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비해당소상팔경시첩

제목
비해당소상팔경시첩
저자
문화재청 저
발행처
문화재청
발행년도
2019-02-28

주제분류

  • [키워드]

    #조선시대사
  • [KRpia 기본분류] 문학 > 시
  • [KDC ] 문학 > 한국문학

제품소개

『비해당소상팔경시첩(匪懈堂瀟湘八景詩帖)』은 문학과 예술의 절정기였던 세종 시대인 1442년에 비해당 안평대군의 주도로 중국의 소상팔경을 소재로 삼아 당시 이름난 문인들에게 시를 짓게 한 것을 모아 엮은 것입니다. 실제로는 가볼 수 없어서 당시 이상경(理想景)으로 설정된 소상팔경을 대상으로 고려 이인로·진화의 시와 조선 세종 연간을 대표하는 성삼문·신숙주 등을 비롯한 문인 18명의 찬시와 이영서의 서문으로 구성되어 각 시마다 개성있는 필체에 다양한 서체를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의 내용으로 보아 그 시대의 문학수준을 충분히 가늠할 수 있습니다. - 〈《비해당소상팔경시첩》의 영인본 보급판을 출간하며〉 중에서 -

수록내용

● 《비해당소상팔경시첩》의 영인본 보급판을 출간하며|이건무

● 《비해당소상팔경시첩》번역|임재완
Ⅰ. 머리말
Ⅱ.《소상팔경시첩》번역

● 비해당 안평대군의〈소상팔경도〉|안휘준
Ⅰ. 머리말
Ⅱ.〈비해당소상팔경도〉의 제작 경위
Ⅲ.〈비해당소상팔경도〉의 제작 배경
1. 송대 문화의 수용
2. 고려시대 문화의 계승
3. 세종조의 문치 및 풍류의 반영
4. 시화일률사상의 구현
5. 이상경의 추구
Ⅳ.〈비해당소상팔경도〉의 제작 내역
1. 화가와 화풍
2. 팔경도의 형태와 순서
3. 작품 전체의 배열 순서
Ⅴ. 맺음말

● 《비해당소상팔경시권》의 글씨|이완우
Ⅰ. 조선 초의 문예와 비해당
1.《팔경시권》의 제작
2. 비해당과《동서당집고법첩》
Ⅱ.《비해당소상팔경시권》의 고찰
1. 전래 경로와 현상
2. 시문 순서와 복원
3. 인영의 문제
Ⅲ.《비해당소상팔경시권》의 글씨
1. 서로 같거나 흡사한 글씨
2. 본인 것으로 추정되는 글씨
3. 본인 것임을 알기 어려운 글씨
Ⅳ.《비해당소상팔경시권》의 의미

● 《비해당소상팔경시첩》한시의 특징|안장리
Ⅰ. 머리말
Ⅱ. 소상팔경시의 유입과 전개
1. 이인로·진화
2. 이제현
3. 이색
Ⅲ.《비해당소상팔경시첩》의 특징
1. 산수지취
2. 시화일치
3. 성시산림
Ⅳ. 맺음말

● 《비해당소상팔경시첩》해설|임창순
Ⅰ. 시첩의 제작과 전래
1. 소상팔경
2. 시첩의 제작
3. 전래된 경로
Ⅱ. 시첩의 현상
Ⅲ. 본첩의 문화사자료적 의의

● Extraction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