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법원·검찰에 관한 법제와 실무를 지배하는 의식과 관행의 기원을 추적하다

법원과 검찰의 탄생 - 사법의 역사로 읽는 대한민국

제목
법원과 검찰의 탄생 - 사법의 역사로 읽는 대한민국
저자
문준영 저
발행처
역사비평사
발행년도
2012-10-3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법
  • [KRpia 기본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KDC ] 사회과학 > 사회과학

제품소개

〈법원과 검찰의 탄생〉은 한국의 사법제도를 구성하는 기본적 법제와 관념들의 계보,

특히 법원·검찰에 관한 법제와 실무를 지배하는 의식과 관행이 어디에서 기원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추적하고 있다.

구한말, 일제시대, 미군정기와 정부수립 이후까지, 각 시기 핵심적 법령의 입법과정과 이를 둘러싼 정치적 역학관계를 밝힘으로써 결국에는 우리 사법제도의 명과 암을 들여다본다.



우리 사법제도의 문제점을 표현하는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작은 사법’, ‘관료사법’, ‘검찰사법’, 시민적 기반의 결여, 권위주의와 엘리트주의, 관료주의와 복종문화, 탈정치성의 가면을 쓴 정치적 편협성, 법조삼륜의 이익동맹구조 등이다. 핵심은 ‘사법민주화’를 이뤄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시대, 법원과 검찰은 엄정한 ‘탈정치성’, ‘정치적 중립성’을 내세우며 자신의 권위를 강변해왔지만, 그 역사는 곧 사법이 정권의 이해에 휘둘린 어두운 역사이기도 했다.

이제 다시 사법에서 대표성을 구현하고, 고질적인 사법불신을 해소, 사법이 정당성과 권위를 회복해야 한다.

수록내용

●책머리에

●서론

●제1부 전통에서 근대로

도론 _ 근대 초 한국에서 사법 근대화의 의미

1장 사법의 전통과 근대

2장 개화파의 ‘사상’ 속의 법과 재판

3장 갑오개혁과 재판소구성법의 ‘출현’

4장 대한제국기의 사법제도 - 전통의 근대적 변용과 그 한계

●제2부 사법의 식민지적 근대, 1905~1945

도론 _ 일본의 제국적 법질서와 식민지 사법

5장 식민지형 사법제도의 형성과 확산

6장 일제의 한국 사법권 침탈과 사법제도 ‘개량’

7장 식민지통치체제하의 사법구조

8장 일본의 ‘검찰사법’적 사법제도의 전개

9장 조선형사령과 식민지 형사사법

●제3부 헌정과 사법, 1945~

도론 _ ‘헌법투쟁’으로서의 사법제도 개편과정

10장 미군정기 남한 사법기구의 재건

11장 형사사법제도의 개혁을 향하여

12장 사법권 독립, 독점, 민주화 - 법원조직법의 제정과정

13장 검찰권 강화의 욕망과 현실 - 검찰청법 제정과정

14장 권위주의 정권하의 법원과 검찰

●결론

●부록

한국 근대 사법사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