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메뉴보기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메뉴보기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검색어
학오재
영역
발행처
삭제
더보기
닫기
총 50건 검색결과
정확도순
정확도순
인기순
제목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유방경영학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현재 하드파워 위에 소프트웨어의 외피를 씌워 초일류 글로벌 기업으로 우뚝 선 삼성은 아무도 걷지 않은 길을 개척하는 이른바 ‘퍼스트 무버’로의 변신을 서두르고 있다. 기술과 예술을 결합시킨 ‘손 안의 세상’으로 IT산업의 정상에 우뚝 선 애플제국의 전례를 뒤늦게 좇고 있는 셈이다. 기존의 탄탄한 하드웨어 파워 위에 소프트웨어의 외피를 입히는 게 관건이다. ...
#동양철학
유몽영 잠언집
새 창에서 열기
장조 저
|
학오재
청조 초기에 나온 장조張潮의 {유몽영幽夢影}은 당시 커다란 각광을 받았다. ‘유몽영’은 아득한 꿈의 그림자라는 뜻이다. 그러나 청조가 패망의 나락으로 치닫는 19세기 말에 사람들의 뇌리에서 점차 사라졌다. 이를 다시 찾아낸 사람은 20세기 초 남개대南開大 교수를 지내며 노신魯迅과 함께 활동한 문인 장의평章衣萍이다. 그는 {유몽영}을 발굴한 뒤 평하기를, “ ...
#동양철학
#유몽영
욱리자 잠언집
새 창에서 열기
유기 저
|
학오재
명나라 건국에 대공을 세운 유기劉基는 자가 백온伯溫으로 삼국시대의 제갈량과 쌍벽을 이루는 역대 최고의 지낭智囊이다. 중국의 전 역사를 통틀어 신출귀몰하는 군사전략을 짜내고 새 왕조의 건립에 대공을 세운 인물은 제갈량과 유기밖에 없다는 얘기나 다름없다.{욱리자}는 {장자}와 더불어 동양의 대표적인 우화집에 속한다. {장자}가 {이솝우화}에 비견된다면, {욱 ...
#동양철학
사마천사기 종합편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본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1994년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펴낸 {사기史記}를 저본으로 삼아 {사기} 전편을 완역한 것이다. 한문 원문을 덧붙인 최초의 완역본에 해당한다. 항우와 유방이 각축을 벌이는 초한지제楚漢之際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필자가 기왕에 펴낸 {춘추좌전}과 {국어} 및 {전국책}을 집필할 때 참고한 서적을 대거 활용했다. {사기}의 내용이 이들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6권|열전(列傳) Ⅱ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사기}의 압권은 단연 [열전]이다. 이는 역대 문인들이 하나같이 동의한 것이기도 하다. 객관적으로 볼지라도 [열전]의 내용과 문체 모두 뛰어나다. 먼저 내용 면에서 등장인물의 사적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사마천이 해당인물의 특징적인 면모만 선별적으로 기록해 놓은 덕분이다. 함축성이 큰 만큼 울림도 크다. 문체 면에서 볼지라도 뛰어난 문체로 인해 등장인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5권|열전(列傳) Ⅰ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사기}의 압권은 단연 [열전]이다. 이는 역대 문인들이 하나같이 동의한 것이기도 하다. 객관적으로 볼지라도 [열전]의 내용과 문체 모두 뛰어나다. 먼저 내용 면에서 등장인물의 사적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사마천이 해당인물의 특징적인 면모만 선별적으로 기록해 놓은 덕분이다. 함축성이 큰 만큼 울림도 크다. 문체 면에서 볼지라도 뛰어난 문체로 인해 등장인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4권|세가(世家)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세가]는 제후들의 사적事迹을 다루고 있다. 정윤론正閏論의 정통설正統說에 따른 것이다. 왕조의 근본인 황실은 바른 자리를 뜻하는 ‘정위正位’, 여타 제후들은 남는 자리를 뜻하는 ‘윤위閏位’에 해당한다는 의미이다. 적자의 자손이 보위를 잇는 것은 ‘정위’, 서자의 자손이 보위를 잇는 것을 ‘윤위’로 표현하는 게 대표적이다. 음력으로 계산할 때 통상적인 1년은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3권|서(書)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서]는 예악과 역법, 치수, 경제 등 치국평천하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전장典章 제도를 다루고 있다. 이를 역사적으로 접근하고 있어 일종의 제도사制度史에 해당한다. 모두 8편으로 이른바 8서八書로 불린다. [서]는 8편이 각기 2편씩 짝을 이루고 있다. [예서]와 [악서], [율서]와 [역서], [천관서]와 [봉선서], [하거서]와 [평준서]가 그렇다. 8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2권|표(表)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표]의 역사는 매우 오래 됐다. 지난 1975년에 출토된 운몽진간雲夢秦簡이 그 증거다. 여기에는 진나라 때 만들어진 많은 법률관계 문서가 편년체 형식으로 기록돼 있다. 여기에 [연표]가 포함돼 있다. [연표]에는 진소양왕 원년인 기원전 306년부터 진시황 30년인 기원전 217년에 이르기까지 진나라에서 빚어진 큰 사건들이 요약돼 있다. 지난 1977년에 ...
#중국사
#사기
사마천사기 제1권|본기(本紀)
새 창에서 열기
사마천 저
|
학오재
본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1994년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펴낸 {사기史記}를 저본으로 삼아 {사기} 전편을 완역한 것이다. 한문 원문을 덧붙인 최초의 완역본에 해당한다. 항우와 유방이 각축을 벌이는 초한지제楚漢之際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필자가 기왕에 펴낸 {춘추좌전}과 {국어} 및 {전국책}을 집필할 때 참고한 서적을 대거 활용했다. {사기}의 내용이 이들 ...
#중국사
#사기
당시일백수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우리는 시조時調가 상징하듯이 이미 수백 년 전부터 시를 지어 읊는 ‘음시’를 사대부의 교양으로 연마해 온 역사를 지니고 있다. 커다란 자막에 한 줄 시를 써 넣어 오가는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의 시판詩板도 바로 시를 사랑하는 이런 역사문화 덕분으로 볼 수 있다. 객관적으로 볼 때 시로 정치를 하는 ‘시정’의 전통은 중국에만 존재했던 ...
#동양고전문학
당시삼백수
새 창에서 열기
손수 저
|
학오재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당시삼백수}는 장섭의 ‘주소본’ 또는 진완준의 ‘보주본’을 저본으로 삼은 두가지 판본의 주석서가 팽팽히 맞서고 있는 형국이다. 본서는 ‘주소본’을 저본으로 삼기는 했으나 ‘보주본’의 취지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해당 시마다 진완준의 주석을 최대한 반영키 위해 노력했다. 해당시의 주석 역시 기왕에 나온 여러 주석서를 두루 참고해 가장 ...
#동양고전문학
관자 평전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관포지교管鮑之交 고사로 널리 알려진 춘추시대 중엽의 정치가 관중管仲은 제환공齊桓公을 도와 사상 첫 패업을 이룬 당대의 정치가이다. 적잖은 사람들이 제환공과 관중의 만남을 마치 삼국시대 당시의 유비와 제갈량 내지 현대중국의 모택동과 주은래의 만남에 비유하곤 한다. 안타까운 것은 관중이 당대 최고의 정치가이자 역사상 최고의 사상가라는 사실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 ...
#동양철학
#관자
관자 경제학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관중管仲은 춘추시대 중엽 제환공을 도와 사상 최초로 패업을 이룬 인물이다. 그는 중국의 전 역사를 통틀어 최고의 사상가이자 뛰어난 현실 정치가에 해당한다. 실제로 그의 저서 {관자}는 정치와 경제, 외교, 군사 등 21세기에도 극히 중시되는 모든 부문을 깊숙이 논하고 있다.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를 논할 때 반드시 그를 짚고 넘어가는 이유다. 공자가 {논어 ...
#동양철학
#관자
공자이야기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공자사상이 비록 21세기 동북아시대의 벽두에 중국을 중심으로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고는 하나 [공자세가]와 성리학에 기초한 책들이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공자의 생애 및 사상 등에 관해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는 체계적인 저술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관련서는 [사기세가]의 내용을 토 ...
#동양철학
#공자
춘추좌전 (전면개정판)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좌구명의 『춘추』 주석서인 <춘추좌전>을 번역한 간행물로, 기록된 사실에 근거하여 실증적인 태도로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역사적 상황, 정치사회적 변혁, 제도와 문물 등 사회 전반의 다양한 내용을 사실적으로 서술하고 있어, 다른 주석서에 비해 경학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공자의『춘추』해석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고자 했다. 역자는 <춘추좌전 ...
#동양철학
(동양의 성경) 서경 : 전설과 역사의 핵심을 파헤치다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도서출판 학오재의 인문고전 강독] 시리즈로, 동양고전이 주는 지혜를 현대 G2시대에 맞게 재해석하여 설명하고 있다. 동양고전이 주는 지혜는 원본이 만들어지는 춘추전국시대로부터 수천 년이 지난 21세기의 오늘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미중이 치열하게 각축하는 G2시대에 중국에 대한 이해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중원 역사문화의 뿌리를 이해하는데 좋은 고 ...
#동양철학
#서경
시경
새 창에서 열기
공자 외
|
학오재
[도서출판 학오재의 인문고전 강독] 시리즈로, 춘추전국시대를 탐사하여 현대의 한반도 정치 실정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의 역사문화는 모두 춘추전국시대에서 비롯되었고, 그 원형은 <시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사철文史哲의 한 축인 '문'을 빼놓고는 인문학 전체를 하나로 융해시킬 수 없다는 판단으로 <시경>을 주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군주와 신하 및 백 ...
#동양철학
#시경
관자 경영학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도서출판 학오재의 인문고전 강독] 시리즈로, 제자백가 사상을 집대성한 '관자'를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리더십을 설명하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4강이 치열한 신경전을 펼치는 현시점에 필요한 난세리더십을 36개의 계책으로 요약하였다.
#동양철학
#관자
한비자 경영학
새 창에서 열기
신동준 저
|
학오재
[도서출판 학오재의 인문고전 강독] 시리즈로, 한비자가 역설한 난세리더십을 현재 한반도 실정에 맞게 재해석하여 설명하고 있다. 진시황은 '한비자'를 읽고 5백여 년에 달하는 춘추전국시대의 난세 상황을 종식시켰다. 이는 한비자가 역설한 일련의 난세리더십의 적합함을 말해준다. 향후 수십 년 간에 걸쳐 전개될 G2의 격돌은 동서간의 진검 승부에 해당한다. 그 ...
#동양철학
#한비자
first
prev
1
2
3
next
last
결과 내 재검색
search
제품별보기
주제분류
역사∙지리 (10)
통사 (2)
중국사 (8)
철학(40)
철학일반 (7)
중국철학 (33)
영역
발행처 (50)
유형
전자책 (47)
웹DB (3)
적용
연관제품
국어(國語)
역주 순자론
한비자
명심보감
맹자론
대학ㆍ중용론
관자
고전으로 분석한 춘추전국의 제자백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