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문화산책] 중국인의 성(性)

- 제목
- [동양문화산책] 중국인의 성(性)
- 저자
- 강효원 저,강효원 저
- 발행처
- 예문서원
- 발행년도
- 2006-12-06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동양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중국철학
- [KDC ] 철학 > 윤리학, 도덕철학
제품소개
성을 통해 본 중국 정신사의 탐구
성은 생리현상이자 욕망이다. 뿐만 아니라 성은 중요한 문화현상이다. 인간은 남녀 두 이성에 의해 조직된 사회 속에서 살아가면서 성과 관련된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
중국 고대에서 성은 매우 중시되었으며, 결코 비하되거나 신비화되지 않았다. 성을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봄으로써 중국 정신사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원저는 『고대중국에서의 '성'- 하나의 문화현상에 대한 탐색』('性' 在古代 中國 - 對一種文化現象的探索)이다. 중국의 성풍속에 대한 근래의 여러 서적이 '밖'에서 들여다보는 관점이라고 한다면 이 책은 중국인의 중국 자신의 입장과 고민을 기반으로 해서 '안'에서 분석한 입장이라 할 수있다.
이 책은 성을 이불 속의 개인적인 일이 아닌 하나의 중요한 문화현상으로 보고 있다. 성이 중국전통사회에서 어떤 위치를 접하고 있는지 또 성규범과 사회발전과의 관계는 무엇인지 그리고 남녀대방에 관한 계교가 중국전통사회에서 흥성하고 쇠퇴한 경위 등의 문제로 탐구하고 있다. 이러한 탐구를 통하여 성이 중국전통시대의 정치·철학·종교·문예 등의 모든 영역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준다. 또 방중술의 원류와 변천 과정 그리고 그 핵심 주장과 내용 그리고 과학적 성취를 계통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성과학적인 입장에서 방중술울 담담하게 서술하여 기존의 오해와 편견을 교정하고 현대과학의 입장에서 긍정점을 찿고 있는 점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학제간의 연구가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지은이는 특히 성과학·도교사·신화학·민속학·철학·역사 등의 자연과학 - 사회과학 - 인문과학의 언구성과 잘 결합하고 있다.
성은 생리현상이자 욕망이다. 뿐만 아니라 성은 중요한 문화현상이다. 인간은 남녀 두 이성에 의해 조직된 사회 속에서 살아가면서 성과 관련된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
중국 고대에서 성은 매우 중시되었으며, 결코 비하되거나 신비화되지 않았다. 성을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봄으로써 중국 정신사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원저는 『고대중국에서의 '성'- 하나의 문화현상에 대한 탐색』('性' 在古代 中國 - 對一種文化現象的探索)이다. 중국의 성풍속에 대한 근래의 여러 서적이 '밖'에서 들여다보는 관점이라고 한다면 이 책은 중국인의 중국 자신의 입장과 고민을 기반으로 해서 '안'에서 분석한 입장이라 할 수있다.
이 책은 성을 이불 속의 개인적인 일이 아닌 하나의 중요한 문화현상으로 보고 있다. 성이 중국전통사회에서 어떤 위치를 접하고 있는지 또 성규범과 사회발전과의 관계는 무엇인지 그리고 남녀대방에 관한 계교가 중국전통사회에서 흥성하고 쇠퇴한 경위 등의 문제로 탐구하고 있다. 이러한 탐구를 통하여 성이 중국전통시대의 정치·철학·종교·문예 등의 모든 영역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준다. 또 방중술의 원류와 변천 과정 그리고 그 핵심 주장과 내용 그리고 과학적 성취를 계통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성과학적인 입장에서 방중술울 담담하게 서술하여 기존의 오해와 편견을 교정하고 현대과학의 입장에서 긍정점을 찿고 있는 점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학제간의 연구가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지은이는 특히 성과학·도교사·신화학·민속학·철학·역사 등의 자연과학 - 사회과학 - 인문과학의 언구성과 잘 결합하고 있다.
수록내용
옮긴이의 말
지은이의 말
제1장 고대의 성
1. 생식숭배와 고매제사의 측면에서 본 성
2. 많은 자식에 대한 선호와 조상숭배, 그리고 음양천인감응관陰陽天人感應觀
3. 인간본성으로서의 성욕
4. 봄날의 연회와 귀족의 성교육
제2장 성규범의 확립과 사회발전과의 관계
1. 어미만 알고 아비는 모른다 - 은殷·주周·진秦나라 시조의 탄생과정
2. 맏 자식을 죽이는 풍습과 처녀의 정조 그리고 출산예정일
3. 혼례가 어떻게 '예의의 근본'이 되었는가?
4. 혼인과 연애에 남아 있는 상고시대 풍속
5. 음란한 풍속
제3장 방중술의 원류와 그 목표
1. 방중술의 초기상황
2. 방중술과 도교
3. 방중술의 주요목표는 장생을 추구하는 것이다
4. 방중술의 유행과 변화
1) 당나라 이전의 상황
2) 당나라 때의 상황
3) 당나라 이후의 상황
제4장 중국 고대 성과학의 주요 내용과 업적
1. '많이 교접하되 적게 사정하면 장수할 수 있다'는 믿음
2. 방중술이 이룬 과학상의 업적
1) 성욕은 억압해서는 안 된다
2) 성생활은 남녀 간에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3) 성생활과 건강
4) 성기능의 장애와 그 치료
3. 잉태, 양육, 성별, 그리고 태교
4. 약물
부록 : 성변태에 관하여
제5장 남녀대방의 예교
1. 남녀대방 예교의 형성과 의의
2. 상층사회는 줄곧 예교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
3. 천리天理와 인욕人欲
1) 송나라 유학자의 예교에 대한 강조
2) 기생문제
3) 예교와 방탕의 싸움
4. 반역의 조류
찾아보기
지은이의 말
제1장 고대의 성
1. 생식숭배와 고매제사의 측면에서 본 성
2. 많은 자식에 대한 선호와 조상숭배, 그리고 음양천인감응관陰陽天人感應觀
3. 인간본성으로서의 성욕
4. 봄날의 연회와 귀족의 성교육
제2장 성규범의 확립과 사회발전과의 관계
1. 어미만 알고 아비는 모른다 - 은殷·주周·진秦나라 시조의 탄생과정
2. 맏 자식을 죽이는 풍습과 처녀의 정조 그리고 출산예정일
3. 혼례가 어떻게 '예의의 근본'이 되었는가?
4. 혼인과 연애에 남아 있는 상고시대 풍속
5. 음란한 풍속
제3장 방중술의 원류와 그 목표
1. 방중술의 초기상황
2. 방중술과 도교
3. 방중술의 주요목표는 장생을 추구하는 것이다
4. 방중술의 유행과 변화
1) 당나라 이전의 상황
2) 당나라 때의 상황
3) 당나라 이후의 상황
제4장 중국 고대 성과학의 주요 내용과 업적
1. '많이 교접하되 적게 사정하면 장수할 수 있다'는 믿음
2. 방중술이 이룬 과학상의 업적
1) 성욕은 억압해서는 안 된다
2) 성생활은 남녀 간에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3) 성생활과 건강
4) 성기능의 장애와 그 치료
3. 잉태, 양육, 성별, 그리고 태교
4. 약물
부록 : 성변태에 관하여
제5장 남녀대방의 예교
1. 남녀대방 예교의 형성과 의의
2. 상층사회는 줄곧 예교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
3. 천리天理와 인욕人欲
1) 송나라 유학자의 예교에 대한 강조
2) 기생문제
3) 예교와 방탕의 싸움
4. 반역의 조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