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고전문학] 조선 후기 사행가사의 문학적 흐름

제목
[고전문학] 조선 후기 사행가사의 문학적 흐름
저자
김윤희 저
발행처
소명출판
발행년도
2015-06-22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문학 > 문학일반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사행가사를 연구함에 있어 내재적 분석에 국한되었던 기존의 관점을 지양하고 동아시아 관계사에 기반한 입체적 접근과 한문기록과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개별 작품들의 세계 인식과 문학적 특질을 보다 선명하게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사행가사는 조선시대의 지식인들의 외교적 체험이 소재가 되어 16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지속적으로 창작ㆍ향유된 일련의 작품군으로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편적인 작품론으로는 해명되지 않았던 인식의 지층과 문학적 특질의 제양상은 통시적 고찰의 시야에서 보다 선명하게 확인될 수 있었다.본 연구에서는 작품들에 발현된 중화주의나 화이관이 대타적 자국 인식의 기제가 전제된 관념이라는 점에 유의하여 그 현상적 변모보다는 작품이나 시기에 따라 단속적(斷續的)으로 발현된 양상에 주목해 보았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작품들의 창작 원리를 논증함으로써 자신의 사행록이나 관련 기록들을 토대로 재구성한 사행가사의 문학적 관습과 그 지속적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책표지에서>

수록내용

●책머리에

●제1장 사행가사 연구의 동향과 방법론의 모색

1. 문제의 소재 및 연구사의 주요 동향

2.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론의 모색

1) 동아시아 관계사와 중화주의·화의관

2) 여행자 문학, 율격론, 가사 양식

3) 수용자 담론, 문학사적 관점

●제2장 16∼18세기 사행가사의 세계 인식과 문학적 특질

1. 16세기 - 사행문학의 타자 인식과 국문 시가의 동향

2. 17세기 - 중화주의와 내면의 서정적 조응

1) 중국

(1)〈장유가B〉

(2)〈연행별곡〉,〈서정별곡〉

2) 일본

(1)〈장유가A〉

3. 18세기 - 대타적 자국 인식과 표상의 확대

1) 중국

(1)〈연행장도가〉

(2)〈표해가〉

2) 일본

(1)〈일동장유가〉

●제3장 19세기 이후 사행가사의 역동적 변모 양상

1. 19세기-연행 체험에 대한 적극적 인식과 다층적 형상화

1) 중국

(1)〈무자서행록〉

(2)〈임자연행별곡〉

(3)〈병인연행가〉

(4)〈북행가〉

2. 20세기 초-근대적 세계에 대한 인식과 표상의 변모

1) 일본

(1)〈유일록〉

2) 영국

(1)〈셔유견문록〉

●제4장 사행가사의 문화적 연속성과 문학사적 위상

1. 사행가사 창작 및 향유에 대한 통시적 고찰

2. 조선 후기 사행가사의 문학사적 의의

●제5장 결론

●참고문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