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63] 근대 대중가요의 매체와 문화

- 제목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63] 근대 대중가요의 매체와 문화
- 저자
- 장유정 저
- 발행처
- 소명출판
- 발행년도
- 2015-08-11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 [KRpia 기본분류] 예술 > 음악
- [KDC ] 예술 > 음악
제품소개
이 책은 매체, 산업, 도시, 연예인이라는 핵심어를 중심으로 근대 대중가요의 구체적인 모습을 그리고 있다. 유성기 음반의 제한된 재생 시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노래를 찾는 과정 속에서 본격적인 의미의 대중가요가 형성되었으며, 유성기 음반과 라디오 방송을 통해 이 시기 가수들의 노래가 단시간 내에 광범위한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이른바 대중스타가 출현하게 되었다. 라디오 방송과 유성기 음반은 취향 공동체를 성립시키는 데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음악적 취향이 비슷한 대중끼리 서로 공감대와 연대감을 형성하면서 취향 공동체를 형성해 나간 모습을 포착하고 있다.이어서 1930년대의 대표적인 매체였던 신문과 유성기 음반의 글쓰기 방식을 분석하였다. 실제 사건인 ‘김봉자와 노병운의 정사 사건’을 소개하고, 신문에서 이 사건을 다루는 글쓰기 방식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러한 실화가 음반매체와 만나서 대중적 문예물로 변용된 양상과 그 글쓰기 방식의 특성을 고찰하고 있다.이 책에서 주목한 점은 당시의 우리나라가 일본의 식민지였고 순수하게 우리나라 자본으로 만들어진 음반회사가 거의 없을지라도 한 가지 분명한 것, 당시의 대중가요가 우리나라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졌고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판매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에 기반으로 이 책은 당시의 음반회사들이 음반의 판매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 여러 방법들을 마케팅 전략이라고 명명하여 그 구체적인 모습을 제시해 준다.
수록내용
●책머리에
●제1부 근대 대중가요와 매체/산업/도시
제1장 라디오와 유성기의 출현과 음악 문화의 변모 양상
1. 머리말
2. 대중매체와 '공공 영역'의 출현
3. 대중매체의 출현으로 인한 음악 문화의 변화 양상
4. 맺음말
제2장 1930년대 근대매체의 실화 수용에 따른 글쓰기 방식의 변화 고찰
1. 머리말
2. 신문매체와 실화
3. 음반매체의 실화 수용 양상
4. 매체와 글쓰기를 통해 본 1930년대 문화의 한 특징
5. 맺음말
제3장 20세기 전반기 음반회사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일고찰
1. 머리말
2. 상품으로서의 음반
3. 음반회사의 마케팅 전략
4. '얼굴 없는 가수'의 등장과 의미
5. 맺음말
제4장 1930년대 서울 노래의 이중성 - 웃음과 눈물의 이중주
1. 머리말
2. 1930년대 서울의 이중성
3. 1930년대 서울 노래의 이중성
4. 맺음말
제5장 만요(漫謠)를 통해 본 1930년대의 근대문화
1. 머리말
2. 만요의 개념과 범주
3. 만요에 나타나는 근대적인 삶의 양상
4. 맺음말
●제2부 근대 대중가요와 연예인
제1장 이 땅에서 '별'로 산다는 것은 - 대중가수의 탄생에서 귀환까지
1. 머리말
2. 별들의 탄생
3. 별들의 향연
4. 별들의 비애
5. 맺음말 - 별들의 귀환
제2장 무용가 최승희와 대중가요
1. 머리말
2. 최승희의 생애와 행적
3. 최승희가 부른 대중가요
4. 음반을 취입한 경위와 그 의미
5. 맺음말
제3장 1930년대 기생의 음악활동 일고찰 - 대중가요 가수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기생들의 대중가요계 진출
3. 기생 가수에 대한 대중들의 호응
4. 기생이 취입한 음반 목록과 그들의 생애
5. 대중가요계에서 기생 가수들의 위상과 그 의미
6. 맺음말
제4장 20세기 전반기 기생 소재 대중가요의 노랫말 분석
1. 머리말
2. 기생 소재 대중가요의 초기 모습
3. 기생 소재 대중가요의 화자별 양상
4. 기생 소재 대중가요의 의의
5. 맺음말
●제1부 근대 대중가요와 매체/산업/도시
제1장 라디오와 유성기의 출현과 음악 문화의 변모 양상
1. 머리말
2. 대중매체와 '공공 영역'의 출현
3. 대중매체의 출현으로 인한 음악 문화의 변화 양상
4. 맺음말
제2장 1930년대 근대매체의 실화 수용에 따른 글쓰기 방식의 변화 고찰
1. 머리말
2. 신문매체와 실화
3. 음반매체의 실화 수용 양상
4. 매체와 글쓰기를 통해 본 1930년대 문화의 한 특징
5. 맺음말
제3장 20세기 전반기 음반회사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일고찰
1. 머리말
2. 상품으로서의 음반
3. 음반회사의 마케팅 전략
4. '얼굴 없는 가수'의 등장과 의미
5. 맺음말
제4장 1930년대 서울 노래의 이중성 - 웃음과 눈물의 이중주
1. 머리말
2. 1930년대 서울의 이중성
3. 1930년대 서울 노래의 이중성
4. 맺음말
제5장 만요(漫謠)를 통해 본 1930년대의 근대문화
1. 머리말
2. 만요의 개념과 범주
3. 만요에 나타나는 근대적인 삶의 양상
4. 맺음말
●제2부 근대 대중가요와 연예인
제1장 이 땅에서 '별'로 산다는 것은 - 대중가수의 탄생에서 귀환까지
1. 머리말
2. 별들의 탄생
3. 별들의 향연
4. 별들의 비애
5. 맺음말 - 별들의 귀환
제2장 무용가 최승희와 대중가요
1. 머리말
2. 최승희의 생애와 행적
3. 최승희가 부른 대중가요
4. 음반을 취입한 경위와 그 의미
5. 맺음말
제3장 1930년대 기생의 음악활동 일고찰 - 대중가요 가수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기생들의 대중가요계 진출
3. 기생 가수에 대한 대중들의 호응
4. 기생이 취입한 음반 목록과 그들의 생애
5. 대중가요계에서 기생 가수들의 위상과 그 의미
6. 맺음말
제4장 20세기 전반기 기생 소재 대중가요의 노랫말 분석
1. 머리말
2. 기생 소재 대중가요의 초기 모습
3. 기생 소재 대중가요의 화자별 양상
4. 기생 소재 대중가요의 의의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