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 미러링 : 여성주의 전략으로 가능한가?

- 제목
- 혐오 미러링 : 여성주의 전략으로 가능한가?
- 저자
- 김선희 저
- 발행처
- 연암서가
- 발행년도
- 2019-05-27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
[키워드]
#여성 - [KRpia 기본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KDC ] 사회과학 > 사회학, 사회문제
제품소개
저자가 ‘워마드 현상’으로 명명될 만한 한국 페미니즘의 한 흐름을 분석하려는 이유는 다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워마드 현상에는 기존의 페미니즘과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들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이 특성을 분석하고 드러내는 것이 이 저서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이다. 또 다른 이유는 페미니즘의 문제로 고민하며 살아가는 주변의 학생과 여성들을 만나면서 그들의 고민과 목소리를 접할 기회가 있었고 또한 나의 고민과도 겹치는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고, 여성 차별적 혐오가 만연한 사회에 대해 분노에 찬 여성들의 에너지를 부정적으로 소모하기보다 긍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남녀 성대결로 흐르는 이 논란의 방향을 바꿀 수 있기를 기대하며, 동시에 여성과 남성이 함께 살아 갈 평등하고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 ‘올드페미’라고 불리는 우리 세대의 과제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30여 명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워마드를 비롯한 한국 페미니즘 현상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목소리를 가감 없이 전달하고자 했다. 그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직접 들을 수 있는 것 또한 이 책의 특징이다.
수록내용
여는 글
1장 새로운 여성 세대의 출현
2장 혐오의 정의, 그리고 여성 혐오란 무엇인가?
3장 여성 혐오를 미러링하는 메갈리아-워마드의 등장 배경
4장 혐오 미러링의 방식과 그 효과
5장 혐오 미러링의 전략적 한계
6장 혐오 전략의 한계에 대한 워마드의 대응 방식:놀이와 가벼움의 논리
7장 워마드의 변모와 다양한 스펙트럼
8장 해결 방향과 대책:어디로 향할 것인가?
닫는 글
참고문헌
부록:설문과 인터뷰 정리
1장 새로운 여성 세대의 출현
2장 혐오의 정의, 그리고 여성 혐오란 무엇인가?
3장 여성 혐오를 미러링하는 메갈리아-워마드의 등장 배경
4장 혐오 미러링의 방식과 그 효과
5장 혐오 미러링의 전략적 한계
6장 혐오 전략의 한계에 대한 워마드의 대응 방식:놀이와 가벼움의 논리
7장 워마드의 변모와 다양한 스펙트럼
8장 해결 방향과 대책:어디로 향할 것인가?
닫는 글
참고문헌
부록:설문과 인터뷰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