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명학연구총서 8] 부사 성여신

- 제목
- [남명학연구총서 8] 부사 성여신
- 저자
- 남명학연구원 저,남명학연구원 저
- 발행처
- 예문서원
- 발행년도
- 2017-03-3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부사浮査 성여신成汝信은 남명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지역사회에서 크게 활동했던 인물이다. 그는 안으로 ‘경敬’의 학문을 닦고 밖으로 ‘의義’의 사회적 실천을 구현하여 남명의 ‘경의학敬義學’을 다시 한 번 드러내었다. 비록 벼슬살이는 하지 않았지만, 당대의 정치, 사회적인 사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피력하여 불의와 부정을 질정하려 했으며 지역사회의 교화에도 노력했다. 또한 동약을 결성하고 교육시설을 세워 지역사회의 교화와 후진 양성에 앞장섰으며, 향토 인문지리지의 편찬을 주도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에도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번에 내는 책은 부사 성여신에 관한 기존의 연구 논문들을 선별하여 해당 필자의 수정을 거치고, 아울러 새롭게 원고를 집필하여 부족한 부분들을 보강한 것이다. 물론 이것으로 그의 학문세계에 관한 모든 것이 밝혀진 것은 당연히 아니다. 워낙 갑작스럽게 스러져 간 남명학의 명운에 발맞추어, 다른 남명학 적장자들의 처지와 마찬가지로 성여신 또한 조선 중기 이후로 사상계의 관심 밖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근래 들어 남명학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 가면서 성여신에 대해서도 약간씩 연구가 이루어져 가고 있지만, 경의의 철학자 성여신의 학문과 사상은 여전히 미발굴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이번에 내는 책은 부사 성여신에 관한 기존의 연구 논문들을 선별하여 해당 필자의 수정을 거치고, 아울러 새롭게 원고를 집필하여 부족한 부분들을 보강한 것이다. 물론 이것으로 그의 학문세계에 관한 모든 것이 밝혀진 것은 당연히 아니다. 워낙 갑작스럽게 스러져 간 남명학의 명운에 발맞추어, 다른 남명학 적장자들의 처지와 마찬가지로 성여신 또한 조선 중기 이후로 사상계의 관심 밖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근래 들어 남명학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 가면서 성여신에 대해서도 약간씩 연구가 이루어져 가고 있지만, 경의의 철학자 성여신의 학문과 사상은 여전히 미발굴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수록내용
● 서문
● 제1장 『국역 부사집』 해제∥최석기
1. 번역 저본의 서지사항 및 간행 경위
2. 저자의 생애와 학문
3. 문집의 체제 및 내용
4. 자료의 가치
● 제2장 부사 성여신의 가계와 그의 삶∥박용국
1. 머리말
2. 진주 입향 이전의 가계 변천
3. 진주 입향과 대여촌리 정착의 의미
4. 배움의 과정에서 본 사회적 기반
5. 공부의 장소로서 사찰과 그의 삶
6. 향리 은거와 정치ㆍ사회적 실천
7. 맺음말
● 제3장 부사 성여신의 교학론∥송준식
1. 머리말
2. 교학의 목적
3. 교학의 방법
4. 교학의 내용
5. 맺음말
● 제4장 부사 성여신의 은일정신∥이상원
1. 서언
2. 생애와 사상
3. 향풍의 진흥
4. 결어
● 제5장 부사 성여신의 선불관(仙佛觀)∥김경수
1. 생애의 특징
2. 배척과 이해의 불교관
3. 선유의 도교관
4. 문홍운과 성여신의 지라산 선유시(仙遊詩)
5. 경세의 학문과 선유의 유람
● 제6장 부사 성여신의 지리산 유람과 선취경향∥최석기
1. 머리말
2. 생애 및 문학적ㆍ학문적 성향
3. 산수벽과 지리산 선유시
4. 유선적 선취와 그 의미
5. 맺음말
● 제7장 부사 성여신론∥조구호
1. 머리말
2. 출사의 좌절과 사회적 활동
3. 은둔과 산수유람
4. 마무리
● 제8장 진주지역의 동약과 향촌교화∥황영신
1. 머리말
2. 금산동약과 금산계안
3. 부산 성여신의 교육관과 동약을 통한 향촌교화
4. 맺음말
● 제9장 「계서록」을 통해 본 부사 성여신의 우정과 신의∥전병철
1. 머리말
2. 계서회의 결성 배경
3. 계서회의 회합과 그 내용
4. 맺음말
● 제10장 『진양지』의 내용적 특징과 그 의미∥강문식
1. 머리말
2. 『진양지』의 항목 구성과 특징
3. 『진양지』의 내용 분석과 특징
4. 맺음말
● 제1장 『국역 부사집』 해제∥최석기
1. 번역 저본의 서지사항 및 간행 경위
2. 저자의 생애와 학문
3. 문집의 체제 및 내용
4. 자료의 가치
● 제2장 부사 성여신의 가계와 그의 삶∥박용국
1. 머리말
2. 진주 입향 이전의 가계 변천
3. 진주 입향과 대여촌리 정착의 의미
4. 배움의 과정에서 본 사회적 기반
5. 공부의 장소로서 사찰과 그의 삶
6. 향리 은거와 정치ㆍ사회적 실천
7. 맺음말
● 제3장 부사 성여신의 교학론∥송준식
1. 머리말
2. 교학의 목적
3. 교학의 방법
4. 교학의 내용
5. 맺음말
● 제4장 부사 성여신의 은일정신∥이상원
1. 서언
2. 생애와 사상
3. 향풍의 진흥
4. 결어
● 제5장 부사 성여신의 선불관(仙佛觀)∥김경수
1. 생애의 특징
2. 배척과 이해의 불교관
3. 선유의 도교관
4. 문홍운과 성여신의 지라산 선유시(仙遊詩)
5. 경세의 학문과 선유의 유람
● 제6장 부사 성여신의 지리산 유람과 선취경향∥최석기
1. 머리말
2. 생애 및 문학적ㆍ학문적 성향
3. 산수벽과 지리산 선유시
4. 유선적 선취와 그 의미
5. 맺음말
● 제7장 부사 성여신론∥조구호
1. 머리말
2. 출사의 좌절과 사회적 활동
3. 은둔과 산수유람
4. 마무리
● 제8장 진주지역의 동약과 향촌교화∥황영신
1. 머리말
2. 금산동약과 금산계안
3. 부산 성여신의 교육관과 동약을 통한 향촌교화
4. 맺음말
● 제9장 「계서록」을 통해 본 부사 성여신의 우정과 신의∥전병철
1. 머리말
2. 계서회의 결성 배경
3. 계서회의 회합과 그 내용
4. 맺음말
● 제10장 『진양지』의 내용적 특징과 그 의미∥강문식
1. 머리말
2. 『진양지』의 항목 구성과 특징
3. 『진양지』의 내용 분석과 특징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