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대한제국 1907 헤이그 특사

제목
대한제국 1907 헤이그 특사
저자
문화재청 저
발행처
문화재청
발행년도
2019-02-28

주제분류

  • [키워드]

    #한국근대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조선시대
  • [KDC ] 역사 > 아시아

제품소개

〈을사늑약〉,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 파견, 고종 황제의 퇴위 강요 등이 이루어진 역사적인 현장이 바로 중명전이었습니다.

중명전은 1904년 경운궁 대화재 이후 1907년 헤이그 특사 파견으로 인하여 고종이 황제에서 강제로 물러날 때까지 3년 이상을 사용한 곳이빈다.

1908년 고종이 덕수궁 안으로 옮겨 간 이후 중명전은 외국인의 사교장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한 때는 민간기업의 사무실로도 활용되는 등 온갖 풍상을 겪어왔습니다. 2006녀녀 문화재청이 이 건물을 인수하여, 2007년에 다시 덕수궁의 한 건물로 편입시킴으로써 명목상으로는 원상을 회복하게 되었습니다.

중명전은 대한제국이 처했던 긴박한 상황과 국제관계의 냉혹함을 다시 한번 되돌아 볼 수 있는 살아 있는 현장입니다. 문화재청은 이곳을 잘 복원하고 보존하여 과거의 역사를 교훈 삼아 오늘의 역사를 살펴보며, 우리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생각해보는 역사의 현장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헤이그 특사 파견 이후 100년, 그 격동의 현장에서 고종황제와 애국지사들의 국권회복 투쟁을 기리는 『대한제국 1907 헤이그 특사』특별전을 열게 된 것을 매우 뜻 깊게 생각합니다. - 〈고종황제의 국권회복 투쟁 헤이그 특사 100주년 기념 『대한제국 1907 헤이그 특사』특별 기획전을 열며〉 중에서 -

수록내용

● 「대한제국 1907 헤이그 특사」 특별전을 개최하며

● 인사말:유홍준 문화재청장

● 제1부 중명전과 고종과의 역사적 인연
01 중명전 약사
02 중명전과 사바찐
03 명칭의 변화
04 한국근대사와 중명전

● 제2부 〈을사늑약〉의 불법성
01 사진·삽화로 보는 한국근대사(1876∼1906)
02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과정
03 1905년 보호조약의 강요와 통감부 설치
04 〈을사늑약〉에 대한 저항

● 제3부 헤이그 특사 파견과 고종의 국권 회복 노력
01 사진·삽화로 보는 한국근대사(1907∼1910)
02 제1차 만국평화회의와 고종의 특사 파견 움직임
03 제2차 만국평화회의와 고종의 특사 파견
04 중명전을 떠나 헤이그로
05 헤이그에서 특사들의 구국활동
06 이르지못한 헤이그특명과 그 후 대한제국

● 제4부 논고
대한제국 또 하나의 현장, 중명전|김정동
대한제국의 국제적 환경과 중명전, 그리고 세계평화|최덕수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