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중세의 가을

제목
중세의 가을
저자
요한 하위징아 저
발행처
연암서가
발행년도
2019-05-2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서양사/세계사
  • [KRpia 기본분류] 역사∙지리 > 역사일반
  • [KDC ] 역사 > 유럽

제품소개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이 본격화되고,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는 6세기경부터 중세의 유럽은 서서히 기틀이 잡혀가기 시작했다. 11세기경 이민족들의 지속적인 이동과 침입이 끝나고 이슬람 세력의 팽창이 주춤해져 유럽은 안정기에 들어서면서 이후 13세기까지 부흥기를 맞이한다. 하위징아는 이 책에서 전성기를 지나 노쇠해지고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단계인 14, 15세기를 ‘가을’이라고 규정했다. 전성기를 지나 쇠락해가는 시대라는 의미와 르네상스를 거쳐 ‘근대로 나아가는 시대’라는 의미로 ‘가을’인 것이다. 중세는 ‘대조’의 시대다. 빈자와 부자, 도시와 시골, 빛과 어둠과 같이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것들이 공존했고, 중세는 그 두 극단을 오가면서 역사를 만들어갔다. 역사에 있어서 암흑기라고 잘못 알려진 중세는 그 나름의 소박한 삶의 양식과 더 나은 세계에 대한 환상 등을 통하여 이미 그 속에 화려한 인본주의의 싹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 씨앗들이 가을에 열매를 맺듯, 자연스레 르네상스와 근대라는 수확을 거둘 수 있게 하였던 것이다. 하위징아는 거시적 접근 이외에도 기사도 정신과 성대한 입성식, 기마 시합, 종교적 신비주의와 금욕적 경건주의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로 우리를 놀라게 한다.

수록내용

● 옮긴이의 말
● 네덜란드어 판 서문
● 독일어 번역본 서문
● 영역본 서문

● 제1장 중세인의 열정적이고 치열한 삶
● 제2장 더 아름다운 삶에 대한 갈망
● 제3장 영웅적인 꿈
● 제4장 사랑의 형식들
● 제5장 죽음의 이미지
● 제6장 성스러운 것의 구체화
● 제7장 경건한 퍼스낼리티
● 제8장 종교적 흥분과 판타지
● 제9장 상징주의의 쇠퇴
● 제10장 상상력에 대한 불신
● 제11장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되는 사고방식
● 제12장 생활 속의 예술:반에이크의 예술을 중심으로
● 제13장 이미지와 말:그림과 글의 비교
● 제14장 새로운 형식의 등장:중세와 르네상스의 비교

● 주석
● 참고문헌
● 용어·인명 풀이
● 작품 해설 - 중세의 아름다움은 어디에
● 요한 하위징아 연보
●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