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우리가 잘 몰랐던 천문학 이야기 : 고대 그리스에서 천문학 혁명까지

제목
우리가 잘 몰랐던 천문학 이야기 : 고대 그리스에서 천문학 혁명까지
저자
임진용 저
발행처
연암서가
발행년도
2019-05-2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역학/천문학
  • [KRpia 기본분류] 자연과학 > 천문학
  • [KDC ] 자연과학 > 천문학

제품소개

이 책은 고대 천문학의 맥락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근대 천문학이 출현하게 된 동기를 고대 그리스로부터 시작한 연구사 분석을 통해 논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참신함이 깃들어 있다. 게다가 동양의 태양중심설 수용 과정을 실증 자료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지금까지 잘 몰랐던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근대 천문학을 이끌었던 네 명의 천문학자들 생애를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개인사와 연구사를 함께 혼합하여 기술함으로써 내용 이해의 편이성을 높여 주었다. 특히 문답식으로 진행되는 천문학 관련 개념 풀이는 천문학의 범위를 넘어 과학사 전반을 통찰할 수 있는 폭넓은 안목을 갖게 해 준다.

수록내용

● 서문

● 제1부 천문학의 발달 과정
1장 고대 천문학
2장 근대 천문학
3장 태양중심설에 대한 종교계의 반응

● 제2부 천문학 혁명가들의 생애
1장 코페르니쿠스
2장 티코
3장 케플러
4장 갈릴레이

● 제3부 천문학사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물음들
1장 천문학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2장 천문학에서 음률적(音律的) 해석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3장 우주혼(宇宙魂)은 어떤 개념인가?
4장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는 어떤 동기와 의도에서 출판하게 되었는가?
5장 중세 르네상스 시대의 학자들은 왜 고전(古典)을 통해 진리를 찾으려 했는가?
6장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와 『알마게스트』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7장 티코의 수정(修正) 지구중심설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8장 케플러가 개척한 천체물리학이란 무엇인가?
9장 갈릴레이의 망원경을 통한 천체 관측은 천문학사에 어떤 의미를 부여했는가?
10장 근대 천문학 등장 전후의 기독교는 어떤 모습이었는가?
11장 토마스 쿤(T. S. Kuhn)의 ‘과학혁명’ 이론을 통한 코페르니쿠스 태양중심설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12장 우리는 왜 역사와 과학에 관심을 두어야 하는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