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돌담

- 제목
- 제주 돌담
- 저자
- 김유정 저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21-12-2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이 책에서는 화산 섬 제주만의 독특한 자연환경에서 살아가는 한 방법으로 터득했던 ‘돌담’의 역사와 쓰임, 쌓는 방법 등을 사진과 함께 실어 독자들의 흥미와 이해를 돕는다. 저자는 돌담을 이용한 농업, 지역마다 다른 자연 환경이 접목된 돌담의 다양한 형태, 돌담 쌓는 조직 계(契)를 통해 알 수 있는 제주민들의 생활상과 정신, 사자를 위한 돌담 ‘산담’에 나타나는 우리 조상들의 정신과 가치, 그리고 자연과 어우러진 산담의 조형미까지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등재 가치와 필요성, 돌담 보존의 이유를 짚어보고 있다.
수록내용
●삶의 역사가 된 제주 돌담
●생활 속의 돌담
돌담의 역사
돌담의 기능
돌담의 암질과 종류
제주의 돌챙이, ‘석장(石匠)’
돌담의 길이
돌담의 지역적 차이
돌 담을 쌓는 조직 계(契)와 접〔契〕
●사자(死者)를 위한 돌담
기 념비적인 돌 문화, ‘산담’
시·공간을 넘어선 대지 예술 (Earth Art)로서의 산담
산담의 역사적인 조성 배경
산담의 공간 개념
산담의 유형
산담 쌓는 방법
산담 쌓는 비용
산담의 구조
문화 경관으로서 산담의 미학(美學)
●돌담의 현대적 의미
●참고문헌
●생활 속의 돌담
돌담의 역사
돌담의 기능
돌담의 암질과 종류
제주의 돌챙이, ‘석장(石匠)’
돌담의 길이
돌담의 지역적 차이
돌 담을 쌓는 조직 계(契)와 접〔契〕
●사자(死者)를 위한 돌담
기 념비적인 돌 문화, ‘산담’
시·공간을 넘어선 대지 예술 (Earth Art)로서의 산담
산담의 역사적인 조성 배경
산담의 공간 개념
산담의 유형
산담 쌓는 방법
산담 쌓는 비용
산담의 구조
문화 경관으로서 산담의 미학(美學)
●돌담의 현대적 의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