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메뉴보기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메뉴보기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검색어
더보기
닫기
추천제품
한국학대백과사전
새 창에서 열기
한국학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편찬
|
을유문화사
한국을 바로 아는 방법
총 10건 검색결과
정확도순
정확도순
인기순
제목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239] 역주 악서 3 : 상서훈의ㆍ춘추훈의ㆍ주역훈의ㆍ효경훈의ㆍ논어훈의ㆍ맹자훈의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진양 외 저
|
소명출판
지금으로부터 약 천 년 전인 1103년, 진양은 40여 년에 걸쳐 쓴 역작 『악서(樂書)』를 송나라 휘종에게 바친다. 200권에 이르는 이 방대한 걸작은 『예기』, 『논어』, 『맹자』 등의 경전에서 악(樂)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 풀이한 훈의(訓義) 95권과 악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사항을 서술한 악도론(樂道論) 10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악도 ...
#동양철학
#주역
#
논어
#맹자
#역학/천문학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63] 논어징 1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오규 소라이 외 저
|
소명출판
<논어고의>에 대한 반박과 <주자집주>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 독창적인 논어주석소라이는 일본학자이지만 주자(朱子)의 각종 학설에 정면으로 맞서, 고대의 유학경전, 즉 오경(五經)을 종횡으로 활용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펼쳤다. 그가 구사한 한문의 수준도 보통 학자들을 뛰어넘는 것으로, 일본을 넘어 중국과 조선의 지식인들에게도 어필할 수 있는 것이었다.소라이 ...
#동양철학
#
논어
[연구총서 5] 反논어 : 논어신탐 | 공자의 논어 공구의 논어
새 창에서 열기
조기빈 저,조기빈 저
|
예문서원
『논어』를 통해 춘추시대 사회의 성격을 밝히는가 하면『논어』에서 언급하는 `인`과 `민`이 각각 노예주와 노예계급을 지칭한다고 보고 이의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공자의 계급성을 논증한다
#동양철학
#공자
#
논어
[리링 저작선] 논어, 세 번 찢다
|
리링 저작선
새 창에서 열기
리링 외 저
|
글항아리
2006년 발생해 그 후 몇 년간 지속되며 ‘문화적 사건’으로까지 기록된 ‘상가구喪家狗(집 잃은 개) 논쟁’이란 것이 있다. 1990년대의 ‘인문열(인문학논쟁)’ 이래 가장 많은 중국 인문학자들이 직간접적으로 뒤얽힌 이 ‘대논쟁’의 중심에는 리링 교수가 있었다. 그가 펴낸 『상가구』가 논쟁의 계기를 제공했는데, 이것은 결코 공자를 비판한 책이 아니었다. 그 ...
#동양철학
#리링
#
논어
[리링 저작선] 집 잃은 개 2 - <논어> 읽기, 새로운 시선의 출현
|
리링 저작선
새 창에서 열기
리링 외 저
|
글항아리
리링 베이징대 교수의 『집 잃은 개』의 우리말 번역본이다. 지난 2007년 중국에서 출판된 이 책은 그해 각종 도서상을 거머쥐고 현재까지 수십만 권이 팔리면서 최고의 『논어』 주석서이자 독서가이드북으로 확고한 위치를 점해오고 있다. 이 책이 그토록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었던 이유는 공자를 ‘집 잃은 개’에 비유한 『논어』 읽기의 파격성도 한몫을 차지하지만 ...
#동양철학
#리링
#
논어
[리링 저작선] 집 잃은 개 1 - <논어> 읽기, 새로운 시선의 출현
|
리링 저작선
새 창에서 열기
리링 외 저
|
글항아리
리링 베이징대 교수의 『집 잃은 개』의 우리말 번역본이다. 지난 2007년 중국에서 출판된 이 책은 그해 각종 도서상을 거머쥐고 현재까지 수십만 권이 팔리면서 최고의 『논어』 주석서이자 독서가이드북으로 확고한 위치를 점해오고 있다. 이 책이 그토록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었던 이유는 공자를 ‘집 잃은 개’에 비유한 『논어』 읽기의 파격성도 한몫을 차지하지만 ...
#동양철학
#리링
#
논어
논어론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논어론』은 현대적 관점에서 공자사상을 설명한 저서이다. '논어'란, 중국 유교(儒敎)의 근본문헌으로, 공자의 언행을 기록한 유학의 경전이다. 따라서 '논어'에 나오는 구절은 짧은 언설들로 이뤄져 있다. '논어'는 인간의 이지理智에 한없는 신뢰를 보내며 인간 자체를 우주 삼라만상의 모든 것으로 생각했던 공자의 언행과 사상을 담아 놓았기 때문에, 오늘 날까지 ...
#동양철학
#
논어
제자백가서
새 창에서 열기
제자백가서 저본
|
한국사사료연구소
제자백가(諸子百家)는 중국 고대의 여러 학파와 그들의 저서(著書)의 총칭(總稱)입니다. 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는 이들의 사상을 담고 있는 책들로서 동양의 고전들이 총망라되어 있습니다. 여기에는 공자, 노자, 맹자, 장자, 묵자, 열자, 한비자, 손자 등 10개 학파 189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된 학파로는 유가(儒家)와 묵가(墨家), 도가(道家), 법가( ...
#동양철학
#
논어
#맹자
#관자
십삼경
새 창에서 열기
십삼경 저본,한국사사료연구소 편
|
한국사사료연구소
13경 (十三經)은 유교의 가장 중요한 경서 13종의 총칭으로 〈주역 周易〉〈서경 書經〉〈시경 詩經〉〈주례 周禮〉〈예기 禮記〉〈의례 儀禮〉〈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춘추공양전 春秋公羊傳〉〈춘추곡량전 春秋穀梁傳〉〈논어 論語〉〈효경 孝經〉〈이아 爾雅〉〈맹자 孟子〉 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주역〉〈서경〉〈시경〉〈예기〉는 〈춘추〉와 함께 5경(五經)이라 부르는 것 ...
#동양철학
#
논어
#맹자
#주역
사서삼경
새 창에서 열기
공자 외 저,차주환 외 역
|
을유문화사
동양사상의 근저를 이루는 저술들인 『사서삼경』,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시경』, 『서경』, 『주역』을 모두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담았습니다. 데이터베이스로 개발한 『사서삼경』은 을유문화사 간행으로 동양고전사상 분야의 최고의 권위자들이 참여하여 치밀하고 정확한 번역과 학문적이고 꼼꼼한 역주를 담고 있습니다. 동양고전연구 연계성과 편의를 ...
#대학
#
논어
#맹자
#중용
결과 내 재검색
search
제품별보기
주제분류
철학(10)
철학일반 (1)
중국철학 (7)
경학 (2)
영역
제목 (1,536)
본문 (21,727)
유형
전자책 (7)
웹DB (3)
적용
연관제품
지봉유설
사서삼경
한국서지
십삼경
제자백가서
한국학대백과사전
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攷)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