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메뉴보기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메뉴보기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검색어
더보기
닫기
총 37건 검색결과
정확도순
정확도순
인기순
제목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사기열전 3
|
사기열전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연암서가
제왕학이자 경제학이며 인간학의 고전 『사기열전(史記列傳)』이 중국 고전 전문번역가인 장세후 박사(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전임연구원)에 의해 원문대역본의 형태로 새롭게 출간되었다. 이번 번역본은 북경 중화서국 판본을 저본으로 삼아 『사기』에 대한 대표적인 주석서인 3가주(三家註)로 알려진 송나라 배인(裴인)의 『사기집해(史記集解)』 및 당나라 사마정(司馬貞)의 ...
#사기열전
#사기
#
중국사
#역사와 문화
사기열전 2
|
사기열전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연암서가
제왕학이자 경제학이며 인간학의 고전 『사기열전(史記列傳)』이 중국 고전 전문번역가인 장세후 박사(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전임연구원)에 의해 원문대역본의 형태로 새롭게 출간되었다. 이번 번역본은 북경 중화서국 판본을 저본으로 삼아 『사기』에 대한 대표적인 주석서인 3가주(三家註)로 알려진 송나라 배인(裴인)의 『사기집해(史記集解)』 및 당나라 사마정(司馬貞)의 ...
#사기열전
#사기
#
중국사
#역사와 문화
사기열전 1
|
사기열전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연암서가
제왕학이자 경제학이며 인간학의 고전 『사기열전(史記列傳)』이 중국 고전 전문번역가인 장세후 박사(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전임연구원)에 의해 원문대역본의 형태로 새롭게 출간되었다. 이번 번역본은 북경 중화서국 판본을 저본으로 삼아 『사기』에 대한 대표적인 주석서인 3가주(三家註)로 알려진 송나라 배인(裴인)의 『사기집해(史記集解)』 및 당나라 사마정(司馬貞)의 ...
#사기열전
#사기
#
중국사
#역사와 문화
장안과 낙양 그리고 북경
새 창에서 열기
김학주 저
|
연암서가
중국 역사상 왕조(王朝)의 교체는 왕국의 성격만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그 왕국을 지배하는 한족(漢族)의 성격도 바꾸어놓았다. 그리고 천하를 다스리는 정치기구는 백성들을 평안히 잘 살게 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 아니라 천하의 백성들을 지배하며 착취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그것은 도읍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장안과 북경은 백성들을 잘 살도록 다스리기 위하여 ...
#
중국사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새 창에서 열기
아이리스 장 저
|
미다스북스
중일전쟁이 벌어지던 1937년 12월 13일, 중국의 수도 난징이 점령됐다. 그리고 6주 동안 근현대사에서 찾아볼 수 없는 참혹한 만행이 벌어졌다. 최대 35만의 중국인이 살해되고, 8만 이상의 노소를 불문한 여성이 강간을 당한 것이다. 당시 세계 각국의 머리기사를 장식했던 이 사건은, 그러나 전쟁이 끝나자 무슨 일이 있었느냐는 듯 묻혀버렸다. 무슨 일이 ...
#역사인식
#제국주의
#
중국사
진시황 평전 : 중국 역사 2천년을 비추는 진시황의 강력한 카리스마
새 창에서 열기
천징 저
|
미다스북스
진시황에 대한 국내 최초의 본격 평전 지금까지 진시황은 픽션이나 중국 역사의 한 부분으로만 다루어져 왔다. 우리는 진시황을 비이성적인 폭군 정도로만 기억하고 있을 뿐 그가 어떤 역사적 의미를 지닌 인물인지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소홀해왔다. 이 책은 풍부한 사료를 통해 그 동안 부정적으로만 인식되어온 진시황의 진면목을 총체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통일 ...
#
중국사
#평전
사마천사기 종합편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본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1994년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펴낸 {사기史記}를 저본으로 삼아 {사기} 전편을 완역한 것이다. 한문 원문을 덧붙인 최초의 완역본에 해당한다. 항우와 유방이 각축을 벌이는 초한지제楚漢之際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필자가 기왕에 펴낸 {춘추좌전}과 {국어} 및 {전국책}을 집필할 때 참고한 서적을 대거 활용했다. {사기}의 내용이 이들 ...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6권|열전(列傳) Ⅱ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사기}의 압권은 단연 [열전]이다. 이는 역대 문인들이 하나같이 동의한 것이기도 하다. 객관적으로 볼지라도 [열전]의 내용과 문체 모두 뛰어나다. 먼저 내용 면에서 등장인물의 사적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사마천이 해당인물의 특징적인 면모만 선별적으로 기록해 놓은 덕분이다. 함축성이 큰 만큼 울림도 크다. 문체 면에서 볼지라도 뛰어난 문체로 인해 등장인 ...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5권|열전(列傳) Ⅰ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사기}의 압권은 단연 [열전]이다. 이는 역대 문인들이 하나같이 동의한 것이기도 하다. 객관적으로 볼지라도 [열전]의 내용과 문체 모두 뛰어나다. 먼저 내용 면에서 등장인물의 사적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사마천이 해당인물의 특징적인 면모만 선별적으로 기록해 놓은 덕분이다. 함축성이 큰 만큼 울림도 크다. 문체 면에서 볼지라도 뛰어난 문체로 인해 등장인 ...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4권|세가(世家)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세가]는 제후들의 사적事迹을 다루고 있다. 정윤론正閏論의 정통설正統說에 따른 것이다. 왕조의 근본인 황실은 바른 자리를 뜻하는 ‘정위正位’, 여타 제후들은 남는 자리를 뜻하는 ‘윤위閏位’에 해당한다는 의미이다. 적자의 자손이 보위를 잇는 것은 ‘정위’, 서자의 자손이 보위를 잇는 것을 ‘윤위’로 표현하는 게 대표적이다. 음력으로 계산할 때 통상적인 1년은 ...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3권|서(書)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서]는 예악과 역법, 치수, 경제 등 치국평천하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전장典章 제도를 다루고 있다. 이를 역사적으로 접근하고 있어 일종의 제도사制度史에 해당한다. 모두 8편으로 이른바 8서八書로 불린다. [서]는 8편이 각기 2편씩 짝을 이루고 있다. [예서]와 [악서], [율서]와 [역서], [천관서]와 [봉선서], [하거서]와 [평준서]가 그렇다. 8 ...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2권|표(表)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표]의 역사는 매우 오래 됐다. 지난 1975년에 출토된 운몽진간雲夢秦簡이 그 증거다. 여기에는 진나라 때 만들어진 많은 법률관계 문서가 편년체 형식으로 기록돼 있다. 여기에 [연표]가 포함돼 있다. [연표]에는 진소양왕 원년인 기원전 306년부터 진시황 30년인 기원전 217년에 이르기까지 진나라에서 빚어진 큰 사건들이 요약돼 있다. 지난 1977년에 ...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1권|본기(本紀)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본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1994년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펴낸 {사기史記}를 저본으로 삼아 {사기} 전편을 완역한 것이다. 한문 원문을 덧붙인 최초의 완역본에 해당한다. 항우와 유방이 각축을 벌이는 초한지제楚漢之際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필자가 기왕에 펴낸 {춘추좌전}과 {국어} 및 {전국책}을 집필할 때 참고한 서적을 대거 활용했다. {사기}의 내용이 이들 ...
#
중국사
#사기
[근현대총서 2] 모택동 사상과 중국철학
새 창에서 열기
필검횡 저,필검횡 저
|
예문서원
현대 중국철학의 주류로서 중국인에게 큰 영향을 미친 모택동 철학을 설명했다. 저자는 모택동 사상의 이론적 근거를 마르크스 레닌주의 철학이라는 서양적 배경과 중국철학이라는 동양적 배경을 연결해 설명한다. 그중에서도 저자는 주로 중국의 전통철학과 모택동 사상의 관계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모택동 철학이 어떻게 중국적인 마르크스 레닌주의 철학이 될 수 있었는 ...
#동양철학
#
중국사
[동양문화산책 20] (문학과 철학으로 떠나는) 중국 문화 기행
새 창에서 열기
양회석 저,양회석 저
|
예문서원
한 · 중 수교 10주년을 맞이하여 중국 문화 깊이 읽기올해는 한 · 중 수교 10주년이 되는 해이다. 동서 이데올로기의 벽이 무너지기 시작하던 1992년 우리는 중국과 국교를 수립하였다. 이후 중국은 우리의 이웃 나라가 되었고, 왕성한 인적 물적 교류가 이루어졌다. 그 동안의 관계를 반영하려는 듯 최근 들어 중국에서는 한류韓流가 유행하고 있기도 하다. 우 ...
#동양철학
#
중국사
[연구총서 40] 죽간·목간·백서, 중국 고대 간백자료의 세계 1
새 창에서 열기
이승률 저,이승률 저
|
예문서원
현재 중국 고대 문화에 관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필수적인 자료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는 간백자료(죽간, 목간, 백서)의 출토 현황 및 연구방법론, 형태론, 내용, 의의 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에서 이 분야를 학문적으로 체계화하고 그 전체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집필된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고대 중국의 사회상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검토하한다. 상장간이라 ...
#
중국사
길 위에서 읽는 중국 현대사 대장정
새 창에서 열기
윤태옥 저
|
책과함께
대장정이란, 중국 남부의 장시성(江西省)에 근거를 두고 있던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중앙정부와 중국 공산당이, 장제스의 국민당 군대의 포위 공격을 피해 홍군의 호위를 받으며 1만 2500킬로미터를 강행군하여 섬서성(陝西省) 북부 옌안(延安) 인근으로 옮겨간 것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마오쩌둥의 중국 공산당은 장제스의 끊임없는 추격과 포위를 뚫어야 했다.이 책에는 ...
#
중국사
고지도의 비밀
새 창에서 열기
류강 외 저
|
글항아리
콜럼버스는 1492년에 아메리카 대륙을 최초로 발견했다. 마젤란 함대는 1519년에 항해를 시작한 지 3년 만에 세계 일주를 최초로 완성했다. 대항해, 대탐험으로 ‘지리상의 발견’이 이뤄졌다는 것은 교과서에 실려 있는 역사의 상식이다. 그러나 2001년 어느 날, 「천하제번식공도天下諸番識貢圖」 모사본인 「천하전여총도天下全與總圖」가 세상에 등장하면서 1418 ...
#
중국사
량치차오 평전
새 창에서 열기
셰시장 외 저
|
글항아리
이 책은 량치차오의 생애와 경력을 날줄로 삼고 그가 중국 근현대사의 대표 인물 14명과 교류한 내용을 씨줄로 삼아, 량치차오라는 인물과 그가 견지한 사상의 역사적 가치 및 현재적 의의를 새롭게 평가한다. 이 책이 씨줄로 삼은 인물은 캉유웨이·황쭌셴·탄쓰퉁·왕캉녠·탕차이창·쑨중산·장타이옌·양두·위안스카이·차이어·장바이리·딩원장·후스·쉬즈모다. 이 책은 이처럼 ...
#
중국사
#량치차오
이 중국에 거하라 - ‘중국은 무엇인가’에 대한 새로운 탐구
새 창에서 열기
거자오광 외 저
|
글항아리
“중국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중국사상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의 학자들이 고뇌했을 것이다. 저자 거자오광 교수 역시 문학 전공자이지만 이전의 저술들로 폭넓은 중국 사상을 다루었다. 그런 그에게 ‘중국 사상’ 혹은 ‘중국의 정체성’은 중요 키워드이자 앞으로 나아갈 중국의 청사진의 필수 요소이기도 했을 것이다. 겉으로 보기에 현재 대륙 중국은 패권적 강대국 ...
#
중국사
first
prev
1
2
next
last
결과 내 재검색
search
제품별보기
주제분류
역사∙지리 (29)
통사 (2)
근현대 (1)
중국사 (26)
문학(1)
에세이 (1)
철학(3)
중국철학 (3)
사회과학(1)
법학 (1)
자연과학(2)
자연과학일반 (1)
의학 (1)
인물전집∙사전(1)
인물전집 (1)
영역
제목 (11)
본문 (1,547)
유형
전자책 (24)
웹DB (13)
적용
연관제품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
한국문집총간(韓國文集叢刊)
부인ㆍ신여성(婦人ㆍ新女性)
한국개념사총서증보판
조선외교문학집성(연행록편) 증보판
량치차오 평전
사기열전 1
사기열전 2
사기열전 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