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 북한 농업체제의 형성을 중심으로

제목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 북한 농업체제의 형성을 중심으로
저자
김성보 저
발행처
역사비평사
발행년도
2013-02-25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분류

제품소개

한국근현대사에서 사회경제적 갈등의 중심에는 항상 토지ㆍ농업 문제가 있었다. 해방 후 분단 상황에서 남북한에서는 상이한 방식으로 이 문제가 해결된다. 북한에서는 1946년 무상몰수 무상분배에 의한 토지개혁이 이루어졌으며, 전쟁 이후 농업혐동화가 전개되어 오늘의 북한 농업구조가 형성되었다. 이 책은 1945년 8ㆍ15 해방부터 195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남북한에서 성립되는 분단 농업구조의 기원과 전개과정을 밝히는 작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에 성립되었던 식민지적이며 지주제 중심의 농업구조가 해방 후 대한민국(남한)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 각각 어떻게 해체되고 변동하였는지를 다루고자 한 것으로, 이 책은 북한편에 해당된다.

수록내용

● 책을 내면서

● 서론

● 제1부 남북한 농업개혁의 역사적 배경
제1장 농민적 농업개혁론의 전통과 발전
제2장 일제하 농업 문제의 심화와 농민
제3장 일제 말·해방 후 인민민주주의 농업개혁론의 성립

● 제2부 토지개혁
제1장 8·15해방과 농민의 진출
제2장 토지개혁 논의와 법령 제정
제3장 토지개혁의 전개
제4장 북한 토지개혁의 비교사적 특징 - 동유럽·중국 토지개혁과 비교

● 제3부 토지개혁 이후 국가관리 소농체계의 성립
제1장 토지개혁 이후의 농업정책론
제2장 국가의 농업생산 관리
제3장 국가의 농산물유통 관리

● 제4부 전쟁 이후 농업정책의 전환과 농업협동화
제1장 농업협동화론의 대두와 논의
제2장 농업협동화 과정의 원칙과 특징
제3장 농촌사회의 갈등과 변동
제4장 분단농업구조의 정립

● 결론

● 참고문헌

●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