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강의총서 7] 송석구 교수의 불교와 유교 강의

제목
[강의총서 7] 송석구 교수의 불교와 유교 강의
저자
송석구 저,송석구 저
발행처
예문서원
발행년도
2017-03-3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불교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저자 송석구 교수는 불교와 유교의 융섭을 이루어 새로운 철학을 정립해 내고자 힘써 온 원로 학자이다. 그는 불교철학과 성리학의 영역을 넘나들며 일심 및 리기의 문제 등에 대한 해명을 시도해 왔고, 그 결과로 자신의 철학적 체험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여 한 권의 책으로 엮어 내었다.

이 책은 1987년 사사연에서 펴낸 『한국의 유불사상』의 전면개정판이다. 저자는 자신의 학문 역정을 대표할 만한 저작으로 『한국의 유불사상』과 『율곡의 철학 사상 연구』의 두 책을 선정하여 동시 발간을 준비해 왔다. 이 책과 함께 선보이는 『율곡의 철학 사상 연구』의 개정판은 『송석구 교수의 율곡철학 강의』라는 제목으로 바뀌었다.

수록내용

● 개정판 서문

● 체험의 철학

● I. 조선시대의 불교와 유교의 논쟁

1. 성리학적 이념의 역사적 의의

2. 성리학 전성기의 배불론

3. 임란 이후의 유불대론

4. 결론

● II. 불교와 유교의 인간관

1. 서언

2. 인간에 대한 개념 정의

3. 인간의 본질 및 본성관

4. 유·불의 동이

5. 결론

● III. 한국불교에서의 지와 행

1. 깨달음과 실천

2. 원효의 지관쌍운

3. 의천의 교관병수

4. 지눌의 선교일원

5. 서산의 선교관

6. 선禪과 교敎는 각覺의 방법

● IV. 지눌의 인간관

1. 생애와 사상단계

2. 『수심결』의 구성

3. 지눌의 인간관

4. 불은 생사와 열반 초월

● V. 지눌의 『간화결의론』 소고

1. 서언

2. 지눌의 교선일원관

3. 지눌의 『간화결의론』

4. 결어

● VI. 불교의 인성론 -『대승기신론』을 중심으로

1. 서언

2. 인간의 존재구조

3. 연기와 무명

4. 인간성의 본래성과 현실성

5. 여래장과 불성

6. 결론

● VII. 불교와 율곡철학

1. 서론

2. 입산 동기

3. 「풍악증소암노승」

4. 삼요와 삼불

5. 정심

6. 공병의 비유와 기발리승

7. 결론

● VIII. 불교의 효도관 - 불교적 효와 유교적 효

1. 서론

2. 유교적 효

3. 불교적 효

4. 불교적 효와 유교적 효의 현대적 조화

● IX. 원효와 지눌의 염불관

1. 머리말

2.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

3. 『능엄경』의 관세음보살

4. 신라의 관음신앙

5. 원효의 염불론

6. 지눌의 염불론

7. 결론

● X. 율곡과 원효 - 이통기국과 일심이문의 실천적 수행의 유사성

1. 서론

2. 성인과 불각

3. 원효의 일심이문

4. 율곡의 이통기국

5. 이통기국과 일심이문

6. 율곡의 인심?도심과 원효의 심진여·심생멸

● XI. 인성교육

1. 들어가는 글

2. 인간 본성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그 비판

3. 신라·고려 시대의 인성이해와 인성교육

4. 조선시대의 인성이해와 그 교육

5. 오늘의 인성이해와 인성교육

● 참고문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