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국역 해괴제등록(國譯 解怪祭謄錄)

제목
국역 해괴제등록(國譯 解怪祭謄錄)
저자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발행처
문화재청
발행년도
2019-02-28

주제분류

  • [키워드]

    #조선시대사 #등록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조선시대
  • [KDC ] 사회과학 > 풍속, 예절, 민속학

제품소개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전통문화 복원의 기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민속관련 문헌자료를 발굴·수집하고, 이를 역주 간행하여 집대성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그 성과물의 하나로 조선시대에 나라에서 해괴한 일이 일어났을 경우에 지내던 제사인 해괴제(解怪祭)의 전례(前禮)를 기록한 『해괴제등록(解怪祭謄錄)』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국역 해괴제등록』은 1638년(인조16)~1693년(숙종19)년 사이에 거행된 해괴제(解怪祭) 등 각종 제의에 관한 기록을 국역한 것입니다. 주로 지진이 일어났을 때 거행한 해괴제, 논밭의 충해가 심할 때에 거행한 포제(포祭), 전염병이 발병했을 때 거행한 기양제(祈禳祭) 등 224건의 기록을 예조(豫曹)에서 등록(謄錄)한 것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해괴제나 포제는 재해가 발생한 지방의 장계(狀啓)를 근거로 하여 그 시행여부가 정해지면, 예조(豫曹) 등에서 향(香)·축(祝)·폐(幣)를 보내주었습니다. 지방관리는 그에 따라 제물을 마련하고 제관을 정하여 그 제사를 거행하는 것이 대략의 절차입니다. 이 책에는 이러한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어, 17세기 천재지변 및 제례의식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귀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수록내용

발간사



일러두기



국역 해괴제 등록

무인(戊寅, 1638)

6월 23일 포제(?祭)용 향과 축을 도로 올려 보냄



경진(庚辰, 1640)

5월 초 4일 지진 해괴제



신사(辛巳, 1641)

2월 18일 해괴제



계미(癸未, 1643)

4월 18일 경상 지진

4월 20일 경상 지진 해괴제

4월 26일 해괴제는 전에 계하한 대로 시행할 것

5월 14일 경기 포제

7월 11일 경중 해괴제 정탈



갑신(甲申, 1644)

6월 24일 함경 포제



경인(庚寅, 1650)

6월 15일 충청 포제

(6월 15일) 함경의 포제·기우제·진구



정유(丁酉, 1657)

9월 초 6일 충청 지진

11월 20일 경상 지진

12월 초 2일 지진해괴제



무술(戊戌, 1658)

정월 초 4일 충청 지진

10월 23일 전라 지진

11월 26일 지진을 보고하지 않아 추고함



기해(己亥, 1659)

정월 초 10일 강원 지진

2월 25일 지진 해괴제



경자(庚子, 1660)

7월 초 6일 황해 포제

7월 20일 함경 포제

12월 초 3일 임피현 지진

12월 초 7일 옥구 지진



신축(辛丑, 1661)

4월 초 7일 기우제와 포제에 쓸 향·축

4월 12일 포제에 쓸 향·축



임인(壬寅, 1662)

3월 27일 평안 포제

6월 12일 함경 포제

11월 16일 강원 지진

11월 19일 해괴제를 설행하지 말라



계묘(癸卯, 1665)

5월 14일 해괴제

5월 16일 같은날 지진은 아울러 지낼 것

12월 15일 개성과 황해 지진



정미(丁未, 1667)

2월 23일 경상 지진

2월 28일 해괴제 일체 설행

3월 17일 해괴제의 축문 오류를 추고함

7월 26일 해괴제는 심한 곳에서 지내라

9월 초 3일 지진 회계 없음

12월 초 10일 해괴제 축문 오류를 추고함



무신(戊申, 1668)

6월 26일 함경 포제

7월 11일 포제는 형편 보아서 지낼 것을 결정함

7월 20일 황충 회계 없음



기유(己酉, 1669)

8월 24일 같은 날 발생한 지진은 따로 제사하지 말 것

9월 초 4일 해괴제의 향·축은 각각 보내지 말 것을 규정할 것



경술(庚成, 1670)

10월 초 4일 해괴제 절목 정탈(定奪)



신해(辛亥, 1671)

5월 29일 황충 회계 없음

6월 초 2일 황충 회계 없음

6월 초 5일 황충 회계 없음

6월 초 6일 호제에 쓸 향·축

6월 초 10일 함경 포제

6월 11일 경기 포제

6월 26일 포제에 쓸 향·축을 도로 올려보냄

6월 27일 충청 황충 회계 없음



임자(壬子, 1672)

3월 초 9일 지진 회계 없음



계축(癸丑, 1673)

3월 28일 지진 해괴제를 설행하지 말 것



갑인(甲寅, 1674)

3월 29일 충청 지진

10월 28일 해괴제를 행하지 말 것

12월 20일 해괴제를 행하지 말 것



을묘(乙卯, 1675)

윤5월 초 3일 경기 포제

9월 15일 경상 지진

9월 21일 충청 지진

9월 26일 황해 지진

10월 초 2일 평안 지진

10월 12일 황해 지진

11월 11일 평안 지진



병진(丙辰, 1676)

4월 11일 전라와 충청 지진

5월 20일 포제를 설행하지 않음

7월 초 2일 전라 지진



정사(丁巳, 1677)

7월 29일 평안 지진

9월 20일 전라도 지진 해괴제는 설행하지 말 것



무오(戊牛, 1678)

2월 초 8일 평안 지진

2월 12일 전라 지진

2월 13일 황해 지진

윤 3월 초 9일 전라 지진

4월 16일 경기 포제

6월 14일 강원 지진

12월 19일 충청 지진



기미(己未, 1679)

4월 11일 전라 지진

4월 12일 충청 지진

5월 29일 충청 포제

(5월 29일) 평안 포제

6월 초 4일 충청 지진

(6월 초 4일) 함경 포제

6월 초 5일 경기 포제

6월 초 5일) 강원 포제

6월 초 8일 함경 포제

6월 14일 함경 포제

(6월 14일) 경기 포제

7월 초 10일 황해 백충

7월 14일 함경 황충



경신(庚申, 1680)

정월 16일 평안 지진

정월 21일 충청 지진

6월 12일 충청 지진 설행하지 말 것

6월 15일 평안·함경 포제

6월 17일 황해 포제

7월 초 5일 함경 황충

10월 14일 경상 지진 포제는 설행하지 않음

12월 13일 전라 지진 회계하지 말 것



신유(辛酉, 1681)

3월 18일 평안 지진제

4월 초 5일 전라 지진을 보고하지 않아 추고함

(4월 초 5일) 경중 지진

4월 28일 개성 지진

(4월 28일) 강화 지진

5월 초 5일 경기

(5월 초 5일) 지진제는 이미 실행했으니, 중복하여 행하지 말 것

5월 초 9일 경기에 또 지진이 있음

(5월 초 9일) 각도의 지진

5월 13일 전라 지진

5월 19일 경기 등 지진제는 겹쳐 행할 수 없음

5월 25일 지진이 겹쳐 발생

(5월 25일) 강원 지진

(5월 25일) 황충

6월 초 2일 지진과 황충

6월 19일 지진

6월 21일 지진

(6월 21일) 지진

6월 22일 지진

(6월 22일) 지진

7월 초 4일 지진 회계하지 말 것

7월 초 7일 지진

9월 17일 지진 회계하지 말 것

(9월 17일) 지진 회계하지 말 것

11월 29일 지진 해괴제에 쓸 향·축

11월 30일 지진 해괴제에 쓸 향·축

12월 초 4일 삼척 지진은 강릉과 한꺼번에 설행할 것

12월 초 9일 지진 해괴제. 향·축 하송

12월 23일 해괴제 향·축을 잘못 쓴 자를 추고함



임술(壬戌, 1682)

정월 20일 황해 지진

2월 12일 강원 지진제

2월 25일 경상 지진제

4월 초 1일 경상 지진제는 한꺼번에 설행할 것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