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고서화 고문헌 등에 나타난 명승자원 발굴조사 : 충남·충북·대전·전남·전북·광주

제목
고서화 고문헌 등에 나타난 명승자원 발굴조사 : 충남·충북·대전·전남·전북·광주
저자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저
발행처
문화재청
발행년도
2019-02-28

주제분류

  • [키워드]

    #명승 #발굴조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지리
  • [KDC ] 예술 > 예술

제품소개

본 조사 연구는 명승 자원에 접근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이 분야에 주로 기여해왔던 조경학과 지리학 외에 한문학과 회화 연구를 아우르는 학제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 명승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그 성과를 인문·사회과학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나아가 명승이 갖는 인문적·문화적 가치를 보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오늘날 널리 요구되는 ‘경관을 매개로 한 스토리텔링’을 위한 토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Ⅰ. 조사 목적 및 필요성 중에서 -

수록내용

● Ⅰ. 조사 목적 및 필요성
1. 명승의 개념 및 가치

2. 연구의 필요성

● Ⅱ. 조사 내용 및 방법
1. 조사 내용

2. 조사 방법

3. 주요 자료의 가치와 활용 방법
1) 지리지(地理誌)
2) 고시문(古詩文)
3)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

4. 연구 분담 체계

● Ⅲ. 조사 대상 명승 자원 현황
1. 우선지정대상 명승 자원의 명칭과 위치

2. 우선지정대상 명승 자원별 개관
1) 영동 황간 한천팔경
2) 대전 남간정사
3) 구례 오산 사성암 일원
4) 월출산 천황봉 일원
5) 부안 봉래곡 직소폭포 일원

3. 추후지정대상 명승 자원의 명칭과 위치

4. 추후지정대상 명승 자원별 개발
1) 영동 황간 석천 계곡
2) 단양 영춘 북벽
3) 무등산 광석대와 규봉
4) 천관산
5) 대둔산

● Ⅳ. 정밀 조사 및 지정 가치
1. 우선지정대상 명승 자원
1) 영동 황간 한천팔경
2) 대전 남간정사
3) 구례 오산 사성암 일원
4) 월출산 천황봉 일원
5) 부안 봉래곡 직소폭포 일원

2. 추후지정대상 명승 자원
1) 영동 황간 석천 계곡
2) 단양 영춘 북벽
3) 무등산 광석대와 규봉
4) 천관산
5) 대둔산

● Ⅴ.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앞으로의 과제
1. 기대 효과

2. 활용 방안

3. 앞으로의 과제

● Ⅵ. 참고문헌

● 부록
1. 명승 자원 조사 보고서

2. 우선지정대상 명승 자원의 지정범위 번지 일람표

3. 조선시대의 지리지에 수록된 명승 자원 목록

4. 최종 검토 대상 명승 자원 목록

5. 최종 검토에서 탈락한 명승 자원 목록 및 사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