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총서 39] 북송 초기의 삼교회통론

- 제목
- [연구총서 39] 북송 초기의 삼교회통론
- 저자
- 김경수 저,김경수 저
- 발행처
- 예문서원
- 발행년도
- 2017-03-29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동양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중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필자의 이 연구는, 유불도가 함께 허용되면서 또한 불교와 도교가 서로의 우월성을 주장하기 위하여 교리논쟁을 벌이고, 당나라 말기에 이르러 도교보다 상대적으로 세력이 커진 불교에 대해 도교 측에서 모략을 통해 무참한 피해를 입힌 후, 마침내 오대십국시대를 거쳐 북송에 이르면서 새로운 양상으로 모습을 드러낸 유불도가 스스로의 정체성을 어떻게 확립하고, 나아가 다른 종교에 대해서 어떤 입장을 가지게 되었는가에 대한 하나의 탐색이다. 필자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를 앞으로도 계속 진행할 생각이다. 이를 통하여 인간의 개별적 지성과 보편적 지성인 신성이 어떤 모습으로 자기를 발현하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다행히 최근에 같은 분야에 관심을 가진 한 분을 만났는데, 이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중국 삼교 교섭의 역사를 제대로 정리해 보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로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 〈서:철학이 종교에게〉 중에서 -
수록내용
● 서:철학이 종교에게
● 제1장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
1. 여행, 다양성과 유사성
2. 수양과 수행 그리고 수련
3. 북송 초기의 계숭과 장백단
4. 기존의 연구들
● 제2장 삼교교섭의 역사와 유형
1. 삼교교섭의 역사적 맥락
2. 삼교의 이념적 대립양상
3. 삼교교섭의 유형과 특징
4. 북송 초기 삼교론의 양상
● 제3장 계숭의 삼교융회론과 호불사상
1. 생애와 저술
2. 삼교회통론
3. 호불사상
● 제4장 장백단의 삼교귀일론과 내단사상
1. 생애와 저술
2. 삼교귀일론
3. 내단사상
● 제5장 결론
1. 계숭과 장백단의 삼교회통론 비교
2. 호불사상과 내단사상의 특징
3. 역사적 의의 및 영향
● 부록:지리산과 유불도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제1장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
1. 여행, 다양성과 유사성
2. 수양과 수행 그리고 수련
3. 북송 초기의 계숭과 장백단
4. 기존의 연구들
● 제2장 삼교교섭의 역사와 유형
1. 삼교교섭의 역사적 맥락
2. 삼교의 이념적 대립양상
3. 삼교교섭의 유형과 특징
4. 북송 초기 삼교론의 양상
● 제3장 계숭의 삼교융회론과 호불사상
1. 생애와 저술
2. 삼교회통론
3. 호불사상
● 제4장 장백단의 삼교귀일론과 내단사상
1. 생애와 저술
2. 삼교귀일론
3. 내단사상
● 제5장 결론
1. 계숭과 장백단의 삼교회통론 비교
2. 호불사상과 내단사상의 특징
3. 역사적 의의 및 영향
● 부록:지리산과 유불도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