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학] (증보판)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 제목
- [근대문학] (증보판)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 저자
- 권보드래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5-06-22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한국에서 근대적인 문학이라는 가치가 형성되어 간 추이를 소설 범주 형성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되, 중국과 일본의 사례를 되도록 널리 참고하고자 했다. 문학이 이제 바야흐로 죽음을 맞이하고 있다면, 성공적으로 죽음 직전의 꽃을 피우고 그 씨앗을 널리 남길 수 있을 것인가? 문학 자체의 생존이란 문제를 떠남으로써 문학을 더 풍요롭게 계승하는 일이 혹 가능할까?이 책에서 살펴본 기원의 풍경은 한국의, 근대의, 문학의 기원에 두루 해당한다. 오늘날 목격하고 있는 것이 문학의 죽음일 뿐 아니라 멀리는 1900년대 이래, 가까이는 1960년대 이래 한반도(남녘)에서 구축해 온 체제 전반의 위기라고 한다면, 기원을 참조할 필요는 더 절실해진다. (‘지금, 여기’에 필연성의 신화를 덧씌우는 대신 기원 속 각축과 경합과 공존의 양상을 살피고, 억압되고 외면당했던 몫을 추스르고, 현재 자체를 새롭게 읽어내는 속에서 길은 혹시 열릴 것이다.) <책표지에서>
수록내용
●증보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제1장 서론 : 민족ㆍ근대ㆍ소설
1. '1900년대'라는 시기
2. 문제 제기와 연구의 시각
●제2장 '문학'범주 형성의 배경
1. '지ㆍ덕ㆍ체'와 '지ㆍ정ㆍ의'
2. '미술' 개념의 추이와 예술
3. '문(文)' 개념의 함의와 근대문학
●제3장 '개량'의 의미와 소설의 민족성
1. 소설 개량론과 '풍속'의 의의
2. '국민'의 가치와 소설 언어
3. 자국어 구상과 담론적 특징
●제4장 '내면'의 형성과 소설의 예술성
1. 풍속론의 해체와 언어의 질서
2. '사실'의 제도화와 허구의 기획
3. 소설의 문체적 정립과 '현실'의 근거
●제5장 결론 : 종말과 기원
●부언 : 2006년의 몇마디
●부록
1-1. 1900년대 풍속 자료 解題
1-2. 가정주의
1-3. 서호문답(西湖問答)
2-1.『학지광』제8호와 편집장 이광수
2-2. 이광수 발굴 자료
●참고문헌
●찾아보기
●초판 머리말
●제1장 서론 : 민족ㆍ근대ㆍ소설
1. '1900년대'라는 시기
2. 문제 제기와 연구의 시각
●제2장 '문학'범주 형성의 배경
1. '지ㆍ덕ㆍ체'와 '지ㆍ정ㆍ의'
2. '미술' 개념의 추이와 예술
3. '문(文)' 개념의 함의와 근대문학
●제3장 '개량'의 의미와 소설의 민족성
1. 소설 개량론과 '풍속'의 의의
2. '국민'의 가치와 소설 언어
3. 자국어 구상과 담론적 특징
●제4장 '내면'의 형성과 소설의 예술성
1. 풍속론의 해체와 언어의 질서
2. '사실'의 제도화와 허구의 기획
3. 소설의 문체적 정립과 '현실'의 근거
●제5장 결론 : 종말과 기원
●부언 : 2006년의 몇마디
●부록
1-1. 1900년대 풍속 자료 解題
1-2. 가정주의
1-3. 서호문답(西湖問答)
2-1.『학지광』제8호와 편집장 이광수
2-2. 이광수 발굴 자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