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메뉴보기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메뉴보기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검색어
더보기
닫기
추천제품
한국의 고건축
새 창에서 열기
한국예술정보 저
|
한국콘텐츠진흥원
사진으로 만나는 고건축 DB
총 29건 검색결과
정확도순
정확도순
인기순
제목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명찰순례 3 : 우리나라 유명사찰 현장답사기
|
명찰 순례 시리즈
새 창에서 열기
최완수 저
|
대원사
미술사학자 최완수씨가 들려주는 절 이야기 〈명찰순례〉는 우리국토의 명산승지에 자리잡은 56개 사찰에 대한 그와 제자들의 현장 답사기다.각 절에 얽힌 온갖 인연과 문화재에 대해 고서를 인용하거나 철저한 고증을 통해 해박하게 설명해가면서 전통문화에 무지한 현대인들을 자신 있는 명찰순례자로 만들고 있다
#사찰
#답사
#
문화재
명찰순례 2 : 우리나라 유명사찰 현장답사기
|
명찰 순례 시리즈
새 창에서 열기
최완수 저
|
대원사
미술사학자 최완수씨가 들려주는 절 이야기 〈명찰순례〉는 우리국토의 명산승지에 자리잡은 56개 사찰에 대한 그와 제자들의 현장 답사기다.각 절에 얽힌 온갖 인연과 문화재에 대해 고서를 인용하거나 철저한 고증을 통해 해박하게 설명해가면서 전통문화에 무지한 현대인들을 자신 있는 명찰순례자로 만들고 있다.
#사찰
#답사
#
문화재
명찰순례 1 : 우리나라 유명사찰 현장답사기
|
명찰 순례 시리즈
새 창에서 열기
최완수 저
|
대원사
미술사학자 최완수씨가 들려주는 절 이야기 〈명찰순례〉는 우리국토의 명산승지에 자리잡은 56개 사찰에 대한 그와 제자들의 현장 답사기다.각 절에 얽힌 온갖 인연과 문화재에 대해 고서를 인용하거나 철저한 고증을 통해 해박하게 설명해가면서 전통문화에 무지한 현대인들을 자신 있는 명찰순례자로 만들고 있다
#사찰
#답사
#
문화재
사진, 무형문화재를 말하다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에 대한 이해, 흐르듯이 지나가는 상황을 포착하는 속도, 품질에 대한 안정성은 우리 작가들의 큰 장점입니다. 그런 우리 작가들이랑 처음으로 무형문화재 사진전을 갖게 되었습니다. 우선은 올해 참여한 작가들과 올해 기록화 현장을 그들의 눈으로 본 작품입니다. 이번 사진전은 우리 직원들에게 우리 작가들을 소개하고 싶어 마련한 자리입니다. 우리 작가들의 ...
#
문화재
북한문화재해설집 Ⅲ : 일반건축편
|
북한문화재해설집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1984년부터 북한문화재 관련자료를 정리·연구하여 『북한문화재도록』등 7권의 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통일을 대비하여 북한문화재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왔습니다. 금번 『북한문화재해설집』 제3집(일반건축펀)은 1998년에발간한 제2집(사찰건축편)에 수록된 사찰건물을 제외한 궁궐·관아·객사·분루·정자·항교·서원·사묘·주택 둥 9개 분야 ...
#북한
#
문화재
북한문화재해설집 Ⅱ : 사찰건축편
|
북한문화재해설집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이번에는 북한소재 문화재 가운데 ‘사찰건축’을 모아 해설집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가능한 북한의 현존 사찰건축 전반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집대성 되도록 노력하였으며, 특히 연탄 심원사 보광전, 관음사 대웅전의 도변은 1930 년대 일제강점기에 마련된 도면을 찾아내어 함께 실었습니다. 또한 현재의 사찰 사진과 1930년대의 사진을 비교함으로써 그 동안의 변화 ...
#북한
#
문화재
북한문화재해설집 Ⅰ : 석조물편
|
북한문화재해설집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북한의 문화재 가운데 석조물만을 모아 사진과 도면,해설을 실은 해설집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북한문화재를 크게 석조물·고건축·고고미술·민속·천연기념물 등의 다섯분야로 나누어 해설집을 연차적으로 발간하고자 계획한 우리 연구소의 첫번째 성과물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북한
#
문화재
#불교
한국의 국보 : 회화/조각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동산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한국의국보 회화,조각』은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된 이후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 중 일명 ‘동산문화재’, 그 중에서도 회화와 조각을 소개한 책입니다. 동산문화재動産文化財란,회화 ·조각 ·공예·서지 등과 같이 사람이 인력으로 움직이기 쉬운 문화재를 지칭하는 말로서,우리가 흔히 박물관 등에서 접할 수 있는 문화재의 상당 부분이 여기에 속합니다. - 〈발간 ...
#
문화재
#국보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명승 Ⅲ : 지형·지질 : 명승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저
|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대관에는 우리나라 방방곡곡의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담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과 명승은 가까이는 고향 마을의 어귀에 있는 당산목부터, 바다 건너 제주도와 러시아 대륙을 오가는 황새에 이르기까지 식물·동물·지질·경승지 등 어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소중한 자연유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천연기념물 대관은 자연유산에 대한 문화재청의 현재 ...
#
문화재
#명승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명승 Ⅱ : 식물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저
|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대관에는 우리나라 방방곡곡의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담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과 명승은 가까이는 고향 마을의 어귀에 있는 당산목부터, 바다 건너 제주도와 러시아 대륙을 오가는 황새에 이르기까지 식물·동물·지질·경승지 등 어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소중한 자연유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천연기념물 대관은 자연유산에 대한 문화재청의 현재 ...
#
문화재
#명승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명승 Ⅰ : 동물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저
|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대관에는 우리나라 방방곡곡의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담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과 명승은 가까이는 고향 마을의 어귀에 있는 당산목부터, 바다 건너 제주도와 러시아 대륙을 오가는 황새에 이르기까지 식물·동물·지질·경승지 등 어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소중한 자연유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천연기념물 대관은 자연유산에 대한 문화재청의 현재 ...
#
문화재
#명승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 복식·자수편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 중요민속자료』[복식·자수편]은 지난해 발간된 [신앙·생활편]을 이은 것으로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69건의 복식과 자수자료를 한자리에 묶은 것입니다. [복식·자수편]은 유물의 성격과 소장 경위에 따라 ‘왕실유품(王室遺品)’, ‘전세유품(傳世遺品)’과 ‘출토복식(出土服飾)’으로 나누어 구성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
문화재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1 : 신앙·생활자료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 중요민속자료 ①」은 신앙 및 생활자료 34건을 한데 묶은 것으로 민간 및 국가적 제의(祭儀) 모습을 말해주는 당산과 장승, 무신도 등과 조선시대 사대부와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보여주는 ‘생활자료’ 그리고 조선후기 상업 활동을 짐작케 하는 ‘보부상 유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
문화재
문화재대관 사적 제2권(증보판)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보존정책과 저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 사적』제1권·제2권은 1998년에 발간된 개정판 상·하권에 수록되지 않은 사적과 2009년 12월 20일까지 지정된 사적 138건과 2009년 12월 21일에 사적 및 명승에서 분류된 제505호 구례화엄사, 제506호 순천송광사, 제507호 순천선암사, 제508호 해남대흥사 4건을 포함한 총 142건 대하여 제1권·제2권으로 구분하여 수록하 ...
#
문화재
문화재대관 사적 제1권(증보판)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보존정책과 저
|
문화재청
사적(史蹟)은 절터·옛무덤·조개무덤·성터·궁터·가마터 등의 유적지 중에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을 국가가 특별히 지정한 국가 지정문화재의 한 종류입니다. 이러한 사적은 우리 민족이 살아온 역사의 현장이며 대단히 중요한 역사적 기념물이라 할 것입니다. 특별히 이번에 발간되는 대관은 이전에 발간되었던 대관에서 사적의 사진 자료들이 입체적이지 못하여 사적 ...
#
문화재
문화재대관 보물 : 토기·도자기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보물 동산문화재 중 토기와 도자기 분야의 문화재 127건을 모아 『문화재대관 보물 - 토기·도자기』편을 발간합니다. 문화재의 역사적 의의, 문화사적 가치 풍을 국민에게 알리고 함께 공유하고자 발간하는 이번 보물대관은 토기, 청자, 백자, 분청사기로 나누어 편집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
문화재
문화재대관 보물 : 지도·천문·무기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보물 동산문화재 중 지도, 천문, 무기 등 과학기기 분야의 문화재 76건을 모아 『문화재대관 보물 - 지도·천문·무기』편을 발간합니다. 문화재의 역사적 의의, 문화사적 가치 등을 국민에게 알리고 함께 공유하고자 발간하는 이번 보물대관은 조선시대 과학기기 76건을 지도地圖, 천문天文, 무기武器로 나누어 편집하였습니다. 조선시대의 우주관과 천문학, ...
#
문화재
문화재대관 보물편 : 석조 Ⅱ(개정판)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건조물과 저
|
문화재청
「보물편-석조Ⅰ」의 후속편으로 『문화재대관(보물편 - 석조Ⅱ)』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의 「보물편 - 석조Ⅱ」는 지난 1986년도에 발간된 『문화재대관』의 개정판입니다. 그간의 관련자료와 연구결과를 보완·확충하여 보물 제3호 대원각사비 등 석조문화재 263건을 수록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
문화재
문화재대관 보물편 : 석조 Ⅰ(개정판)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건조물과 저
|
문화재청
보물이란 국가에서 지정한 유형의 문화재 중 특히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를 말합니다.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는 우리 전통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우리민족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이번에 발간되는 『문화재대관(보물편 - 석조Ⅰ)』는 지난 1986년도에 발간된 『문화재대관』의 개정판입니다. 그간의 관련자료와 연구결과를 보완·확충하여 석조문화재 201건을 ...
#
문화재
문화재대관 보물 : 불교조각 Ⅱ
|
문화재대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이 책은 작년에 발간한 『문화재대관(보물) - 불교조각Ⅰ』에 이어 1962년부터 2016년까지 지정된 불교조각분야 중 조선 후기에 조성된 67점의 작품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제Ⅰ편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전기까지의 불교조각 총 84점을 수록하였습니다. 삼국시대에 이 땅에 전래된 이후 불교는 오늘날까지 조각과 그림, 공예 등 다양한 미술품으로 형상화되어 한국인 ...
#
문화재
#불교
first
prev
1
2
next
last
결과 내 재검색
search
제품별보기
주제분류
역사∙지리 (10)
역사일반 (3)
통사 (2)
조선시대 (1)
지리 (4)
예술(15)
예술일반 (2)
건축 (7)
미술 (6)
문화(4)
민속 (4)
영역
제목 (120)
저자 (111)
발행처 (119)
본문 (1,765)
유형
전자책 (29)
적용
연관제품
묵재한화(默齋閑話) : 한국미술사 외사
중요무형문화재
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예용해전집
ABC북 맛보기 사전
한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