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근대문학] 소설의 귀환과 도전적 서사 : 주체ㆍ윤리ㆍ사랑ㆍ혁명의 귀환에 대하여

제목
[근대문학] 소설의 귀환과 도전적 서사 : 주체ㆍ윤리ㆍ사랑ㆍ혁명의 귀환에 대하여
저자
나병철 저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5-06-1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문학

제품소개

오늘날은 어느 때보다도 ‘소설의 종언’이 실감나는 시대이다. 우리는 이런 소설의 위기가 윤리의 상실이나 혁명의 종언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해야 한다. 하지만 소설은 규정적 미학을 갖지 않는 탈양식적 특성으로 인해 지금까지 매번 위기에서 돌아왔다. 소설은 습관적인 일상세계에 대해 자기갱신을 요구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그런데 소설은 형식적으로도 매번 자기 자신을 갱신하면서 위기에서 돌아온다. 이 책은 오늘날에도 그런 소설의 귀환이 가능한지, 어떤 방식으로 소설이 되돌아올 것인지 살펴보았다. 소설의 귀환은 윤리가 회생되고 변혁운동이 귀환한다는 암시이다. 바로 그 점이 우리가 소설의 귀환을 주제로 삼은 핵심적인 이유이다.이 책이 귀환을 주제로 삼은 것은 우리가 잃어버린 것에 대해 말하기 위해서다. 귀환하는 것은 잃어버린 것들이다. 우리 시대는 인간적인 것들을 잃어버린 시대이다. 우리는 사랑과 윤리, 혁명, 그리고 윤리를 미학적 원리로 한 소설을 잃어버렸다. 이런 시대에는 인간적인 것에 대한 소망이 귀환의 형식으로 말해질 수밖에 없다. 가령 우리는 사랑과 혁명을 소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잃어버린 것들이 되돌아오길 소망한다. <책표지에서>

수록내용

●머리말

●제1장 소설의 귀환

1. 소설의 죽음과 귀환

2. 귀환과 새로운 창조

3. 소설의 결집의 힘과 도전적 서사 - 근대사회에서 소설의 특별한 위치

4. 가라타니의 '문학의 종언'에 대한 반박

5. '상상력'을 넘어서는 가상공간의 '은유적 정치'

6. 가라타니의 보르메오의 매듭의 문제점

7. 후기자본주의와 두 가지 서사

8. 사유의 두 영역과 서사의 귀환

9. 도전적 서사의 귀환

10. 서사적 사유와 문학교육

11. 서사의 귀환과 주체의 귀환

●제2장 주체의 귀환

1. 주체중심주의에서 주체의 해체로

2. '주체'라는 전쟁터 - 후기자본주의와 다중

3. 서사적 사유를 통한 대서사와 미시서사의 접합

4. 대상없는 진리와 주체, 그리고 사건

5. 주체를 둘러싼 논쟁 - 타자, 특이성, 민족, 민중, 다중

6. 주체 생성과정에서의 사건과 네트워크 - 은유로서의 정치

7. 은유로서의 네이션과 윤리적 네트워크

8. 대서사의 기획적 차원과 수행적 차원 - 유령의 도발과 이론의 자기갱신

9. 탈식민적 주체를 통한 딜레마의 해결

10. 탈식민적 주체의 위치

11. 존재의 이중성과 새로운 주체

12. 바디우의 주체이론 - 대상없는 주체

13. 레비나스의 주체이론 - 윤리적 주체

14. 서사적 주체의 귀환

●제3장 윤리의 회생

1. 서사의 귀환과 윤리

2. 차가운 윤리와 따뜻한 윤리

3. 사건과 윤리

4. 정의와 '인간에 대한 예의' - 공지영의「인간에 대한 예의」

5. 샌델의『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반박

6. 이성적 윤리와 감성적 윤리 - 자유와 자연의 조화

7. 스피노자의 윤리와 라이프니츠의 울림

8. 윤리에 대한 향수로서의 음악 - 윤후명과 김중혁의 소설

9. 신을 대신하는 윤리

10. 레비나스와 바디우의 윤리 - 존재의 이중성과 서사적 윤리

11. 욕망과 조화된 윤리 - 앙티 오이디푸스적 윤리

12. 가짜욕망과 유사정의 시대의 윤리 - 박민규의 소설과 이창동의『시』

13. 윤리 회생의 프로젝트

14. 21세기의 윤리의 역할과 도전적 서사의 새로운 힘

●제4장 청년의 회생

1. 청년의 탄생과 '윤리적 무의식'의 발견

2. 미적 청년의 의미와 청년들의 연대

3. 청년의 죽음과 회생 - 임화의 시

4. 21세기의 청년의 회생

5. 변혁을 변혁하는 청년

6. 아픔에 반항하니까 청춘이다

7. 청소년의 탄생

●제5장 사랑과 혁명의 귀환

1. 사랑의 세 가지 유형 - 소유ㆍ낭만ㆍ타자성

2. 진정한 사랑에 이르는 방법

3. 여성적 사랑과 에로스적 사랑 - 박완서의「그 여자네 집」

4. 사랑과 혁명의 결합

5. 타자성의 울림으로서의 사랑과 혁명

6. 사랑과 윤리의 미시서사와 역사적 거대서사 - 타자성의 사랑과 다중

7. 서사적 주체와 새로운 혁명의 귀환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