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국역 가례도감의궤(國譯 嘉禮都監儀軌)

제목
국역 가례도감의궤(國譯 嘉禮都監儀軌)
저자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 저
발행처
문화재청
발행년도
2019-02-28

주제분류

  • [키워드]

    #조선시대사 #의궤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조선시대
  • [KDC ] 사회과학 > 풍속, 예절, 민속학

제품소개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조선의 궁중문화를 이해하고 아울러 궁중과 민간의 풍속을 비교 연구하기 위하여 그 첫 번째 연구대상으로 가례도감의궤를 국역하게 된 것입니다.

가례는 오례(五禮)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인데, 조선시대에는 왕은 물론 왕세자의 혼례가 있을 때에도 가례도감이라는 임시 기구를 설치하여 여러 행사를 주관했으며 행사가 끝나면 가례 도감 설치시 의 조직, 임무, 예규, 행사, 결과 등 모든 사항들을 의궤의 형태로 기록하였던 것입니다.

의궤란 의식의 궤범이라는 뜻으로 가례뿐만 아니라 왕실의 장례, 제사, 잔치, 활쏘기, 태실봉안, 행차, 궁궐건설 등 주요 행사가 있을 때 마다 의궤를 만들었습니다.

이번 국역한 이 가례도감의궤는 조선 21대 영조(1694~1776, 재위 1724~1776)가 김한구의 딸인 정순왕후(貞純王后, 1745~1805)와 혼인하는 모든 의식을 기록한 것입니다. - 머리말 중에서 -

수록내용

● 머리말



● 일러두기



● 상권

도청의궤 都廳儀軌

이조 별단(吏曹別單)

도감사목(都監事目)

계사질(啓辭秩)

도감별단(都監別單)

도감에서 거행할 물목의 별단

도감별단(都監別單)

예관질(禮關秩)

이문질(移文秩)

내관질(來關秩)

품목질(稟目秩)

감결질(甘結秩)

품목질(稟目秩)

감결질(甘結秩)

일방 의궤 一房儀軌

대전 가례시 본방이 맡아보는 일

육례시 거행질(六禮時擧行秩)

상의원이 점하(點下)에 의하여 거행한 별단질

품목질(稟目秩)

감결질(甘結秩)

이문질(移文秩)

실입질(實入秩)

용환질(用還秩)

공장질(工匠秩)

교명문(敎命文)

의주질(儀註秩)



● 하권

이방 의궤 二房儀軌

대전 가례시 본방이 맡아보는 일

품목질(稟目秩)

이문질(移文秩)

감결질(甘結秩)

실제 들어가는 수량(實入數)

용환질(用還秩)

호조에 되돌려 준 물품목록

공장질(工匠秩)

삼방 의궤 三房儀軌

대전 가례 본방이 관장하는 것

품목질(稟目秩)

감결질(甘結秩)

이문질(移文秩)

실입질(實入秩)

용환질(用還秩)

공장질(工匠秩)

별공작 의궤 別工作儀軌

대전 가례때(大殿嘉禮) 감역관 명단

별궁 진배질(別宮進排秩)

수랏간 진배질(水刺間進排秩)

별궁진배기명조작질(別宮進排器皿造作秩)

수본질(手本秩)

이문질(移文秩)

실입질(實入秩)

용환질(用還秩)

전배 용환질(前排用還秩)

공장질(工匠秩)

수리소 의궤 修理所儀軌

대전가례때(大殿嘉禮) 감역관

수본질(手本秩)

이문질(移文秩)

실입질(實入秩)

용환질(用還秩)

공장질(工匠秩)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