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묵죽

- 제목
- 조선의 묵죽
- 저자
- 백인산 저
- 발행처
- 대원사
- 발행년도
- 2021-12-28
이용권구매
개인서비스이용권을 구매하면 제품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회원으로 로그인할 경우 소속 기관(도서관)에 ‘제품 요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소개
간송미술관 연구원인 저자의 박사 학위 논문 「조선시대 묵죽화 연구」를 재구성한 것으로, 단순한 묵죽화의 나열이 아니라 조선시대 역사의 흐름에 따른 묵죽화의 변화 과정을 옛 문헌들을 토대로 설명한다. 조선시대를 초·중·후·말기로 구분하여 그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사실이 당시의 화가와 그들의 작품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문헌과 작품을 통해 고찰하고, 심오한 통찰력으로 작품들을 재해석한다. 수십 편의 옛 문헌들과 수문의 『묵죽화책』, 이정의 『삼청첩』을 포함한 총 184점의 도판을 통을 수록하였다.
수록내용
●서론
●대나무의 상징성과 조선시대 이전 묵죽화의 전통
대나무의 문학적 인식과 상징성
묵죽화의 기원과 정립
고려시대 묵죽화
●조선 초기 묵죽화
문헌으로 본 조선 초기 묵죽화
수문의《묵죽화책》
조선 초기 청화백자에 시문된 죽화
조선 초기 묵죽화의 성격과 의의
●조선 중기 묵죽화
사림의 성장과 묵죽화의 발전
조선 성리학에서 피어난 조선의 묵죽화-이정의 묵죽화
탄은 묵죽화풍의 계승과 분기
조선 중기 묵죽화의 성격과 의의
●조선 후기 묵죽화
조선 후기 묵죽화의 전개
중기 묵죽화풍의 여향과 후기 묵죽화풍의 전조-유덕장의 묵죽화
남종문인화풍의 유행과 묵죽화풍의 변화
감성적인 화원화가와 여항화가의 묵죽화
조선 후기 묵죽화의 성격과 의의
●조선 말기 묵죽화
김정희와 사군자 그림의 부흥
신위와 문인화가의 묵죽화
청대 묵죽화풍의 영향과 자기화-추사화파 묵죽화
조선말기 묵죽화의 다원성-김영과 송수면의 묵죽화
상해화단을 이끌던 망국대부의 자화상-민영익의 묵죽화
조선 말기 묵죽화의 성격과 의의
●결론
●부록
●대나무의 상징성과 조선시대 이전 묵죽화의 전통
대나무의 문학적 인식과 상징성
묵죽화의 기원과 정립
고려시대 묵죽화
●조선 초기 묵죽화
문헌으로 본 조선 초기 묵죽화
수문의《묵죽화책》
조선 초기 청화백자에 시문된 죽화
조선 초기 묵죽화의 성격과 의의
●조선 중기 묵죽화
사림의 성장과 묵죽화의 발전
조선 성리학에서 피어난 조선의 묵죽화-이정의 묵죽화
탄은 묵죽화풍의 계승과 분기
조선 중기 묵죽화의 성격과 의의
●조선 후기 묵죽화
조선 후기 묵죽화의 전개
중기 묵죽화풍의 여향과 후기 묵죽화풍의 전조-유덕장의 묵죽화
남종문인화풍의 유행과 묵죽화풍의 변화
감성적인 화원화가와 여항화가의 묵죽화
조선 후기 묵죽화의 성격과 의의
●조선 말기 묵죽화
김정희와 사군자 그림의 부흥
신위와 문인화가의 묵죽화
청대 묵죽화풍의 영향과 자기화-추사화파 묵죽화
조선말기 묵죽화의 다원성-김영과 송수면의 묵죽화
상해화단을 이끌던 망국대부의 자화상-민영익의 묵죽화
조선 말기 묵죽화의 성격과 의의
●결론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