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메뉴보기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메뉴보기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검색어
더보기
닫기
추천제품
한국지방사자료총서
새 창에서 열기
이영훈 편,오영교 편,김선경 편,윤정애 편
|
여강출판사
조선시대 지방사에 대한 생생한 보고서
총 142건 검색결과
정확도순
정확도순
인기순
제목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후대가 판단케 하라 : 조선실록의 수정과 개수
새 창에서 열기
오항녕 저
|
역사비평사
역사와 정치를 뒤섞어버리는 시도는 그다지 드문 일이 아니다. 인간의 가치 · 이념 · 지향은 역사의 무대에서뿐만 아니라 정치의 무대에서도 조화를 이루든 경쟁을 하든 역동적으로 어울릴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는 역사의 몫이, 정치는 정치의 몫이 있다. 조선실록의 수정과 개수의 경험은 조정에서 벌어지는 정치의 와중에 역사를 어떻게 지켜냈는지, ...
#
조선시대사
#실록
#조선실록
근대 조선의 여행자들 : 그들의 눈에 비친 조선과 세계
새 창에서 열기
우미영 저
|
역사비평사
수학여행에서 세계일주까지, 당대 기행문을 통해 보는 근대 조선인들의 다양한 여행과 그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특히 기행문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역사적인 관점으로는 조명이 닿지 않았던 사각지대의 인물과 글들을 만날 수 있다.
#
조선시대사
#한국근대사
#기행문
실록이란 무엇인가 : 조선 문명의 일기
새 창에서 열기
오항녕 저
|
역사비평사
이 책은 단순히 조선왕조 국왕의 이야기를 풀어놓은 책이 아니라 조선시대의 정치·사회·인물을 풍부하게 알려주는 실록이 어떤 기록인지를 연구한 책이다. 기타 조선시대 국가 기록물들과 별도로 대우받고 모든 기록의 정점에 있는 조선실록에 관한 모든 것을 설명 해주고 있다.
#
조선시대사
#실록
#조선실록
이혼 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 근대적 이혼제도의 도입과 젠더
|
역비한국학연구총서
새 창에서 열기
소현숙 저
|
역사비평사
저자는 근대사회로 전환해간 식민지하에서 가족 생활 중 변모가 가장 두드러졌던 영역이 이혼이었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이혼’이라는 특수한 상황이자 비일상을 통해 식민지 일상을 들여다본다. 나아가 식민지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친 사회와 국가의 역할까지도 꼼꼼히 살펴본다. 사실, 오늘날의 시각으로 보면 잘 이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연간 12만 건의 높은 이혼 건 ...
#한국근대사
#
조선시대사
#여성
정조와 정조 이후 : 정조 시대와 19세기의 연속과 단절
새 창에서 열기
역사비평편집위원회 저
|
역사비평사
서기 1800년에 사망한 정조(1752~1800)는 ‘18세기의 대미를 장식한 국왕’이자 ‘문화의 르네상스’ 또는 ‘탕평 정치’라는 명예로운 칭호를 받았던 시대의 주인공이었다. 반면에 19세기는 그토록 찬란했던 군주 정조의 부재(不在)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이미 대조적인 시대상을 부여받을 운명에 놓인 것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과연 정조 시대는 오로지 빛나는 ...
#정조
#
조선시대사
경복궁에서 세종과 함께 찾는 조선의 정체성
새 창에서 열기
박석희 저
|
미다스북스
경복궁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세종대왕의 하루하루를 통해 조선의 정체성과 역사를 재구성해내는 역사 스토리텔링서이자 궁궐안내서. 기존의 궁궐 관련 서적이 단순히 전각의 유래를 설명하거나 궁중 내 큰 사건을 나열하며 건축학적 해석을 곁들이는 데 그쳤다면 이 책은 말 그대로 ‘세종의 입장이 되어’ 경복궁 건물을 산책하듯 거니는 구조로 구성된 국내 최초의 책이다. ...
#
조선시대사
#궁궐
왕가의 전인적 공부법 : 조선 오백년 집권의 비밀
새 창에서 열기
도현신 저
|
미다스북스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넘어 민주주의의 정점에 선 조선의 정치! 세종·정조와 같은 세계적 정치리더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조선의 왕들은 지·덕·체의 미덕을 갖춘 인격자가 되는 전인교육을 목표로 했다. 그렇게 탄생한 왕과 그들의 정치 덕분에 조선은 오백년이라는 긴 세월을 평화롭고 안정적으로 보낼 수 있었다. 세계 역사상 보기 드물게 오백년을 이어 지속된 나라, ...
#
조선시대사
통신사기록 조사, 번역 및 목록화 연구 2
|
통신사기록 조사, 번역 및 목록화 연구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저
|
문화재청
「통신사기록 조사, 번역 및 목록화 연구용역」은 1607년부터 1811년 까지 이백여 년 동안 조선에서 일본으로 12차례 파견하였던 통신사의 기록을 조사하고, 국역되지 않은 사행록을 번역하며, 관련 기록물을 일체 조사하여 목록화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여러 곳에 흩어 져 있는 기록들을 한데 모으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어서, 사행록과 필담창화집을 복사하거나 촬 ...
#
조선시대사
통신사기록 조사, 번역 및 목록화 연구 1
|
통신사기록 조사, 번역 및 목록화 연구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저
|
문화재청
「통신사기록 조사, 번역 및 목록화 연구용역」은 1607년부터 1811년 까지 이백여 년 동안 조선에서 일본으로 12차례 파견하였던 통신사의 기록을 조사하고, 국역되지 않은 사행록을 번역하며, 관련 기록물을 일체 조사하여 목록화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여러 곳에 흩어 져 있는 기록들을 한데 모으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어서, 사행록과 필담창화집을 복사하거나 촬 ...
#
조선시대사
충무공유사 : 국역·영인 합본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 저
|
문화재청
현충사에 유물관에 보관·전시되어 있는 국보 76호 난중일기, 임진장초, 서간첩 등은 모두 일찍이 국역되어 일반에게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과 함께 보존되어 왔으며 ″재조번방지초(再造藩邦志抄)″라는 표제로 그 내용이 일부 전문가 사이에서만 그 동안 알려져 왔던 충무공유사(忠武公遺事)는 지난 2006년에야 현충사에서 초서전문가인 노승석씨에게 의뢰, 국 ...
#
조선시대사
#이순신
충무공 이순신과 임진왜란 :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 저
|
문화재청
현충사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10년 간 무예를 연마하며 구국의 역링을 키워간 곳입니다. 그 자리에 공을 기리는 사당이 자리를 잡은 후 300여년이 흘렀습니다. 이제 충무공탄신 466주년을 맞아 이곳에 그의 정신과 업적을 널리 알리고 연구해 나갈 “충무공 이순신기념관”이 들어서게 된 것은 그를 존경하는 우리 국민 모두의 기쁨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앞으로 “ ...
#
조선시대사
#이순신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Ⅱ : 석수·병풍석·난간석·장명등·망주석·석물 장인
|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이 책자는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추진한 【조선왕릉 심층연구 및 통합정보구축운영】사업의 일환으로 발간하는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학술서의 두 번째 결과물이다. 수록 대상은 왕릉 조성물 가운데 제1권에서 서술한 석인과 신도비, 표석을 제외한 석수, 병풍석, 난간석, 장명등, 망주석의 기원과 조형 특징 등을 다뤘다. - 〈일러두기〉 중에서 -
#
조선시대사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Ⅰ : 석인·비석
|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15년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총9권)를 완간함으로써 세계유산으로서 조선왕릉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 바 있습니다. 이 책자는 그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조선왕릉 석물’을 처음으로 집약해서 다룬 연구서입니다. 이 책은 지금까지 면모가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조선왕릉 석물 중 문무석인상과 비석을 대상으로 ...
#
조선시대사
조선왕릉 : 경관포인트 선정 및 문화콘텐츠 마련 연구보고서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조선왕조는 1392년 개국 후 1910년에 이르기까지 무려 519년이란 유구한 역사를 가진 왕조입니다. 하나의 왕조가 5백년 이상 지속된 것은 보기 드문 예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조선왕릉은 개개의 왕릉의 완전성만이 아니라 한 시대의 왕조를 이끌었던 역대 27대 왕과 왕비 모두의 왕릉이 보존되었다는 점에 가치가 있습니다. 이로써, 1995년 ...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궁궐 용어해설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저
|
문화재청
문화재청에서는 건축, 생활, 의례, 복식, 공예, 인물 등 의식주(衣食住)를 포함한 전반에 절쳐 사용되는 궁궐(궁중) 용어의 명칭과 뜻을 밝히고, 궁궐을 연구하는 전공자에서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이해하기 쉬운 궁궐용어정의에 대한 표준안을 마련하고자 『궁궐용어해설 학술연구용역』을 시행하였다. 본 보고서는 궁궐문화유산 안내 및 홍보 해설 자료, 교육용 자료, 궁 ...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인일기 4 : 충청·강원·전라·경남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일상에서 일어나는 신변잡기를 기록한 조선시대 개인일기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과 같은 관찬사료에서 찾을 수 없는 자잘한 시대상을 보여주고 있어 공적인 기록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가치가 있습니다. 올해는 지역별 조사연구 마지막 해로 충청·강원·전라·경남 지역 개인일기의 현황을 조사하여 170여건의 일기 가운데 27건의 일기를 선별하여 ...
#
조선시대사
#일기
조선시대 개인일기 2 : 인천·경기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동산문화재 학술조사연구 사업으로 조선시대 개인 일기 자료에 대한 전국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소개하고, 그 가운데 중요한 일기에 대한 해제를 통하여 관련 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는 2015년도의 『조선시대 개인 일기 1 - 대구·경북』에 이어서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지역의 일기 현황을 담은 두 번째 보고서인 『조선시대 개인 일기 ...
#
조선시대사
#일기
조선시대 개인일기 1 : 대구·경북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조선시대 개인 일기는 이런 일반 성격 밖에도 ‘집안의 대·소사를 처리해 나가는 절차’, ‘외국 사행과정에서의 견문’, ‘전쟁 등 특정 사건에 대한 기억’, ‘건물의 영·중건’, ‘문집 간행’, ‘묘소를 옮기는 천장遷葬’ 등 전해둬야 할 내용을 기록한 특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동산문화재 학술조사연구 사업으로 조선시대 일기자료 현황을 파악 ...
#
조선시대사
#일기
조선왕실그림(朝鮮宮中繪畵) : 궁중유물전시관 개관 네돌 기념전
새 창에서 열기
궁중유물전시관 저
|
문화재청
궁중유물전시관이 문을 연지(’92.12.23)네돌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 기념으로 조선 왕실의 격조를 살리는 회화류 80여점을 선정하여 전시하는 기념특별전을 가져 국내·외국인들에게 조선시대 궁중문화의 진수를 보여드리려는 것입니다. 왕실을 화려, 웅장하게 치장한 벽화와 어좌 뒤에 친 임금의 위엄을 드러내는 일월오봉도, 채색을 선명하게 표현한 각종 회조도, ...
#
조선시대사
국역 정성왕후책례도감의궤(國譯 貞聖王后冊禮都監儀軌)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저
|
문화재청
규장각 소장 『(정성왕후)책례도감의궤』는 1726년(영조2) 10월 29일에 거행되었던 영조英祖의 원비元妃정성왕후貞聖王后의 왕비 책봉의 전 과정을 담아낸 기록물이다. 이 의궤는 여타 의궤 일반이 그렇듯 당시 의례를 재현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역사적 자료이다. 그리고 이 의궤 전후에 있었던 왕비 책례 의궤와의 비교를 통해 왕비 책봉의식의 역사적 변화를 읽어내 ...
#
조선시대사
#의궤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결과 내 재검색
search
제품별보기
주제분류
역사∙지리 (107)
역사일반 (2)
통사 (4)
조선시대 (98)
근현대 (1)
지리 (2)
문학(19)
문학일반 (2)
시 (4)
소설 (1)
에세이 (2)
가사 (1)
문집 (9)
예술(10)
건축 (4)
미술 (5)
음악 (1)
철학(2)
한국철학 (2)
사회과학(1)
법학 (1)
자연과학(2)
천문학 (1)
의학 (1)
문화(1)
종교 (1)
영역
본문 (39)
유형
전자책 (81)
웹DB (60)
적용
연관제품
[규장각 교양총서] 놀이로 본 조선
[규장각 교양총서] 조선 양반의 일생
[규장각 교양총서] 사물로 본 조선
[규장각 교양총서] 조선 사람의 조선여행
[규장각 교양총서] 그림으로 본 조선
조선의 역사를 지켜온 왕실 여성
국역 가례도감의궤(國譯 嘉禮都監儀軌)
조선시대 궁궐 용어해설
근대 조선의 여행자들 : 그들의 눈에 비친 조선과 세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