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66] 비평적 글쓰기의 계보 :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분화

- 제목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66] 비평적 글쓰기의 계보 :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분화
- 저자
- 강용훈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6-05-24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이 책의 1부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비평적 글쓰기」는 2011년 여름에 제출된 박사논문에 바탕을 두고 있고, 2부 「개념의 틀로 본 한국 근대 문예비평」은 2012년 발표된 두 편의 소논문으로 구성되어있다. 박사논문을 쓸 때에는 자료들을 해석하고 배치하느라 충분히 서술하지 못했던 ‘나’의 관점을, 단행본 안에 정립시키려 노력해 보았다. 1부 3장 「공론장의 재편과 비평적 글쓰기의 성격 변화」는 그 과정에서 새롭게 서술된 장이지만, 미진한 상태로 수록된 부분이기도 하다. 2부에 포함된 두 편의 논문 역시 박사논문 때 풀어내지 못한 고민을 보충하기 위해 집필했지만, 부족한 지점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이 책이 발간된 후 내가 쓰게 될 논문들 중 상당수는 미완의 형태로 남아 있는 이 책을 수정해 나가는, 지난한 작업이 될 것 같다.
수록내용
● 머리말
● 1부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비평적 글쓰기
제1장 '문예비평'과 비평적 글쓰기
1. 한국 근대 문예비평사 연구의 재인식
2. 연구의 시각과 연구 대상
제2장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 배경
1. '비평' 개념의 변전과 '문예비평'의 출현
1) '비평' 관련 어휘의 사용 양상 : '평론'·'비평'·'비판'
2) '문예' 개념의 부각과 비평 영역의 분화
2. 산문 분류 방식의 변화와 '평론' 체계
1) '평론' 체계의 확립 과정
2) '평론(評論)'과 '감상(感想)'의 경계
3. 공론장의 재편과 비평적 글쓰기의 성격 변화
1) 매체 환경의 변화와 '시사평론(時事評論)'의 행방
2) 문단의 형성과 '선후평(選後評)'의 역할
제3장 문예비평의 분화 양상과 비평언어의 정립
1. 강화류(講話類) 비평의 형성과 문예적 글쓰기의 규범 확립
1) 장르의 경계 설정과 개론적 지식의 소개
2) 강화류(講話類) 비평의 역할과 문사(文士)의 훈육법
3) 세분화된 작법과 일반적 표현형식의 탐색
2. 월평류(月評類) 비평의 제도화와 당대(當代) 작품의 가치 판단
1) 문예지면의 확장과 월평의 도입
2) 개별 작품의 가치 판단과 공통의 비평 술어
3)『조선지광』의 문예시평과 월평 방식의 변화
3. 메타비평의 확대와 문예비평의 위상 변화
1) 지식체계의 변동과「중요술어사전」의 의미
2) 비평방법의 분화와 사회어의 구축
3) 조선 근대문예의 변천 과정 서술과 단계론적 문제설정
제4장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분화
● 2부 개념의 틀로 본 한국 근대 문예비평
제1장 이중어 사전 연구 동향과 근대 개념어의 번역
1. 이중어 사전 연구의 필요성
2. 이중어 사전의 비교 연구와 한국어의 근대
3. 한국(어문)학의 통국가적 생산과 이중어 사전의 역할
4. 이중어 사전을 통해 본 'criticism'의 번역 양상
5. 남은 과제와 전망
제2장 1900∼1920년대 '감각' 관련 개념의 사용양상 연구 : 김기진 비평에 나타난 '감각' 개념에 대한 재인식과 관련하여
1. '감각' 개념과 식민지 문학 연구
2. '감각'의 역할 정립 : 외부 세계와 교섭하는 자아의 활동
3. 감각 활동과 미적(美的)인 것의 관계 설정
4. '감각'의 변혁론과 '실감(實感)'이라는 판단 기준
5. 결론 : '감각' 관련 담론의 지평 확장과 공통감각의 발견
● 참고문헌
● 1부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비평적 글쓰기
제1장 '문예비평'과 비평적 글쓰기
1. 한국 근대 문예비평사 연구의 재인식
2. 연구의 시각과 연구 대상
제2장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 배경
1. '비평' 개념의 변전과 '문예비평'의 출현
1) '비평' 관련 어휘의 사용 양상 : '평론'·'비평'·'비판'
2) '문예' 개념의 부각과 비평 영역의 분화
2. 산문 분류 방식의 변화와 '평론' 체계
1) '평론' 체계의 확립 과정
2) '평론(評論)'과 '감상(感想)'의 경계
3. 공론장의 재편과 비평적 글쓰기의 성격 변화
1) 매체 환경의 변화와 '시사평론(時事評論)'의 행방
2) 문단의 형성과 '선후평(選後評)'의 역할
제3장 문예비평의 분화 양상과 비평언어의 정립
1. 강화류(講話類) 비평의 형성과 문예적 글쓰기의 규범 확립
1) 장르의 경계 설정과 개론적 지식의 소개
2) 강화류(講話類) 비평의 역할과 문사(文士)의 훈육법
3) 세분화된 작법과 일반적 표현형식의 탐색
2. 월평류(月評類) 비평의 제도화와 당대(當代) 작품의 가치 판단
1) 문예지면의 확장과 월평의 도입
2) 개별 작품의 가치 판단과 공통의 비평 술어
3)『조선지광』의 문예시평과 월평 방식의 변화
3. 메타비평의 확대와 문예비평의 위상 변화
1) 지식체계의 변동과「중요술어사전」의 의미
2) 비평방법의 분화와 사회어의 구축
3) 조선 근대문예의 변천 과정 서술과 단계론적 문제설정
제4장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분화
● 2부 개념의 틀로 본 한국 근대 문예비평
제1장 이중어 사전 연구 동향과 근대 개념어의 번역
1. 이중어 사전 연구의 필요성
2. 이중어 사전의 비교 연구와 한국어의 근대
3. 한국(어문)학의 통국가적 생산과 이중어 사전의 역할
4. 이중어 사전을 통해 본 'criticism'의 번역 양상
5. 남은 과제와 전망
제2장 1900∼1920년대 '감각' 관련 개념의 사용양상 연구 : 김기진 비평에 나타난 '감각' 개념에 대한 재인식과 관련하여
1. '감각' 개념과 식민지 문학 연구
2. '감각'의 역할 정립 : 외부 세계와 교섭하는 자아의 활동
3. 감각 활동과 미적(美的)인 것의 관계 설정
4. '감각'의 변혁론과 '실감(實感)'이라는 판단 기준
5. 결론 : '감각' 관련 담론의 지평 확장과 공통감각의 발견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