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 오행, 시간에 대한 설명서
자연, 사람 그리고 한의학

- 제목
- 자연, 사람 그리고 한의학
- 저자
- 김명호 저
- 발행처
- 역사비평사
- 발행년도
- 2008-02-2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의학 - [KRpia 기본분류] 자연과학 > 의학
- [KDC ] 기술과학 > 의학
제품소개
〈지구와 음양오행〉에서는 음양과 오행, 그리고 시간에 대한 설명을, 〈자연과 사람〉에서는 지구를 닮은 사람의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다룬다.
『한의학과 음양오행』에서는 자연인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한의학의 이치를 설명하고, 〈음식과 음양오행〉에서는 우리나라 음식을 만드는 이치를 설명한다.
〈체질과 사상의학〉에서는 우리나라의 독창적 체질론 인 '사상의학'을 설명하고, 『한의학과 음양오행』에서는 한글을 만든 이치를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우리의 교육과 미래〉에서는 앞서 살펴본 '생명관', '자연관', '인간관'의 시점에 서서 우리가 해야 할 일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우리 민족 전통의 관점에서 생각한 것으로 우리가 오랜 세월동안 형성하고 이어온 우리의 관점과 사고방식과 가치관이 100년 전이 아닌 20세기의 끝인 이 시점에서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해준다.
『한의학과 음양오행』에서는 자연인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한의학의 이치를 설명하고, 〈음식과 음양오행〉에서는 우리나라 음식을 만드는 이치를 설명한다.
〈체질과 사상의학〉에서는 우리나라의 독창적 체질론 인 '사상의학'을 설명하고, 『한의학과 음양오행』에서는 한글을 만든 이치를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우리의 교육과 미래〉에서는 앞서 살펴본 '생명관', '자연관', '인간관'의 시점에 서서 우리가 해야 할 일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우리 민족 전통의 관점에서 생각한 것으로 우리가 오랜 세월동안 형성하고 이어온 우리의 관점과 사고방식과 가치관이 100년 전이 아닌 20세기의 끝인 이 시점에서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해준다.
수록내용
책을 내면서
지구와 음양오행
1. 지구의 구성
2. 지구의 자전
3. 사람의 인식
4. 자전에 의한 현상
5. 자전과 음양
6. 지구의 공전
7. 지구의 공전과 오행
8. 오행의 상생과 상극
9. 시간
생명과 사람
1. 몸
2. 마음
3. 바른 삶
자연과 사람
한의학과 음양오행
1. 한의학의 정의
2. 한의학의 대상과 주체
3. 한의학의 이론체계
4. 사람의 음양
5. 사람의 오행
6. 마음과 몸의 정상작용
7. 몸의 정상작용
8. 몸의 비정상작용-병인
9. 병증
10. 진법
11. 치법
12. 치료방법
13. 검증
14. 제도의 확립
음식과 음양오행
체질과 사상의학
1. 사상
2. 천지의 사상
3. 사람의 사상
4. 사상인
5. 사상인 변증
6. 광제설
한글과 음양오행
1. 이치
2. 초성
3. 중성
4. 종성
5. 요결
6. 정인지 글
우리의 교육과 미래
1. 인성교육
2. 가정교육
3. 현행교육의 문제
4. 과정교육
5. 우리가 할 일
지구와 음양오행
1. 지구의 구성
2. 지구의 자전
3. 사람의 인식
4. 자전에 의한 현상
5. 자전과 음양
6. 지구의 공전
7. 지구의 공전과 오행
8. 오행의 상생과 상극
9. 시간
생명과 사람
1. 몸
2. 마음
3. 바른 삶
자연과 사람
한의학과 음양오행
1. 한의학의 정의
2. 한의학의 대상과 주체
3. 한의학의 이론체계
4. 사람의 음양
5. 사람의 오행
6. 마음과 몸의 정상작용
7. 몸의 정상작용
8. 몸의 비정상작용-병인
9. 병증
10. 진법
11. 치법
12. 치료방법
13. 검증
14. 제도의 확립
음식과 음양오행
체질과 사상의학
1. 사상
2. 천지의 사상
3. 사람의 사상
4. 사상인
5. 사상인 변증
6. 광제설
한글과 음양오행
1. 이치
2. 초성
3. 중성
4. 종성
5. 요결
6. 정인지 글
우리의 교육과 미래
1. 인성교육
2. 가정교육
3. 현행교육의 문제
4. 과정교육
5. 우리가 할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