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59] 문학제도 및 민족어의 형성과 한국 근대문학(1890-1945) : 제도, 언어, 양식의 지형도 연구

- 제목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59] 문학제도 및 민족어의 형성과 한국 근대문학(1890-1945) : 제도, 언어, 양식의 지형도 연구
- 저자
- 김영민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5-06-22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나는 한국의 근대문학 지도를 그린다는 생각으로 이 책을 썼다. 내가 목표로 한 것은 시간과 공간을 모두 아우르는 지도이다. 이 지도는 개별 작가 및 작품들이 놓여 있는 시간적ㆍ공간적 위치가 어디인가를 보여준다. 이 책을 통해 한국 근대 문학사(1890~1945) 속의 수많은 의미 있는 지형지물에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다.제1장은 근대적 문학 제도의 탄생과 문화 지형도의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여기에서는 근대적 매체와 작가의 탄생 과정, 독자 참여의 제도적 정착 과정에 대해 정리했다. 제2장은 근대 민족어의 형성과 근대문학 문체의 정립 과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여기에서는 언어 관습의 변화와 표기법의 다양화 양상 및 한글 소설의 정착 과정에 대해 정리했다.제3장은 근대 서사 양식의 전개 과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제4장은 논의를 마무리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먼저 동양의 서사 문학에 대한 이해와 한국 근대 서사 양식 전개사의 특수성에 대해 다루었다. 이어서 제도사 연구가 다루어야 할 영역에 대한 몇 가지 생각을 보충한 후, 지금까지 다룬 내용들에 대한 종합적 정리를 시도했다. <책표지에서>
수록내용
●책머리에
●제1장 근대적 문학제도의 탄생과 문화 지형도의 변화
제1절 근대 매체의 탄생과 잡보 및 소설의 등장
1.『조선신보』와『한성순보』의 지면 구성
2.『한성신보』와 잡보란의 활성화
3.『대한매일신보』와 소설란의 활성화
4. 근대 잡지의 출현과 소설란의 정착
제2절 근대 작가의 탄생과 저작의 권리
1. 근대 작가의 탄생
2. 출판의 관행과 저작의 권리
제3절 근대 독자의 형성과 창작 참여 제도의 정착
1. 근대 매체의 독자 참여와 투고 서사물의 출현
2. 독자 창작 참여의 제도적 정착 과정
●제2장 근대 민족어의 형성과 근대문학 문체의 정립
제1절 국한문체 및 국문체의 등장
1. 한말 정부의 국한문 및 한글 사용 정책과 그 영향
2. 지식인의 국한문 및 한글 사용 의지와 그 의미
제2절 근대 매체의 언어 선택과 그 의미
1. 신문의 국한문체 및 국문체 사용과 그 의미
2. 잡지의 국한문체 및 국문체 사용과 그 의미
제3절 근대적 표기법의 다양화와 한글 소설의 정착 과정
1. 근대계몽기의 문체와 다양한 표기의 유형들
2. 근대계몽기 한글 소설의 정착 과정
●제3장 근대 서사의 전개와 소설 양식의 변이
제1절 신소설 개념의 변화와 문학사적 의미
1. 보통명사로서의 신소설
2. 고유명사로서의 신소설
3. 신소설의 양식화
4. 신소설류 단행본의 작가와 작품
제2절 단편소설의 등장과 서사 유형의 다양화
1. 단형 서사문학의 등장과 전개
2. 단편소설 용어의 등장 과정
3. 근대 단편소설의 정착과 발전
제3절 서사의 장형화와 근대 장편소설의 전개
1. 연재 서사물의 출현과 서사의 장형화
2. 근대 장편소설의 출현
3. 신문소설의 전개와 장편소설의 정착
4. 근대 잡지와 장편소설의 전개
●제4장 마무리 : 제도ㆍ언어ㆍ양식의 지형도
●제1장 근대적 문학제도의 탄생과 문화 지형도의 변화
제1절 근대 매체의 탄생과 잡보 및 소설의 등장
1.『조선신보』와『한성순보』의 지면 구성
2.『한성신보』와 잡보란의 활성화
3.『대한매일신보』와 소설란의 활성화
4. 근대 잡지의 출현과 소설란의 정착
제2절 근대 작가의 탄생과 저작의 권리
1. 근대 작가의 탄생
2. 출판의 관행과 저작의 권리
제3절 근대 독자의 형성과 창작 참여 제도의 정착
1. 근대 매체의 독자 참여와 투고 서사물의 출현
2. 독자 창작 참여의 제도적 정착 과정
●제2장 근대 민족어의 형성과 근대문학 문체의 정립
제1절 국한문체 및 국문체의 등장
1. 한말 정부의 국한문 및 한글 사용 정책과 그 영향
2. 지식인의 국한문 및 한글 사용 의지와 그 의미
제2절 근대 매체의 언어 선택과 그 의미
1. 신문의 국한문체 및 국문체 사용과 그 의미
2. 잡지의 국한문체 및 국문체 사용과 그 의미
제3절 근대적 표기법의 다양화와 한글 소설의 정착 과정
1. 근대계몽기의 문체와 다양한 표기의 유형들
2. 근대계몽기 한글 소설의 정착 과정
●제3장 근대 서사의 전개와 소설 양식의 변이
제1절 신소설 개념의 변화와 문학사적 의미
1. 보통명사로서의 신소설
2. 고유명사로서의 신소설
3. 신소설의 양식화
4. 신소설류 단행본의 작가와 작품
제2절 단편소설의 등장과 서사 유형의 다양화
1. 단형 서사문학의 등장과 전개
2. 단편소설 용어의 등장 과정
3. 근대 단편소설의 정착과 발전
제3절 서사의 장형화와 근대 장편소설의 전개
1. 연재 서사물의 출현과 서사의 장형화
2. 근대 장편소설의 출현
3. 신문소설의 전개와 장편소설의 정착
4. 근대 잡지와 장편소설의 전개
●제4장 마무리 : 제도ㆍ언어ㆍ양식의 지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