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불교총서 17] 불교인식론

제목
[불교총서 17] 불교인식론
저자
S.R.Bhatt 저,S.R.Bhatt 저
발행처
예문서원
발행년도
2017-03-29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불교
  • [KRpia 기본분류] 문화 > 종교
  • [KDC ] 종교 > 불교

제품소개

‘인간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지식에 관한 지식을 탐구하는 것이 인식론이다. 부처님은 깨달음을 얻은 후에도 제자들에게 자신의 가르침조차도 엄격한 비판적 관점에서 생각하도록 고무하셨는데, 논리와 지식의 본성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 즉 인식론은 처음부터 불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이다. 깨달음이란 바른 인식을 통해 실현 가능하다. 그래서 바른 인식을 통해 깨달음을 성취하는 것이 불교인식론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지각, 추리, 자상, 공상, 논증인, 논증대상, 본질로서의 논증인, 결과로서의 논증인, 비인식으로서의 논증인, 본질적 관계, 인과성의 관계, 동일성의 관계 등 불교인식론의 핵심 개념들을 쉽고 체계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다.

수록내용

● 추천사/달라이 라마

● 책머리에

● 한국어판 서문

● 옮긴이의 말

● 들어가는 말

1. 실체 존재론과 비실체 존재론의 이분법

2. 불교의 비실체적 존재론

3. 불교사상의 역사

4. 설일체유부

5. 경량부

6. 중관학파

7. 유식학파

8. 유식 인식론의 발전과정

● 1장 불교지식론

1. 지식의 분석

2. 인식수단의 문제

3. 인식결과

4. 자기현현의 이론

5. 대상형상의 개념

6. 명료한 현현과 불명료한 현현

7. 대상에 의한 인식수단의 확정 이론

8. 지식의 대상들

9. 지식의 종류

● 2장 불교지각론

1. 지각의 정의

2. 지각을 정의하는 세 가지 방식

3. 지각에 대한 바수반두의 정의

4. 지각에 대한 디그나가의 정의

5. 착오적 인식, 추리 등과 구별되는 지각

6. 왜 대상지각이 아니라 감관지각인가?

7. 지각에 대한 다르마키르티의 정의

8. 지각은 인식수단인가?

9. 분별이란 무엇인가?

10. '비착오'라는 형용사가 꼭 필요한가?

11. 지각의 본질

12. 지각의 유형

● 3장 불교추리론

1. 인식수단으로서의 추리

2. 디그나가 이전 사상가들 저술에서의 추리

3. 디그나가 저술에서의 추리

4. 추리의 타당성

5. 추리의 본질

6. 인식수단의 한정 이론의 맥락에서 지각과 추리 사이의 관계

7. 추론적 판단의 본성에 관한 분석

8. 추리의 정의

9. 추리의 구성요소

10. 논증인이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조건 이론

11. 논증식을 구성하는 지분

● 참고문헌

● 부록 :『인명입정리론(因明入正理論)』(Ny?yaprave?akas?tram)

●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