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옛노래, 옛사람들의 내면풍경 : 신발굴 가사자료집

- 제목
- [고전문학] 옛노래, 옛사람들의 내면풍경 : 신발굴 가사자료집
- 저자
- 임형택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2-02-1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이 신발굴 가사집은 17세기 중반의 '장유가(壯遊歌)'로부터 20세기 초의 '열가집(烈歌集)'까지 모두 10꼭지를 수록한 책이다. 그 중에는 한 꼭지에 여러 편이 담겨져 있기도 하여 편수로 치면 총 46편이 된다. ‘신발굴’이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작품을 찾아낸 것이라는 의미인데 '선루별곡(仙樓別曲)'의 경우 작자의 친필 원본이라는 점에서, '경세가(警世歌)'의 경우 이본적 가치를 중시해서 함께 포괄을 시킨 것이다.
수록내용
책머리에
1. 장유가(壯遊歌)
장유가(壯遊歌) _ 호곡 남용익(壺谷 南龍翼), 1628~1692
壯遊歌 _ 壺谷 南龍翼
2. 임계탄(壬癸歎)
임계탄(壬癸歎) _ 관산(冠山) 선비 작, 1732~1733
壬癸歎 _ 冠山 선비 作
3. 선루별곡(仙樓別曲)
선루별곡(仙樓別曲) _ 만옹 이후연(晩翁 李厚淵), 1798~?
仙樓別曲 _ 晩翁
4. 기가(碁歌)ㆍ방화타령(訪花打鈴)
기가(碁歌) _ 신재효(申在孝), 1812~1884 : 19세기 중ㆍ후반
碁歌 _ 高敞 申五衛將 所作
방화타령(訪花打令) 12수 _ 신재효(申在孝), 필사 연대 : 1867년경
訪花打鈴 十二首 _ 申在孝
5. 경세가(警世歌)
경세가(警世歌)(일명 : 『後日警戒錄』) _ 미상, 19세기 중ㆍ후반
警世歌 _ 미상
6. 전별가(餞別歌)
전별가(餞別歌) _ 백선호, 필사 연대 : 1896년
즌별가 _ 백선호
효행록(孝行錄) _ 난묵재
7. 효열가(孝烈歌)
효열가(孝烈歌) _ 미상, 지은 연대 : 1912년
효열가 _ 미상
8. 군가(軍歌)
군가(軍歌) _ 미상, 필사 연대 : 1907년경
軍歌 _ 미상
9. 학교가(學校歌)
학교가(學校歌) _ 안동 학생, 지은 연대 : 1909년경
학교가 _ 안동학생
10. 열가집(烈歌集)
열가집(烈歌集) _ 창작 연대 : 1907~1910년, 필사 연대 : 1914년
烈歌集(원문)
해제_신발굴 자료를 통해본 가사의 재인식
1. 장유가(壯遊歌)
장유가(壯遊歌) _ 호곡 남용익(壺谷 南龍翼), 1628~1692
壯遊歌 _ 壺谷 南龍翼
2. 임계탄(壬癸歎)
임계탄(壬癸歎) _ 관산(冠山) 선비 작, 1732~1733
壬癸歎 _ 冠山 선비 作
3. 선루별곡(仙樓別曲)
선루별곡(仙樓別曲) _ 만옹 이후연(晩翁 李厚淵), 1798~?
仙樓別曲 _ 晩翁
4. 기가(碁歌)ㆍ방화타령(訪花打鈴)
기가(碁歌) _ 신재효(申在孝), 1812~1884 : 19세기 중ㆍ후반
碁歌 _ 高敞 申五衛將 所作
방화타령(訪花打令) 12수 _ 신재효(申在孝), 필사 연대 : 1867년경
訪花打鈴 十二首 _ 申在孝
5. 경세가(警世歌)
경세가(警世歌)(일명 : 『後日警戒錄』) _ 미상, 19세기 중ㆍ후반
警世歌 _ 미상
6. 전별가(餞別歌)
전별가(餞別歌) _ 백선호, 필사 연대 : 1896년
즌별가 _ 백선호
효행록(孝行錄) _ 난묵재
7. 효열가(孝烈歌)
효열가(孝烈歌) _ 미상, 지은 연대 : 1912년
효열가 _ 미상
8. 군가(軍歌)
군가(軍歌) _ 미상, 필사 연대 : 1907년경
軍歌 _ 미상
9. 학교가(學校歌)
학교가(學校歌) _ 안동 학생, 지은 연대 : 1909년경
학교가 _ 안동학생
10. 열가집(烈歌集)
열가집(烈歌集) _ 창작 연대 : 1907~1910년, 필사 연대 : 1914년
烈歌集(원문)
해제_신발굴 자료를 통해본 가사의 재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