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

- 제목
- [근대문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
- 저자
- 임향란 외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5-06-1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KDC ] 언어 > 한국어
제품소개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이웃한 나라로서, 역사적으로 문화적 교류가 빈번했던 만큼 서로 주고받은 영향도 많았다. 언어적인 측면에서도 중국은 고래로부터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깊어 『계림유사』 나 『조선관역어』 등 체계적으로 한국어 자료들을 수집하여 그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도 중국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이 책은 오늘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라는 주제를 두고, 교재개발이나 언어교육 등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찾고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고민하고 연구한 결과들을 엮은 것이다.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은 한국어 교재에 대한 분석과 개발 방안, 2장은 중국인을 위한 독학용 문법 교재 개발 연구, 3장은 대본 미리 읽기를 통한 한국어 듣기 교육, 4장은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제 대비연구, 5장은 한·중 능원표현법 대조 연구, 6장은 한·중 중주어문의 비교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각각의 장은 한국어 학습자와 교육자에게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수록내용
●책머리에
●한국어 교재에 대한 분석과 개발 방안
1. 서론
2. 교재의 개념과 분석 표준
3. 한국어 교재의 특징과 현황
4.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
5. 결론
참고 문헌
●중국인을 위한 독학용 문법 교재 개발 연구 : 중ㆍ고급 단계를 중심으로
1. 서론
2. 중국인 학습자 대상 독학용 문법 교재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3. 학습자 요구 조사
4. 중ㆍ고급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독학용 문법 교재 개발 방안
5. 결론
참고 문헌
부록
●대본 미리 읽기를 통한 한국어 듣기 교육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시트콤 시청을 중심으로
1. 서론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교육
3. 듣기와 읽기
4. 대본 미리 읽기
5. 연구 방법
6. 자료 분석
7.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부록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제 대비연구
1. 서론
2. 시제의 이분법 체계
3. 한국어 과거 시제 형태소
4. 중국어 과거 시제 형태소
5.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제 대비
6.결론
참고문헌
●한ㆍ중 능원표현법 대조 연구
1. 서론
2. 문법 측면의 대조 연구
3. 의미 측면의 대조 연구
4. 한ㆍ중 능원표현법 관련 부정문의 대조 연구
5. 결론
참고문헌
●한ㆍ중 중주어문의 비교연구
1. 서론
2. 한국어 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서술어문
3. 한ㆍ중 중주어문의 심층구조 비교
4.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교재에 대한 분석과 개발 방안
1. 서론
2. 교재의 개념과 분석 표준
3. 한국어 교재의 특징과 현황
4.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
5. 결론
참고 문헌
●중국인을 위한 독학용 문법 교재 개발 연구 : 중ㆍ고급 단계를 중심으로
1. 서론
2. 중국인 학습자 대상 독학용 문법 교재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3. 학습자 요구 조사
4. 중ㆍ고급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독학용 문법 교재 개발 방안
5. 결론
참고 문헌
부록
●대본 미리 읽기를 통한 한국어 듣기 교육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시트콤 시청을 중심으로
1. 서론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교육
3. 듣기와 읽기
4. 대본 미리 읽기
5. 연구 방법
6. 자료 분석
7.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부록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제 대비연구
1. 서론
2. 시제의 이분법 체계
3. 한국어 과거 시제 형태소
4. 중국어 과거 시제 형태소
5.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제 대비
6.결론
참고문헌
●한ㆍ중 능원표현법 대조 연구
1. 서론
2. 문법 측면의 대조 연구
3. 의미 측면의 대조 연구
4. 한ㆍ중 능원표현법 관련 부정문의 대조 연구
5. 결론
참고문헌
●한ㆍ중 중주어문의 비교연구
1. 서론
2. 한국어 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서술어문
3. 한ㆍ중 중주어문의 심층구조 비교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