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학] 근대 학부 편찬 수신서

- 제목
- [근대문학] 근대 학부 편찬 수신서
- 저자
- 박병기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5-06-1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KDC ] 사회과학 > 교육학
제품소개
조선(朝鮮)이라는 성리학을 이념으로 삼은 도덕 공동체이자 정치 공동체가 붕괴한 자리를 대체한 입헌군주국인 대한제국(大韓帝國)은 고종 황제의 초라한 위상으로 상징되는 가련한 운명 속에 놓여 있었다. 그 운명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대처하고자 했던 당시 지식인들은 면암 최익현과 외세를 등에 업은 혁명가 고균 김옥균으로 상징되는 다양한 실천적 대안을 내놓았지만, 불행히도 그 중 어느 것도 성공하지 못하고 결국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나라를 내어놓아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렸다.그 상황 속에서 나온 실천적이면서도 장기적인 대안 중의 하나가 바로 수신 교과(修身 敎科)의 독립 및 교과서 편찬 작업이다. 조선 성리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서구와 그 서구에 빠르게 적응한 일본제국주의자들이 주도하는 새로운 20세기 역사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 교육 중심의 시민교육 체제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그 정신적 축으로 수신 교과를 독립시켜 다음 세대를 교육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 노력들을 우리는 개화기 수신 교과서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책 뒤표지에서>
수록내용
●역자 서문
●근대 학부 편찬 수신서 해제
1.『숙혜기략(夙惠記略)』
2.『소학독본(小學讀本)』
3.『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普通學校 學徒用 修身書)』
●『숙혜기략』
●『소학독본』
●학부 편찬『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권 1
목차
제1과 학교
제2과 착한 학생
제3과 활발한 기상
제4과 의좋은 친구
제5과 사마광
제6과 다투어 싸우지 말라
제7과 거짓말 잘하는 아이
제8과 워싱턴 1
제9과 워싱턴 2
제10과 부모의 즐거움
제11과 신체
제12과 자기의 물건과 다른 사람의 물건
제13과 물건을 잘 간수하는 일
제14과 물건을 귀중히 여기는 아이
제15과 약속
●학부 편찬『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권 2
목차
제1과 생물
제2과 이웃 사람은 사촌
제3과 다른 사람에게 방해를 끼치지 말 것
제4과 예절바른 태도
제5과 친구
제6과 다른 사람의 과실
제7과 형제
제8과 한 가정의 화목
제9과 인내의 덕됨
제10과 종
제11과 정직
제12과 청결
제13과 존덕 1
제14과 존덕 2
●학부 편찬『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권 3
목차
제1과 규칙
제2과 예의
제3과 신분과 의복
제4과 알맞게 근면히 하고 알맞게 노는 것
제5과 프랭클린
제6과 다른 사람의 명예
제7과 진정한 용기가 있는 자
제8과 군자의 경쟁
제9과 관대
제10과 어리석은 사람의 미신 1
제11과 어리석은 사람의 미신 2
제12과 자선
제13과 절제
●학부 편찬『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권 4
목차
제1과 독립자영
제2과 직업
제3과 공동
제4과 공중
제5과 위생
제6과 황실
제7과 어진 관리
제8과 조세
제9과 공과 사의 구별
제10과 박애
제11과 동물 대우
제12과 적십자사
제13과 친구
●부록 - 근대 수신 교과서 탐색을 통한 전통교육과 현대 도덕과(道德科) 교육의 연결
Ⅰ. 들어가며
Ⅱ. 1910년 이전의 학교 교육에서 '수신 교과'의 실제
Ⅲ. 전통교육과 현대 도덕과 교육의 연결점으로서 '초등용' 수신 교과서의 역할
Ⅳ. 전통교육과 현대 도덕과 교육의 연결점으로서 '중등용' 수신 교과서의 역할
Ⅴ. 나오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영인
숙혜기략
소학독본
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 권 1
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 권 2
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 권 3
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 권 4
●근대 학부 편찬 수신서 해제
1.『숙혜기략(夙惠記略)』
2.『소학독본(小學讀本)』
3.『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普通學校 學徒用 修身書)』
●『숙혜기략』
●『소학독본』
●학부 편찬『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권 1
목차
제1과 학교
제2과 착한 학생
제3과 활발한 기상
제4과 의좋은 친구
제5과 사마광
제6과 다투어 싸우지 말라
제7과 거짓말 잘하는 아이
제8과 워싱턴 1
제9과 워싱턴 2
제10과 부모의 즐거움
제11과 신체
제12과 자기의 물건과 다른 사람의 물건
제13과 물건을 잘 간수하는 일
제14과 물건을 귀중히 여기는 아이
제15과 약속
●학부 편찬『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권 2
목차
제1과 생물
제2과 이웃 사람은 사촌
제3과 다른 사람에게 방해를 끼치지 말 것
제4과 예절바른 태도
제5과 친구
제6과 다른 사람의 과실
제7과 형제
제8과 한 가정의 화목
제9과 인내의 덕됨
제10과 종
제11과 정직
제12과 청결
제13과 존덕 1
제14과 존덕 2
●학부 편찬『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권 3
목차
제1과 규칙
제2과 예의
제3과 신분과 의복
제4과 알맞게 근면히 하고 알맞게 노는 것
제5과 프랭클린
제6과 다른 사람의 명예
제7과 진정한 용기가 있는 자
제8과 군자의 경쟁
제9과 관대
제10과 어리석은 사람의 미신 1
제11과 어리석은 사람의 미신 2
제12과 자선
제13과 절제
●학부 편찬『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권 4
목차
제1과 독립자영
제2과 직업
제3과 공동
제4과 공중
제5과 위생
제6과 황실
제7과 어진 관리
제8과 조세
제9과 공과 사의 구별
제10과 박애
제11과 동물 대우
제12과 적십자사
제13과 친구
●부록 - 근대 수신 교과서 탐색을 통한 전통교육과 현대 도덕과(道德科) 교육의 연결
Ⅰ. 들어가며
Ⅱ. 1910년 이전의 학교 교육에서 '수신 교과'의 실제
Ⅲ. 전통교육과 현대 도덕과 교육의 연결점으로서 '초등용' 수신 교과서의 역할
Ⅳ. 전통교육과 현대 도덕과 교육의 연결점으로서 '중등용' 수신 교과서의 역할
Ⅴ. 나오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영인
숙혜기략
소학독본
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 권 1
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 권 2
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 권 3
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 권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