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메뉴보기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메뉴보기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검색어
더보기
닫기
추천제품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새 창에서 열기
권영민 저
|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을 한눈에 본다
총 9건 검색결과
정확도순
정확도순
인기순
제목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공자이야기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공자사상이 비록 21세기 동북아시대의 벽두에 중국을 중심으로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고는 하나 [공자세가]와 성리학에 기초한 책들이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공자의 생애 및 사상 등에 관해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는 체계적인 저술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관련서는 [사기세가]의 내용을 토 ...
#동양철학
#
공자
[동양문화산책 7] 죽음 앞에서 곡한 공자와 노래한 장자
새 창에서 열기
하현명 저,하현명 저
|
예문서원
중국 철학을 대표하는 두개의 큰 줄기는 유가와 도가다. 이 두 사상은 예로부터 충돌과 보완을 거치면서 중국인의 의식과 무의식을 자배해 왔다. 이 책은 죽음이라는 인류 공통의 문제에 대하여 중국인이 어떻게 표현해 왔는지를 유가와 도가를 중심으로 이야기 한다.
#동양철학
#
공자
#장자
[원전총서] 공자세가 · 중니제자열전 : 사마천의 『사기』속에 비친 공자와 그 제자들의 행적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사마천 저
|
예문서원
원래「사기」속에 포함되어 있던 <공자세가>와 <중니제자열전> 부분만을 따로 번역하여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공자세가>는 공자의 일대기를 적은 것이며, <중니제자열전>은 공자의 제자 77인의 이름과 각각의 행적을 기록한 책이다. 역자들은 철저한 고증을 통해 이 두 문헌에 대한 많은 역주를 첨부하고, 문장 역시 현대적 의미로 변환하고자 노력했다.
#동양철학
#사기
#
공자
[동양문화산책 4] 공자와 노자, 그들은 물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새 창에서 열기
사라 알란(Sarah Allan) 저,사라 알란(Sarah Allan) 저
|
예문서원
사라 알란은 자연 세계의 사물들이 중국에서 추상적 사유를 철학적인 개념으로 정착시키는 구체적인 뿌리였다고 본다.지은이는 그러한 사물들을 모델로 한 철학적 개념화의 과정을 '뿌리 은유'라고 이름짓는다. 뿌리 은유는 이 책의 키워드. 지은이는 이 뿌리 은유와 뿌리 은유를 바탕으로 한 '물'의 사유를 통해 고대 중국의 철학체계를 다시 더듬고 있다.
#동양철학
#
공자
#노자
#도교
[동양문화산책 6] 공자의 이름으로 죽은 여인들
새 창에서 열기
전여강(田汝康) 저,전여강(田汝康) 저
|
예문서원
중국 명대에 守節이라는 이름하에 자살한 여성 수가 갑자기 증가한 현상은 당시의 도덕적, 법적, 종교적, 문화적 결정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과거 시험에서 계속 불합격하는 쓰라린 경험을 하게 되는 남성수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고난을 겪으면서도 보편적인 도덕 규범에 충실한 여성들을 찬양함으로써 남성들은 자신도 도덕적 의무를 완수 ...
#동양철학
#
공자
[연구총서 29] 덕치 인치 법치 : 노자, 공자, 한비자의 정치 사상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신동준 저
|
예문서원
도ㆍ유ㆍ법 3가의 통치 사상에 대해 총체적인 비교검토를 시도...다음과 같은 점에서 매우 새롭고 독특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우선 도ㆍ유ㆍ법 3가의 통치 사상에 대해 총체적인 비교검토를 시도했다는 점이고, 다음으로는 기존의 분석틀에서 벗어나 치도와 치본, 치술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 이들 3가의 통치 사상을 비교분석했다는 점이다. 이 책이 그와 ...
#동양철학
#
공자
#노자
#한비자
[연구총서 5] 反논어 : 논어신탐 | 공자의 논어 공구의 논어
새 창에서 열기
조기빈 저,조기빈 저
|
예문서원
『논어』를 통해 춘추시대 사회의 성격을 밝히는가 하면『논어』에서 언급하는 `인`과 `민`이 각각 노예주와 노예계급을 지칭한다고 보고 이의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공자의 계급성을 논증한다
#동양철학
#
공자
#논어
공자 경영학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도서출판 학오재의 인문고전 강독] 시리즈로, 공자의 '논어'를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경제경영 이론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의 유수 경영대학원은 '논어'를 비롯해 '관자'와 '화식열전' 등의 고전으로부터 새로운 경제경영 이론을 찾아내고자 한다. '논어'를 비롯한 동양 전래의 고전에서 ‘인간경영’의 요체를 추출해 잘 다듬으면 능히 21세기의 새로운 경제경 ...
#동양철학
#
공자
공자의 군자학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공자의 군자학』에서는 공자와 관련해 중국에서 벌어졌던 현상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공자가 생전에 어떤 삶을 살고 무엇을 생각했는지를 추적하여, 공자사상의 실체를 밝히는 것에 기본적인 취지를 두고 있다. 나아가 공자사상이 한무제(漢武帝) 때 통치이념으로 채택된 이후, 어떤 왜곡과정을 겪게 되었는지를 추적하는 것에도 의미를 두었다. 본 간행물에서는 ' ...
#동양철학
#
공자
결과 내 재검색
search
제품별보기
주제분류
철학(9)
중국철학 (9)
영역
제목 (1,712)
저자 (2)
본문 (85,371)
유형
전자책 (9)
적용
연관제품
사서삼경
사기
한국현대문학대사전
한국문집총간(韓國文集叢刊)
한국의 향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