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영첨(國譯 靈籤)
제품소개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전통문화의 올바른 계승과 우리 민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국민속문헌자료』를 집대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그 성과물의 하나로 점복서 연구에 귀중한 자료인 『국역 영첨』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1첨에서 100첨까지의 내용이 수록된 『영첨』은 다른 점복서와는 달리 점괘를 풀이하고 또 예전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면서 사람들에게 점괘풀이보다 권선징악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예컨대, 아무리 좋은 점괘가 나왔다 하더라도 적선을 해야 복을 누리며, 설사 나쁜 점괘가 나왔다 하더라도 적선하고 근신하면 재앙을 면할 수 있다는 식으로 사람에게 권선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점복은 인간의 지능으로 예측할 수 없는 미래사나 미지의 일을 주술의 힘을 빌려 추리 내지는 판단하고자 하는 행위로, 인류생활과 함께 병행되어왔습니다. 최근 일간신문지마다 일일운세가 있는 것도 점복과 무관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점복관련 희귀문헌인 『국역 영첨』이 학문적 연구가 미비한 점복연구에 유익한 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 〈발간사〉 중에서 -
1첨에서 100첨까지의 내용이 수록된 『영첨』은 다른 점복서와는 달리 점괘를 풀이하고 또 예전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면서 사람들에게 점괘풀이보다 권선징악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예컨대, 아무리 좋은 점괘가 나왔다 하더라도 적선을 해야 복을 누리며, 설사 나쁜 점괘가 나왔다 하더라도 적선하고 근신하면 재앙을 면할 수 있다는 식으로 사람에게 권선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점복은 인간의 지능으로 예측할 수 없는 미래사나 미지의 일을 주술의 힘을 빌려 추리 내지는 판단하고자 하는 행위로, 인류생활과 함께 병행되어왔습니다. 최근 일간신문지마다 일일운세가 있는 것도 점복과 무관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점복관련 희귀문헌인 『국역 영첨』이 학문적 연구가 미비한 점복연구에 유익한 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수록내용
발간사
머리말
제 1첨 한고조가 함곡관에 들어가다(漢高祖入關)
제 2첨 장자방이 적송자를 좇아 놀다(張子房遊赤松子)
제 3첨 가의가 한문제를 만나다(賈誼遇漢文帝)
제 4첨 소진왕이 시내를 세 번 뛰어오름이라(小秦王三跳澗)
제 5첨 여몽정이 곤함을 지킴이라(蒙正守困)
제 6첨 인상여가 구슬을 완전히 조나라로 보내다(相如完璧歸趙)
제 7첨 여동빈이 단약을 고아 만들다(呂祖煉丹)
제 8첨 대순이 역산에서 밭갈으시다(大舜耕歷山)
제 9첨 송태조 진교에서 즉위하다(宋太祖陳橋卽位)
제 10첨 염백우 병드다(염伯牛染病)
제 11첨 한신의 공로가 오래지 못하다(韓信功勞不久)
제 12첨 소무가 양을 치다(蘇武牧羊)
제 13첨 강태공이 고기를 낚다(姜太公釣魚)
제 14첨 곽화가 왕월영을 생각하다(郭華戀王月英)
제 15첨 장군서 앵앵을 생각하다(張君瑞憶鶯鶯)
제 16첨 왕상이 얼음에 눕다(王祥臥氷)
제 17첨 석숭이 난을 만나다(石崇被難)
제 18첨 맹상군이 어진 이를 부르다(孟嘗君招賢)
제 19첨 유지원이 악씨를 얻다(劉智遠得岳氏)
제 20첨 엄자릉이 고기 낚는 대에 오르다(嚴子陵登釣臺)
제 21첨 손빈과 방연이 지혜를 싸워 원수를 맺다(孫龐鬪智結仇)
제 22첨 이태백이 당명황을 만나다(李太白遇唐明皇)
제 23첨 오왕이 서시를 사랑하다(吳王愛西施)
제 24첨 장건이 그릇 두우궁에 들어가다(張騫오入斗牛宮)
제 25첨 당명황이 월궁에 놀다(唐明皇遊月宮)
제 26첨 소요부가 하늘에 고함이라(邵堯夫告天)
제 27첨 강동이 도를 얻다(江東得道)
제 28첨 상여가 다리에 씀이라(相如題橋)
제 29첨 사마온공이 곤함을 차탄함이라(司馬溫公嗟困)
제 30첨 유의의 글을 전함이라(柳義傳書)
제 31첨 소경이 신을 저버림이라(蘇卿負信)
제 32첨 주공이 해몽하심이라(周公解夢)
제 33첨 장자가 도를 사모함이라(莊子慕道)
제 34첨 소하가 한신을 따름이라(蕭何追韓信)
제 35첨 왕소군이 화번함이라(王昭君和番)
제 36첨 나은이 벼슬을 구함이라(羅隱求官)
제 37첨 소요부가 향 피우고 빎이라(邵堯夫祝香)
제 38첨 맹강녀가 지아비를 생각함이라(孟姜女思夫)
제 39첨 도연명이 국화를 상줌이라(陶淵明賞菊)
제 40첨 한광무가 곤양을 함락함이라(漢光武陷昆陽)
제 41첨 유문룡이 벼슬을 구함이라(劉文龍求官)
제 42첨 동영이 몸을 파는 것이라(董永賣身)
제 43첨 유선주가 황학루 잔치에 가심이라(劉先主黃鶴樓赴宴)
제 44첨 왕망이 찬위함이라(王莽纂位)
제 45첨 한고조가 정공을 만남이라(高祖遇丁公)
제 46첨 외로운 아이가 원수를 갚음이라(孤兒報寃)
제 47첨 초한이 쟁봉함이라(楚漢爭鋒)
제 48첨 조오랑이 지아비를 찾음이라(趙五娘尋夫)
제 49첨 장자방이 자취를 감춤이라(張子房遁迹)
제 50첨 소동파가 백성을 권함이라(蘇東坡勸民)
제 51첨 어구에 붉은 잎사귀가 흐름이라(御溝流紅葉)
제 52첨 광형이 밤에 글을 읽음이라(匡衡夜讀書)
제 53첨 유선주가 손권의 누이에게 장가 가심이라(劉先主入贅孫權妹)
제 54첨 소진이 다리를 찌름이라(蘇秦刺股)
제 55첨 포용도가 농사를 권함이라(包龍圖勸農)
제 56첨 왕추밀이 간험함이라(王樞密奸險)
제 57첨 도끼자루 썩도록 바둑 둠을 봄이라(柯觀棋)
제 58첨 소진이 칼을 짐이라(蘇秦背劍)
제 59첨 등백도가 자식이 없음이라(鄧伯道無兒)
제 60첨 송교 형제 동방 급제함이라(宋郊兄弟同科)
제 61첨 괴철이 한신을 봄이라(괴徹見韓信)
제 62첨 한신이 패왕과 싸움함이라(韓信戰覇王)
제 63첨 양영공이 이능의 빗돌을 침이라(楊令公撞李陵碑)
제 64첨 관중·포숙이 금을 나눔이라(管鮑分金)
제 65첨 몽정이 목란과 글을 화답함이라(蒙正木蘭和詩)
제 66첨 두보가 봄에 놂이라(杜甫遊春)
제 67첨 강유가 아이를 부탁함이라(江遺囑兒)
제 68첨 전대왕이 소금을 팖이라(錢大王販鹽)
제 69첨 손빈과 방연이 지혜를 싸움이라(孫龐鬪智)
제 70첨 왕증이 기도함이라(王曾祈禱)
제 71첨 소무가 고향에 돌아옴이라(蘇武還鄕)
제 72첨 범려가 오호로 돌아감이라(范려歸湖)
제 73첨 왕소군이 한제를 생각함이라(王昭君憶漢帝)
제 74첨 최무가 벼슬을 구함이라(崔武求官)
제 75첨 유소저가 몽정을 사랑함이라(劉小姐愛蒙正)
제 76첨 소하가 율문을 주 냄이라(蕭何註律)
제 77첨 여후가 한신을 해함이라(呂后害韓信)
제 78첨 원안이 곤함을 지킴이라(袁安守困)
제 79첨 문왕이 주역을 편차하심이라(文王編易卦)
제 80첨 곽박이 어미를 위하여 장사를 점복함이라(郭璞爲母卜葬)
제 81첨 구공이 뇌양 의원함이라(寇公任雷陽)
제 82첨 송인종이 어머님을 앎이라(宋仁宗認母)
제 83첨 제갈공명이 도를 배움이라(諸葛武侯學道)
제 84첨 수가가 범수를 해함이라(須賈害范수)
제 85첨 강녀가 지아비를 찾음이라(姜女尋夫)
제 86첨 관중과 포숙이 장사함이라(管鮑爲賈)
제 87첨 무후가 자경으로 더불어 배를 같이 탐이라(武侯與子敬同舟)
제 88첨 고문정이 곤함을 지킴이라(高文定守困)
제 89첨 반초가 옥문관으로 돌아감이라(班超歸玉門關)
제 90첨 양문광이 유주를 함몰함이라(楊文廣陷柳州)
제 91첨 조자룡이 태자를 품음이라(趙子龍抱太子)
제 92첨 고조가 한나라 백성을 다스림이라(高祖治漢民)
제 93첨 소강절이 음양을 정함이라(邵康節定陰陽)
제 94첨 제결이 장자 문에 지남이라(提結過長者門)
제 95첨 장문원이 벼슬을 구함이라(張文遠求官)
제 96첨 산도가 왕연을 봄이라(山濤見王衍)
제 97첨 주매신이 오십에 부귀함이라(買臣五十富貴)
제 98첨 설인귀 군사에 던져짐이라(薛仁貴投軍)
제 99첨 백리해가 진나라로 감이라(百里亥投秦)
제 100첨 당명황이 하늘에 빌어 고함이라(唐明皇禱告天)
關帝靈
머리말
제 1첨 한고조가 함곡관에 들어가다(漢高祖入關)
제 2첨 장자방이 적송자를 좇아 놀다(張子房遊赤松子)
제 3첨 가의가 한문제를 만나다(賈誼遇漢文帝)
제 4첨 소진왕이 시내를 세 번 뛰어오름이라(小秦王三跳澗)
제 5첨 여몽정이 곤함을 지킴이라(蒙正守困)
제 6첨 인상여가 구슬을 완전히 조나라로 보내다(相如完璧歸趙)
제 7첨 여동빈이 단약을 고아 만들다(呂祖煉丹)
제 8첨 대순이 역산에서 밭갈으시다(大舜耕歷山)
제 9첨 송태조 진교에서 즉위하다(宋太祖陳橋卽位)
제 10첨 염백우 병드다(염伯牛染病)
제 11첨 한신의 공로가 오래지 못하다(韓信功勞不久)
제 12첨 소무가 양을 치다(蘇武牧羊)
제 13첨 강태공이 고기를 낚다(姜太公釣魚)
제 14첨 곽화가 왕월영을 생각하다(郭華戀王月英)
제 15첨 장군서 앵앵을 생각하다(張君瑞憶鶯鶯)
제 16첨 왕상이 얼음에 눕다(王祥臥氷)
제 17첨 석숭이 난을 만나다(石崇被難)
제 18첨 맹상군이 어진 이를 부르다(孟嘗君招賢)
제 19첨 유지원이 악씨를 얻다(劉智遠得岳氏)
제 20첨 엄자릉이 고기 낚는 대에 오르다(嚴子陵登釣臺)
제 21첨 손빈과 방연이 지혜를 싸워 원수를 맺다(孫龐鬪智結仇)
제 22첨 이태백이 당명황을 만나다(李太白遇唐明皇)
제 23첨 오왕이 서시를 사랑하다(吳王愛西施)
제 24첨 장건이 그릇 두우궁에 들어가다(張騫오入斗牛宮)
제 25첨 당명황이 월궁에 놀다(唐明皇遊月宮)
제 26첨 소요부가 하늘에 고함이라(邵堯夫告天)
제 27첨 강동이 도를 얻다(江東得道)
제 28첨 상여가 다리에 씀이라(相如題橋)
제 29첨 사마온공이 곤함을 차탄함이라(司馬溫公嗟困)
제 30첨 유의의 글을 전함이라(柳義傳書)
제 31첨 소경이 신을 저버림이라(蘇卿負信)
제 32첨 주공이 해몽하심이라(周公解夢)
제 33첨 장자가 도를 사모함이라(莊子慕道)
제 34첨 소하가 한신을 따름이라(蕭何追韓信)
제 35첨 왕소군이 화번함이라(王昭君和番)
제 36첨 나은이 벼슬을 구함이라(羅隱求官)
제 37첨 소요부가 향 피우고 빎이라(邵堯夫祝香)
제 38첨 맹강녀가 지아비를 생각함이라(孟姜女思夫)
제 39첨 도연명이 국화를 상줌이라(陶淵明賞菊)
제 40첨 한광무가 곤양을 함락함이라(漢光武陷昆陽)
제 41첨 유문룡이 벼슬을 구함이라(劉文龍求官)
제 42첨 동영이 몸을 파는 것이라(董永賣身)
제 43첨 유선주가 황학루 잔치에 가심이라(劉先主黃鶴樓赴宴)
제 44첨 왕망이 찬위함이라(王莽纂位)
제 45첨 한고조가 정공을 만남이라(高祖遇丁公)
제 46첨 외로운 아이가 원수를 갚음이라(孤兒報寃)
제 47첨 초한이 쟁봉함이라(楚漢爭鋒)
제 48첨 조오랑이 지아비를 찾음이라(趙五娘尋夫)
제 49첨 장자방이 자취를 감춤이라(張子房遁迹)
제 50첨 소동파가 백성을 권함이라(蘇東坡勸民)
제 51첨 어구에 붉은 잎사귀가 흐름이라(御溝流紅葉)
제 52첨 광형이 밤에 글을 읽음이라(匡衡夜讀書)
제 53첨 유선주가 손권의 누이에게 장가 가심이라(劉先主入贅孫權妹)
제 54첨 소진이 다리를 찌름이라(蘇秦刺股)
제 55첨 포용도가 농사를 권함이라(包龍圖勸農)
제 56첨 왕추밀이 간험함이라(王樞密奸險)
제 57첨 도끼자루 썩도록 바둑 둠을 봄이라(柯觀棋)
제 58첨 소진이 칼을 짐이라(蘇秦背劍)
제 59첨 등백도가 자식이 없음이라(鄧伯道無兒)
제 60첨 송교 형제 동방 급제함이라(宋郊兄弟同科)
제 61첨 괴철이 한신을 봄이라(괴徹見韓信)
제 62첨 한신이 패왕과 싸움함이라(韓信戰覇王)
제 63첨 양영공이 이능의 빗돌을 침이라(楊令公撞李陵碑)
제 64첨 관중·포숙이 금을 나눔이라(管鮑分金)
제 65첨 몽정이 목란과 글을 화답함이라(蒙正木蘭和詩)
제 66첨 두보가 봄에 놂이라(杜甫遊春)
제 67첨 강유가 아이를 부탁함이라(江遺囑兒)
제 68첨 전대왕이 소금을 팖이라(錢大王販鹽)
제 69첨 손빈과 방연이 지혜를 싸움이라(孫龐鬪智)
제 70첨 왕증이 기도함이라(王曾祈禱)
제 71첨 소무가 고향에 돌아옴이라(蘇武還鄕)
제 72첨 범려가 오호로 돌아감이라(范려歸湖)
제 73첨 왕소군이 한제를 생각함이라(王昭君憶漢帝)
제 74첨 최무가 벼슬을 구함이라(崔武求官)
제 75첨 유소저가 몽정을 사랑함이라(劉小姐愛蒙正)
제 76첨 소하가 율문을 주 냄이라(蕭何註律)
제 77첨 여후가 한신을 해함이라(呂后害韓信)
제 78첨 원안이 곤함을 지킴이라(袁安守困)
제 79첨 문왕이 주역을 편차하심이라(文王編易卦)
제 80첨 곽박이 어미를 위하여 장사를 점복함이라(郭璞爲母卜葬)
제 81첨 구공이 뇌양 의원함이라(寇公任雷陽)
제 82첨 송인종이 어머님을 앎이라(宋仁宗認母)
제 83첨 제갈공명이 도를 배움이라(諸葛武侯學道)
제 84첨 수가가 범수를 해함이라(須賈害范수)
제 85첨 강녀가 지아비를 찾음이라(姜女尋夫)
제 86첨 관중과 포숙이 장사함이라(管鮑爲賈)
제 87첨 무후가 자경으로 더불어 배를 같이 탐이라(武侯與子敬同舟)
제 88첨 고문정이 곤함을 지킴이라(高文定守困)
제 89첨 반초가 옥문관으로 돌아감이라(班超歸玉門關)
제 90첨 양문광이 유주를 함몰함이라(楊文廣陷柳州)
제 91첨 조자룡이 태자를 품음이라(趙子龍抱太子)
제 92첨 고조가 한나라 백성을 다스림이라(高祖治漢民)
제 93첨 소강절이 음양을 정함이라(邵康節定陰陽)
제 94첨 제결이 장자 문에 지남이라(提結過長者門)
제 95첨 장문원이 벼슬을 구함이라(張文遠求官)
제 96첨 산도가 왕연을 봄이라(山濤見王衍)
제 97첨 주매신이 오십에 부귀함이라(買臣五十富貴)
제 98첨 설인귀 군사에 던져짐이라(薛仁貴投軍)
제 99첨 백리해가 진나라로 감이라(百里亥投秦)
제 100첨 당명황이 하늘에 빌어 고함이라(唐明皇禱告天)
關帝靈
시리즈
- 한국민속문헌자료집성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