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총서 20] 조선유학의 개념들

- 제목
- [한국철학총서 20] 조선유학의 개념들
- 저자
- 한국사상사연구회 저,한국사상사연구회 저
- 발행처
- 예문서원
- 발행년도
- 2007-03-20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철학 - [KRpia 기본분류] 철학 > 한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철학은 여러 개념 중 가장 근본적이고 추상적인 것을 다루는 학문이다. 그리고 한 철학 체계 내에서 개념들은 고도로 정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그 각각의 개념을 현대의 언어로 번역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리理, 기氣, 심心, 성性, 음양陰陽 등의 개념이 고등학교 교과서에 등장할 정도로 잘 알려져 있으면서도, 정작 그 의미를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이 책은 조선의 유학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추구하며 살았고 또 그들이 만들어 낸 세계는 어떤 것이었는가 하는 화두 아래 그 같은 개념들의 역사적·사상적 변천과 함의를 밝히기 위해 기획되었다.
여기서 필자들은 섣불리 개념의 일대일 번역을 시도하기보다 하나의 개념이 함의하는 바를 밝히고, 그 개념이 조선 사회에서 갖는 의미와 그 개념을 안고 씨름했던 조선 유학자들의 발자취를 추적함으로써 그 개념의 상을 그려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과 조선 유학자들의 원전과 철학사 속에서 수많은 개념을 추출하고 이를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으로 계층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26개의 표제 개념을 선정, 각각 “자연”·“인간”·“학문”·“사회”의 4개 범주로 묶어 냈다. 이는 전통적으로 조선 유학이 리기론理氣論·심성론心性論·수양론修養論·경세론經世論의 영역을 포괄하였으며, 이는 결국 인간의 삶과 자연의 변화를 망라하는 체계였기 때문이다.
조선 유학의 실체를 그 근저에서부터 다시 확인하고자 한 〈조선유학의 개념들〉은 연구자들은 물론 관심 있는 일반에게도 유학 사상의 이해를 위한 기초를 다진다는 의미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선 유학자들의 세계를 우리의 언어로 해석하고 거꾸로 우리의 삶을 조선 유학의 언어로 재구성해 나갈 앞으로의 작업에서 굳건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따라서 그 각각의 개념을 현대의 언어로 번역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리理, 기氣, 심心, 성性, 음양陰陽 등의 개념이 고등학교 교과서에 등장할 정도로 잘 알려져 있으면서도, 정작 그 의미를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이 책은 조선의 유학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추구하며 살았고 또 그들이 만들어 낸 세계는 어떤 것이었는가 하는 화두 아래 그 같은 개념들의 역사적·사상적 변천과 함의를 밝히기 위해 기획되었다.
여기서 필자들은 섣불리 개념의 일대일 번역을 시도하기보다 하나의 개념이 함의하는 바를 밝히고, 그 개념이 조선 사회에서 갖는 의미와 그 개념을 안고 씨름했던 조선 유학자들의 발자취를 추적함으로써 그 개념의 상을 그려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과 조선 유학자들의 원전과 철학사 속에서 수많은 개념을 추출하고 이를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으로 계층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26개의 표제 개념을 선정, 각각 “자연”·“인간”·“학문”·“사회”의 4개 범주로 묶어 냈다. 이는 전통적으로 조선 유학이 리기론理氣論·심성론心性論·수양론修養論·경세론經世論의 영역을 포괄하였으며, 이는 결국 인간의 삶과 자연의 변화를 망라하는 체계였기 때문이다.
조선 유학의 실체를 그 근저에서부터 다시 확인하고자 한 〈조선유학의 개념들〉은 연구자들은 물론 관심 있는 일반에게도 유학 사상의 이해를 위한 기초를 다진다는 의미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선 유학자들의 세계를 우리의 언어로 해석하고 거꾸로 우리의 삶을 조선 유학의 언어로 재구성해 나갈 앞으로의 작업에서 굳건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수록내용
1. 자연
태극 - 우주 만물의 근원 / 김근호
리기 - 존재와 규범의 기본 개념 / 김형찬
음양오행 - 둘과 다섯으로 해석한 동양의 세계 / 홍원식
귀신 - 자연 철학에서 추구한 종교성 / 김현
천지 - 신비와 합리의 두 얼굴을 가진 자연 / 김문용
천인지제 - 인간 삶의 지표와 이상 / 박학래
2. 인간
본연지성·기질지성 - 인간성의 두 측면 / 안영상
심통성정 - 마음이 본성을 드러내는 구조 / 김경호
인물지성 - 인간과 사물의 본질 / 이애희
사단칠정 - 도덕적 감정과 일반적 감정 / 유영희
인심전심 - 욕망과 도덕심 / 김기현
미발이발 - 마음이 드러나기 전과 후 / 김용휘
지각 - 세계를 인식하는 맑고 밝은 마음 / 김태년
3. 학문
함양성찰 - 마음을 다스리는 공부 / 손병욱
격물치지 - 사물의 이치를 따져 보는 공부 / 김용헌
지행 - 인식과 실천의 변증법 / 강춘화
경사 - 역사를 읽는다: 경험과 성찰 / 오항녕
도문 - 문학의 본질, 효용, 그리고 글쓰기 / 안병학
이단 - 우리 도를 어지럽히는 자들 / 송갑준
도통 - 유학의 참 정신을 잇는 계보 / 이승환
4. 사회
의리 - 공존과 공익을 위한 모색 / 김낙진
예 - 유교 문화의 형식과 내용 / 유권종
경장 - 유교적 이상과 개혁 / 장숙필
붕당 - 성리학 시대의 정치 주체 / 남지만
정전 - 유교의 이상을 담은 토지 제도 / 권순철
중화 - 보편 문화의 수용과 해체 / 김태호
인물 목록
태극 - 우주 만물의 근원 / 김근호
리기 - 존재와 규범의 기본 개념 / 김형찬
음양오행 - 둘과 다섯으로 해석한 동양의 세계 / 홍원식
귀신 - 자연 철학에서 추구한 종교성 / 김현
천지 - 신비와 합리의 두 얼굴을 가진 자연 / 김문용
천인지제 - 인간 삶의 지표와 이상 / 박학래
2. 인간
본연지성·기질지성 - 인간성의 두 측면 / 안영상
심통성정 - 마음이 본성을 드러내는 구조 / 김경호
인물지성 - 인간과 사물의 본질 / 이애희
사단칠정 - 도덕적 감정과 일반적 감정 / 유영희
인심전심 - 욕망과 도덕심 / 김기현
미발이발 - 마음이 드러나기 전과 후 / 김용휘
지각 - 세계를 인식하는 맑고 밝은 마음 / 김태년
3. 학문
함양성찰 - 마음을 다스리는 공부 / 손병욱
격물치지 - 사물의 이치를 따져 보는 공부 / 김용헌
지행 - 인식과 실천의 변증법 / 강춘화
경사 - 역사를 읽는다: 경험과 성찰 / 오항녕
도문 - 문학의 본질, 효용, 그리고 글쓰기 / 안병학
이단 - 우리 도를 어지럽히는 자들 / 송갑준
도통 - 유학의 참 정신을 잇는 계보 / 이승환
4. 사회
의리 - 공존과 공익을 위한 모색 / 김낙진
예 - 유교 문화의 형식과 내용 / 유권종
경장 - 유교적 이상과 개혁 / 장숙필
붕당 - 성리학 시대의 정치 주체 / 남지만
정전 - 유교의 이상을 담은 토지 제도 / 권순철
중화 - 보편 문화의 수용과 해체 / 김태호
인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