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

- 제목
- [고전문학] 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
- 저자
- 정출헌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2-06-1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책머리에
...우리가 고전문학작품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다시 읽어보려고 한 것은 그 대화의 시도이다. 여성주의는 근래 한국 인문학의 주요한 화두의 하나가 아닌가?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고전문학작품을 읽는다는 시도는 단지 작품 속에서 여성의 고난과 성적 억압의 징후들을 발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작품을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읽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복적 독해, 우리는 고전문학연구는 이런 도전적 해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우리가 고전문학작품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다시 읽어보려고 한 것은 그 대화의 시도이다. 여성주의는 근래 한국 인문학의 주요한 화두의 하나가 아닌가?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고전문학작품을 읽는다는 시도는 단지 작품 속에서 여성의 고난과 성적 억압의 징후들을 발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작품을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읽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복적 독해, 우리는 고전문학연구는 이런 도전적 해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수록내용
책머리에
웅녀ㆍ유화신화의 행방과 사회적 차별의 체계_조현설
여신의 서사와 주체의 생산_조현설
남성 지배와 「장화홍련전」의 여성 형상_조현설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질곡과 『사씨남정기』_정출헌
「운영전」의 중층적 애정 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_정출헌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여성 형상과 그 의미_정출헌
조선 후기 하층 여성의 인생 역정과 그 문학적 형상:『변강쇠가』의 여주인공 ‘옹녀’를 중심으로_정출헌
한시, 가시성의 배치와 사대부의 시선 변화_박영민
이옥, 여성의 정체성과 수동적 주체의 생산_박영민
사설시조와 여성주의적 독법_이형대
근대계몽기 시가와 여성 담론:신문매체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_이형대
웅녀ㆍ유화신화의 행방과 사회적 차별의 체계_조현설
여신의 서사와 주체의 생산_조현설
남성 지배와 「장화홍련전」의 여성 형상_조현설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질곡과 『사씨남정기』_정출헌
「운영전」의 중층적 애정 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_정출헌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여성 형상과 그 의미_정출헌
조선 후기 하층 여성의 인생 역정과 그 문학적 형상:『변강쇠가』의 여주인공 ‘옹녀’를 중심으로_정출헌
한시, 가시성의 배치와 사대부의 시선 변화_박영민
이옥, 여성의 정체성과 수동적 주체의 생산_박영민
사설시조와 여성주의적 독법_이형대
근대계몽기 시가와 여성 담론:신문매체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_이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