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총서 8] 양명 철학 : 원제 유무지경

- 제목
- [성리총서 8] 양명 철학 : 원제 유무지경
- 저자
- 진래 저,진래 저
- 발행처
- 예문서원
- 발행년도
- 2006-11-02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철학 > 중국철학
-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제품소개
현대 성리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중국 북경대 철학과 교수 진래(陳來)의 대표적인 양명 철학 연구서. 저자는 11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본문에서 일관되게 왕양명의 철학을 '유(有)'와 '무(無)'의 철학이 합일된 '유무지경(有無之境)' 의 체계로 파악하면서 그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유무지경이란, 유의 경계와 무의 경계가 통일된 경계라는 뜻으로 저자가 만들어낸 단어이다. 저자는 이 두 경계를 통일시키는 것이 불교나 도가의 도전을 받은 유가의 중대한 과제였는데, 이 문제를 가장 근접하게 해결해 낸 철학이 바로 양명학이라는 것이다.
유무지경이란, 유의 경계와 무의 경계가 통일된 경계라는 뜻으로 저자가 만들어낸 단어이다. 저자는 이 두 경계를 통일시키는 것이 불교나 도가의 도전을 받은 유가의 중대한 과제였는데, 이 문제를 가장 근접하게 해결해 낸 철학이 바로 양명학이라는 것이다.
수록내용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말
제1장 이끄는 말
1. 유아와 무아
2. 계신과 화락
3. 이성과 실존
제2장 심과 리
1. 심즉리설의 성립
2. 심즉리설의 함의
3. 심즉리설의 해석
4. 심즉리설의 모순
제3장 심과 물
1. 심과 의
2. 의와 사
3. 심과 물
4. 심물동체
제4장 심과 성
1. 미발과 이발
2. 심의 본체
3. 마음과 성
제5장 지와 행
1. 지행합일의 내용
2. 지행합일의 종지와 공부
3. 지행합일의 분석
제6장 성의와 격물
1. 「대학」고본과 그 서문
2. 성의
3. 격물과 격심
4. 격물 논쟁
5. 「대학문」의 격물성
제7장 양지와 치양지
1. 치양지설의 성립
2. 양지
3. 치양지
4. 격물에서 치지로
제8장 유와 무
1. 천천증도
2. 무선무악
3. 심체와 성체
4. 유교와 불교
5. 유와 무
6. 엄탄에서의 문답
제9장 경지
1. 유아지경
2. 무아가 근본이다
3. 광자의 흉차
4. 여물동체
제10장 공부
1. 공부의 내외·본말
2. 공부에 있어서의 유무와 동정
제11장 맺는 말
1. 초년의 역정
2. 중년의 교육 방법
3. 만년의 화경
4. 사후의 학파 변화
부록
1. 생애와 저작에 대한 고증
2. 심학 전통에서의 신비주의의 문제
연표요약
후기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제1장 이끄는 말
1. 유아와 무아
2. 계신과 화락
3. 이성과 실존
제2장 심과 리
1. 심즉리설의 성립
2. 심즉리설의 함의
3. 심즉리설의 해석
4. 심즉리설의 모순
제3장 심과 물
1. 심과 의
2. 의와 사
3. 심과 물
4. 심물동체
제4장 심과 성
1. 미발과 이발
2. 심의 본체
3. 마음과 성
제5장 지와 행
1. 지행합일의 내용
2. 지행합일의 종지와 공부
3. 지행합일의 분석
제6장 성의와 격물
1. 「대학」고본과 그 서문
2. 성의
3. 격물과 격심
4. 격물 논쟁
5. 「대학문」의 격물성
제7장 양지와 치양지
1. 치양지설의 성립
2. 양지
3. 치양지
4. 격물에서 치지로
제8장 유와 무
1. 천천증도
2. 무선무악
3. 심체와 성체
4. 유교와 불교
5. 유와 무
6. 엄탄에서의 문답
제9장 경지
1. 유아지경
2. 무아가 근본이다
3. 광자의 흉차
4. 여물동체
제10장 공부
1. 공부의 내외·본말
2. 공부에 있어서의 유무와 동정
제11장 맺는 말
1. 초년의 역정
2. 중년의 교육 방법
3. 만년의 화경
4. 사후의 학파 변화
부록
1. 생애와 저작에 대한 고증
2. 심학 전통에서의 신비주의의 문제
연표요약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