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문화의 꽃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

- 제목
-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
- 저자
- 국립고궁박물관 외 저
- 발행처
- 글항아리
- 발행년도
- 2013-12-1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조선시대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조선시대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국립고궁박물관에서는 올해로 네 번째 왕실문화 기획총서인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을 펴내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베풀어진 중요한 문화예술의 장이었던 잔치를 주제로 2012년에 대중과 만났던 ‘왕실문화 심층탐구’ 교양 강좌를 다듬어 엮고, 풍부한 도판 자료들을 실어 새롭게 선보이는 것입니다.
열두 차례로 진행된 이 강좌는 궁중 연향이 담고 있는 속 깊은 뜻, 그 모든 장면을 세밀한 기록으로 남긴 의궤, 연향의 꽃이 되었던 악기와 음악, 노래樂章와 춤, 참여자들이 입었던 옷 한 벌 한 벌과 그에 새겨진 문양의 위엄과 뜻, 연향에 차려진 각종 음식, 연향 장면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그림 등 잔치와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조선 궁중의 잔치인 연향은 왕실뿐 아니라 온 백성이 각자의 본분을 지키며 함께 기쁨을 나누고자 한 뜻으로 행해진 국가의 중요한 의식이었습니다. 여기에 당대 최고의 장엄하고 우아한 궁중 음악이 곁들여진 것은 물론이고, 춤과 노래로 흥을 돋우며, 시각적으로도 심미성의 극치를 보여준 종합 예술 무대이기도 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조선시대 궁중에서 펼쳐진 우리 궁중 연향의 다양한 면모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생동감 넘치는 연향 분위기를 접해보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국립고궁박물관은 일반인들이 조선 왕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좀 더 폭넓게 이해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왕실문화 기획총서를 펴내며 중에서 -
열두 차례로 진행된 이 강좌는 궁중 연향이 담고 있는 속 깊은 뜻, 그 모든 장면을 세밀한 기록으로 남긴 의궤, 연향의 꽃이 되었던 악기와 음악, 노래樂章와 춤, 참여자들이 입었던 옷 한 벌 한 벌과 그에 새겨진 문양의 위엄과 뜻, 연향에 차려진 각종 음식, 연향 장면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그림 등 잔치와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조선 궁중의 잔치인 연향은 왕실뿐 아니라 온 백성이 각자의 본분을 지키며 함께 기쁨을 나누고자 한 뜻으로 행해진 국가의 중요한 의식이었습니다. 여기에 당대 최고의 장엄하고 우아한 궁중 음악이 곁들여진 것은 물론이고, 춤과 노래로 흥을 돋우며, 시각적으로도 심미성의 극치를 보여준 종합 예술 무대이기도 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조선시대 궁중에서 펼쳐진 우리 궁중 연향의 다양한 면모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생동감 넘치는 연향 분위기를 접해보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국립고궁박물관은 일반인들이 조선 왕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좀 더 폭넓게 이해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왕실문화 기획총서를 펴내며 중에서 -
수록내용
왕실문화 기획총서를 펴내며
책머리에:조선 사람의 생의 기쁨이 되었던 궁중 연향
제1장 조선 궁궐의 잔치, 예와 즐거움이 어우러지다:연향의 모습과 그 뜻(김종수·한서대 학술연구교수)
제2장 치밀한 의궤 기록으로 그린 왕실 연향:잔치의 모든 과정을 기록한 의궤들(김문식·단국대 사학과 교수)
제3장 선율을 주도하여 잔치의 흥을 돋우다:궁중 연향의 악기(송혜진·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
제4장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 여민동락을 실천하다:궁중 연향과 음악(임미선·전북대 한국음악학과 교수)
제5장 궁중 연향에 울려퍼진 노래들:연향과 문학(신경숙·한성대 한국어문학부 교수)
제6장 의복으로 살펴본 조선시대 잔치 풍경:봉수당진찬도 속 인물들의 복식(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원)
제7장 절용의 미덕과 예를 갖춘 상차림:궁중 연향과 음식(김상보·대전보건대 전통조리과 교수)
제8장 정재, 철학과 예술의 극치를 담다:궁중 연향과 춤(박은영·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과 교수)
책머리에:조선 사람의 생의 기쁨이 되었던 궁중 연향
제1장 조선 궁궐의 잔치, 예와 즐거움이 어우러지다:연향의 모습과 그 뜻(김종수·한서대 학술연구교수)
제2장 치밀한 의궤 기록으로 그린 왕실 연향:잔치의 모든 과정을 기록한 의궤들(김문식·단국대 사학과 교수)
제3장 선율을 주도하여 잔치의 흥을 돋우다:궁중 연향의 악기(송혜진·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
제4장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 여민동락을 실천하다:궁중 연향과 음악(임미선·전북대 한국음악학과 교수)
제5장 궁중 연향에 울려퍼진 노래들:연향과 문학(신경숙·한성대 한국어문학부 교수)
제6장 의복으로 살펴본 조선시대 잔치 풍경:봉수당진찬도 속 인물들의 복식(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원)
제7장 절용의 미덕과 예를 갖춘 상차림:궁중 연향과 음식(김상보·대전보건대 전통조리과 교수)
제8장 정재, 철학과 예술의 극치를 담다:궁중 연향과 춤(박은영·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