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과 실존 : 언어철학, 그리고 시와 과학

- 제목
- 인식과 실존 : 언어철학, 그리고 시와 과학
- 저자
- 박이문 저
- 발행처
- 미다스북스
- 발행년도
- 2019-04-19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박이문 인문학 전집』의 출간 기획은 2014년부터 시작되었다. 박이문 선생과 부인 유영숙 여사의 격려와 지원을 통해 큰 힘을 손에 쥐고 출발했다. 전집의 목차 구성은 박이문 선생의 인문학적 저작을 주제별·시간대별로 분류한 결과물이다. 제5권 『인식과 실존』은 인간의 세상을 향한 인식과 삶을 살아가는 실존적 존재가 언어를 통해 만들어내는 시와 이성 등의 언어철학적 문제를 다룬 글들이다. 1부는 『인식과 실존』(1982)에서 다룬 해석학의 여러 문제를 다룬 글들이며, 2부는 1975년에 발간된 『시와 과학』으로 문학과 과학의 본질적인 차이를 철학적으로 명쾌하게 규명하면서 문학의 본질에 대한 체계적인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3부는 이성과 도덕성과 같은 인간의 품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4부는 언어를 매개로 한 시와 철학의 관계를 파헤친 글들이다.
수록내용
● 추천사:박이문의 인식·존재·언어
● 1부 인식과 실존
01 시와 인식
02 인식과 존재 - 지칭의 관점에서
03 인문과학과 해석학
04 인식상대주의
05 언어와 체제
『인식과 실존』 초판 서문
● 2부 시와 과학
01 시와 과학
02 문학적 언어와 철학적 언어
03 예술과 진리
04 시적 언어
05 비문자예술에 있어서의 ‘의미’
06 예술적 경험
07 문학비평의 기능과 한계
08 현상학으로서의 문학비평
09 예술의 비평과 평가
『시와 과학』 초판 서문
● 3부 이성의 시련
01 이성
02 20세기 말의 정신적 상황
03 합의로서의 합리성 - 하버마스 비판 이론의 경우
04 역사의 선택과 이성
05 정통성과 도덕성
『이성은 죽지 않았다』 초판 서문, 『이성의 시련』 초판 서문
● 4부 철학과 시
01 시와 철학
02 시와 철학 사이
03 시적 지향 - 사르트르적 가설
04 시와 사유 - 왜 하이데거는 중요한가
05 언어의 꿈으로서의 시
『문학과 언어의 꿈』 초판 서문
● 저자연보
● 출전
● 1부 인식과 실존
01 시와 인식
02 인식과 존재 - 지칭의 관점에서
03 인문과학과 해석학
04 인식상대주의
05 언어와 체제
『인식과 실존』 초판 서문
● 2부 시와 과학
01 시와 과학
02 문학적 언어와 철학적 언어
03 예술과 진리
04 시적 언어
05 비문자예술에 있어서의 ‘의미’
06 예술적 경험
07 문학비평의 기능과 한계
08 현상학으로서의 문학비평
09 예술의 비평과 평가
『시와 과학』 초판 서문
● 3부 이성의 시련
01 이성
02 20세기 말의 정신적 상황
03 합의로서의 합리성 - 하버마스 비판 이론의 경우
04 역사의 선택과 이성
05 정통성과 도덕성
『이성은 죽지 않았다』 초판 서문, 『이성의 시련』 초판 서문
● 4부 철학과 시
01 시와 철학
02 시와 철학 사이
03 시적 지향 - 사르트르적 가설
04 시와 사유 - 왜 하이데거는 중요한가
05 언어의 꿈으로서의 시
『문학과 언어의 꿈』 초판 서문
● 저자연보
●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