2012-10-24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서양사/세계사 - [KRpia 기본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KDC ] 사회과학 > 사회과학
제품소개
제목이 암시하듯 미국은 ‘보수적’인 나라다.
이 보수성의 역사적 사상적 근원과 그 사적 표출을 보는 것이 이 책의 내용이다.
따라서 미국 사학계나 정치학계에서 미국적 정신의 근원으로 상정되어 온 자유주의 공화주의, 캘빈주의 모두가
사실은 미국적인 의무의 보수성, 즉 미국적 보수주의(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을 유발한 이념적 계기로 작동했음을 밝히고,
이 미국적 보수주의가 미국정치사와 대외정책사에 어떤 모양으로 표출되어 왔는지를
미국의 국사학 연구 조류를 토대로 보려는 것이다.
제3장까지는 일반 독자들이 읽기에 부담스러운 내용이나 개념이 자주 등장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차피 세계의 미국정치론 교재들이 대개 미국정치의 제도만 다루는 편파성을 보이면서
미국 그 자체에 대한 총괄적 논의를 경시해 왔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 책의 전반부는 그 논리적 엄밀성이 약하더라도 미국의 보수성을 이론적으로 도출해내는 중요한 부분이다.
차분히 되새기면서 읽어나가면 독자들이 이해하고 비판할 수 있는 내용임을 알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보수성의 역사적 사상적 근원과 그 사적 표출을 보는 것이 이 책의 내용이다.
따라서 미국 사학계나 정치학계에서 미국적 정신의 근원으로 상정되어 온 자유주의 공화주의, 캘빈주의 모두가
사실은 미국적인 의무의 보수성, 즉 미국적 보수주의(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을 유발한 이념적 계기로 작동했음을 밝히고,
이 미국적 보수주의가 미국정치사와 대외정책사에 어떤 모양으로 표출되어 왔는지를
미국의 국사학 연구 조류를 토대로 보려는 것이다.
제3장까지는 일반 독자들이 읽기에 부담스러운 내용이나 개념이 자주 등장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차피 세계의 미국정치론 교재들이 대개 미국정치의 제도만 다루는 편파성을 보이면서
미국 그 자체에 대한 총괄적 논의를 경시해 왔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 책의 전반부는 그 논리적 엄밀성이 약하더라도 미국의 보수성을 이론적으로 도출해내는 중요한 부분이다.
차분히 되새기면서 읽어나가면 독자들이 이해하고 비판할 수 있는 내용임을 알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수록내용
●앞 머리에 붙이는 글
●책을 펴내면서
●제1장 ‘보수적 아메리카니즘(미국적 보수주의)’을 발견하기 위한 이론적 전제
1. ‘미국적 이념’ 연구의 필요성
2. 미국 연구의 역사와 현황
3. ‘예외적인 나라’ 미국의 본원적 보수성 - ‘바깥’의 눈에 비친 미국의 ‘합의이론’
4. 왜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인가 - 자유주의, 공화주의, 캘빈주의의 융합으로서의 미국 정치와 대외정책 이데올로기
5. 이 책의 구성
●제2장 미국의 보수성, 그 이념적 뿌리 _ 자유주의·공화주의·캘빈주의와 관련한 미국 사학계의 논의를 토대로
1. 합의사학 - 미국 사학계 내부의 이론전개
2. ‘자유주의적 합의사학’의 내용과 전개과정
3. ‘공화주의적 합의사학’의 내용과 전개과정
4. 캘빈주의 - 미국의 우월의식 및 팽창성향과 연관해서
●제3장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의 형성 _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융합과 긴장
1.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융합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이론 경향
2.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융합 - ‘개인의 덕성’에서 ‘사회의 덕성’으로
●제4장 미국사에 나타난 보수적 아메리카니즘
1. 형성기 미국의 보수성 - 독립혁명과 연방헌법
2. 우월의식과 회귀의식 -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의 편집증
3.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의 ‘반평등적 평등관’ 및 엘리트주의의 전개과정
4.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의 내부긴장 - 공화주의적 덕성관념과 자유주의적 사익관념의 대립이 빚어내는 주기적 개혁이념의 본질
●제5장 미국 대외정책에 나타나는 보수적 아메리카니즘
1. 미국 대외정책론과 보수적 아메리카니즘
2. 보수적 메시아니즘 - 도덕주의적 절대주의(Moralistic Absolutism)
3. 미국의 ‘팽창성향’에 대한 또 하나의 설명 - 보수적 아메리카니즘 내부 긴장의 대외적 표출
4.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의 국제정치이념 - 보수적 팽창주의
●결론 _ 보수적 아메리카니즘과 미국적 전통
●참고문헌
●색인
●책을 펴내면서
●제1장 ‘보수적 아메리카니즘(미국적 보수주의)’을 발견하기 위한 이론적 전제
1. ‘미국적 이념’ 연구의 필요성
2. 미국 연구의 역사와 현황
3. ‘예외적인 나라’ 미국의 본원적 보수성 - ‘바깥’의 눈에 비친 미국의 ‘합의이론’
4. 왜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인가 - 자유주의, 공화주의, 캘빈주의의 융합으로서의 미국 정치와 대외정책 이데올로기
5. 이 책의 구성
●제2장 미국의 보수성, 그 이념적 뿌리 _ 자유주의·공화주의·캘빈주의와 관련한 미국 사학계의 논의를 토대로
1. 합의사학 - 미국 사학계 내부의 이론전개
2. ‘자유주의적 합의사학’의 내용과 전개과정
3. ‘공화주의적 합의사학’의 내용과 전개과정
4. 캘빈주의 - 미국의 우월의식 및 팽창성향과 연관해서
●제3장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의 형성 _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융합과 긴장
1.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융합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이론 경향
2.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융합 - ‘개인의 덕성’에서 ‘사회의 덕성’으로
●제4장 미국사에 나타난 보수적 아메리카니즘
1. 형성기 미국의 보수성 - 독립혁명과 연방헌법
2. 우월의식과 회귀의식 -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의 편집증
3.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의 ‘반평등적 평등관’ 및 엘리트주의의 전개과정
4.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의 내부긴장 - 공화주의적 덕성관념과 자유주의적 사익관념의 대립이 빚어내는 주기적 개혁이념의 본질
●제5장 미국 대외정책에 나타나는 보수적 아메리카니즘
1. 미국 대외정책론과 보수적 아메리카니즘
2. 보수적 메시아니즘 - 도덕주의적 절대주의(Moralistic Absolutism)
3. 미국의 ‘팽창성향’에 대한 또 하나의 설명 - 보수적 아메리카니즘 내부 긴장의 대외적 표출
4. 보수적 아메리카니즘의 국제정치이념 - 보수적 팽창주의
●결론 _ 보수적 아메리카니즘과 미국적 전통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