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메뉴보기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메뉴보기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검색어
더보기
닫기
총 10건 검색결과
정확도순
정확도순
인기순
제목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조선시대 개인일기 4 : 충청·강원·전라·경남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일상에서 일어나는 신변잡기를 기록한 조선시대 개인일기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과 같은 관찬사료에서 찾을 수 없는 자잘한 시대상을 보여주고 있어 공적인 기록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가치가 있습니다. 올해는 지역별 조사연구 마지막 해로 충청·강원·전라·경남 지역 개인일기의 현황을 조사하여 170여건의 일기 가운데 27건의 일기를 선별하여 ...
#조선시대사
#
일기
조선시대 개인일기 2 : 인천·경기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동산문화재 학술조사연구 사업으로 조선시대 개인 일기 자료에 대한 전국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소개하고, 그 가운데 중요한 일기에 대한 해제를 통하여 관련 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는 2015년도의 『조선시대 개인 일기 1 - 대구·경북』에 이어서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지역의 일기 현황을 담은 두 번째 보고서인 『조선시대 개인 일기 ...
#조선시대사
#
일기
조선시대 개인일기 1 : 대구·경북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조선시대 개인 일기는 이런 일반 성격 밖에도 ‘집안의 대·소사를 처리해 나가는 절차’, ‘외국 사행과정에서의 견문’, ‘전쟁 등 특정 사건에 대한 기억’, ‘건물의 영·중건’, ‘문집 간행’, ‘묘소를 옮기는 천장遷葬’ 등 전해둬야 할 내용을 기록한 특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동산문화재 학술조사연구 사업으로 조선시대 일기자료 현황을 파악 ...
#조선시대사
#
일기
『경복궁 석조조형물 학술연구 및 보존관리방안 연구』 별책 ③ 경복궁 영건일기 번역본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문화재청이 2011년부터 진행한 ‘경복궁 석조조형물 학술연구 및 보존관리방안 연구’ 용역사업의 연구 결과물 중 별책으로 수록된 자료이다.
#
일기
#경복궁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동북안사록(東北按使錄)
|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동북안사록』은 심수〔沈鏽, 숙종 33년(1707)~영조 52년(1776)〕가 강원도와 함경도의 관찰사를 지내면서 도내(道內)를 순력(巡歷)할 때 그 노정(路程)을 기록한 일기이다. 『동북안사록』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필사본으로 전체 1책이고 표지까지 총 80쪽이며, 10행 22자이다. 5쪽부터 57쪽까지는 강원도 관찰사 때의 기록이 ...
#
일기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금영일기(錦營日記)
|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금영일기(錦營日記)』는 경주부윤으로 재직 중이던 심이지 沈頤之, 영조 11년(1735)~정조 20년(1796) 가 정조 4년(1780) 3월 27일에 홍충도(洪忠道) 관찰사로 임명되면서 기록한 내용이다. 금영은 충청도 관찰사가 근무하는 감영을 달리 일컫는 말이다. 임명되는 과정을 서술한데 이어 관내를 순시하는 등의 일정을 기록하였고, 9월 27일 충주의 ...
#
일기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관동일기(關東日記)
|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관동일기(關東日記)』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홍명일 洪命一, 선조 36년(1603)~효종 2년(1651) 이 인조 26년(1648) 4월 17일부터 같은 해 8월 1일까지 약 4개월 남짓 강원도 관찰사로 재직하며 그 업무와 일상을 기록한 일기이다. 이 일기는 짧은 재임 기간의 기록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하게 무미건조한 공식 기록만 있는 것이 아니라 기행문, ...
#
일기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강영일기(岡營日記)
|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강영일기(岡營日記)』는 황해 병사 황해병마절도사 심능준(沈能俊)이 헌종 8년(1842) 부임할 때부터 헌종 10년(1844) 4월 체임될 때까지의 공식적인 활동을 기록한 일기이다. 『강영일기(岡營日記)』는 황해 병사의 공식적인 임명과 활동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이다. 이외에도 부임 당시 헌종의 비 효현왕후가 승하하여 관인들이 국상을 치르는 절차나 ...
#
일기
#조선시대사
[규장각 교양총서] 일기로 본 조선
|
규장각 교양총서
새 창에서 열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외 저
|
글항아리
규장각 교양총서 제8권으로 나온 『일기로 본 조선』.총 열두 편의 일기가 담겨 있다. 세 편을 제외하고는 개인의 일상생활 전반을 기록한 생활일기다. 일기를 쓴 기간은 짧게는 1년 여부터 68년에 이르고, 일기가 시작될 때의 연령은 10세부터 80여 세까지 각기 다르다. 우리는 열두 편의 일기가 지닌 독특한 맛과 향을 풀어내어 옛사람들과 소통하고자 한다. 예 ...
#조선시대사
#
일기
승정원일기
새 창에서 열기
승정원 저
|
누리미디어
승정원일기는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인 승정원의 일기이다. 2001년 9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승정원일기는 국정 전반에 걸친 매일 매일의 일기를 날짜 순으로 망라한 것이기 때문에 가장 자세한 기본 사료이며, 조선왕조실록과 함께 조선시대 상황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일차 사료이다. 본 DB에 수록된 승정원일기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디지털화 한 ...
#조선시대사
#승정원
#
일기
결과 내 재검색
search
제품별보기
주제분류
역사∙지리 (2)
조선시대 (2)
문학(7)
문집 (7)
예술(1)
건축 (1)
영역
제목 (10,496)
저자 (3)
본문 (73,800)
유형
전자책 (9)
웹DB (1)
적용
연관제품
[규장각 교양총서] 일기로 본 조선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관동일기(關東日記)
조선시대 개인일기 1 : 대구·경북
조선시대 개인일기 2 : 인천·경기
조선시대 개인일기 4 : 충청·강원·전라·경남
실록이란 무엇인가 : 조선 문명의 일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