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메뉴보기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메뉴보기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검색어
명사
더보기
닫기
총 24,249건 검색결과
정확도순
정확도순
인기순
제목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명찰순례 3 : 우리나라 유
명사
찰 현장답사기
|
명찰 순례 시리즈
새 창에서 열기
최완수 저
|
대원사
미술사학자 최완수씨가 들려주는 절 이야기 〈명찰순례〉는 우리국토의 명산승지에 자리잡은 56개 사찰에 대한 그와 제자들의 현장 답사기다.각 절에 얽힌 온갖 인연과 문화재에 대해 고서를 인용하거나 철저한 고증을 통해 해박하게 설명해가면서 전통문화에 무지한 현대인들을 자신 있는 명찰순례자로 만들고 있다
#사찰
#답사
#문화재
명찰순례 2 : 우리나라 유
명사
찰 현장답사기
|
명찰 순례 시리즈
새 창에서 열기
최완수 저
|
대원사
미술사학자 최완수씨가 들려주는 절 이야기 〈명찰순례〉는 우리국토의 명산승지에 자리잡은 56개 사찰에 대한 그와 제자들의 현장 답사기다.각 절에 얽힌 온갖 인연과 문화재에 대해 고서를 인용하거나 철저한 고증을 통해 해박하게 설명해가면서 전통문화에 무지한 현대인들을 자신 있는 명찰순례자로 만들고 있다.
#사찰
#답사
#문화재
명찰순례 1 : 우리나라 유
명사
찰 현장답사기
|
명찰 순례 시리즈
새 창에서 열기
최완수 저
|
대원사
미술사학자 최완수씨가 들려주는 절 이야기 〈명찰순례〉는 우리국토의 명산승지에 자리잡은 56개 사찰에 대한 그와 제자들의 현장 답사기다.각 절에 얽힌 온갖 인연과 문화재에 대해 고서를 인용하거나 철저한 고증을 통해 해박하게 설명해가면서 전통문화에 무지한 현대인들을 자신 있는 명찰순례자로 만들고 있다
#사찰
#답사
#문화재
의식의 기원 : 옛 인류는 신의 음성을 들을 수 있었다
새 창에서 열기
줄리언 제인스 저
|
연암서가
이 책에서는 의식에 대한 기존의 여러 견해, 즉 의식이 물질의 속성이라거나 원형질의 속성이라거나, 혹은 경험·학습·추론·판단의 다른 이름이라는 견해는 물론, 의식을 인과적 영향력이 없는 단순한 부수현상으로 보는 견해가 모두 기각된다. 그 대신 인간의 옛 정신체계는 양원적(兩院的, Bicameral)이었다는 주장과 함께, 의식은 인류 역사의 한 특정 기점이었 ...
생태학적 세계관과 문명의 미래 : 과학기술문명에 대한 대안적 통찰
|
박이문 인문학 전집
새 창에서 열기
박이문 저
|
미다스북스
『박이문 인문학 전집』의 출간 기획은 2014년부터 시작되었다. 박이문 선생과 부인 유영숙 여사의 격려와 지원을 통해 큰 힘을 손에 쥐고 출발했다. 전집의 목차 구성은 박이문 선생의 인문학적 저작을 주제별·시간대별로 분류한 결과물이다. 제8권 『생태학적 세계관과 문명의 미래』는 서구의 인간중심주의의 과학기술문명을 비판하고, 앞으로의 문명이 지향해야 할 생명 ...
#한국철학
#인문학
#박이문
북한문화재해설집 Ⅱ : 사찰건축편
|
북한문화재해설집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이번에는 북한소재 문화재 가운데 ‘사찰건축’을 모아 해설집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가능한 북한의 현존 사찰건축 전반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집대성 되도록 노력하였으며, 특히 연탄 심원사 보광전, 관음사 대웅전의 도변은 1930 년대 일제강점기에 마련된 도면을 찾아내어 함께 실었습니다. 또한 현재의 사찰 사진과 1930년대의 사진을 비교함으로써 그 동안의 변화 ...
#북한
#문화재
건축유적 발굴조사 자료집 사찰편 Ⅰ : 경기·충북·충남
|
건축유적 발굴조사 자료집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본 보고서는 그간 국내에서 이루어진 시굴 및 발굴 조사에서 확인된 건축 유적에 대한 정보를 간락하게 요약 정리한 첫 번째 결과물로 사찰편이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각각의 유적에 대한 조사 경위, 유적 개요, 건물지 개요 순으로 작성하였다. 본 보고서는 조사기관 및 조사자를 조사 차수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게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본 보고서의 명칭과 ...
#건축유적
#사찰
#불교
도난문화재도록 Ⅲ 지정편(指定篇) : 1985-2010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안전기준과 저
|
문화재청
본 도록은 문화재청에서 발간하여 경찰청·지방자치단체·관세청(전국 세관)·국공립박물관 및 전시관·전국 문화재매매업자·문화재감정관실 등 유관기관에 배포하여 범인검거·도난문화재 회수와 불법거래차단·국외유출방지·도난예방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도록
#문화재
[근대문학] 박세영 시전집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박세영 외 저
|
소명출판
시인 박세영(朴世永, 1902~1989)은 1930년대 좌파문학에서 매우 비중 높은 문학인의 한 사람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분단 이후 박세영은 남녘 땅 경기도 고향을 버리고 북으로 떠나가서 북한문단의 주축이 되었다.박세영을 떠올릴 때 우리는 1938년 봄에 발간된 시집 『산제비』를 먼저 연상한다. 이 시집의 표지에는 노란 바탕색에 여러 마리 산제비가 공중을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59] 문학제도 및 민족어의 형성과 한국 근대문학(1890-1945) : 제도, 언어, 양식의 지형도 연구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새 창에서 열기
김영민 저
|
소명출판
나는 한국의 근대문학 지도를 그린다는 생각으로 이 책을 썼다. 내가 목표로 한 것은 시간과 공간을 모두 아우르는 지도이다. 이 지도는 개별 작가 및 작품들이 놓여 있는 시간적ㆍ공간적 위치가 어디인가를 보여준다. 이 책을 통해 한국 근대 문학사(1890~1945) 속의 수많은 의미 있는 지형지물에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다.제1장은 근대적 문학 제도의 탄생과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48] 한일 근대소설의 문체 성립 : 다야마 가타이·이와노 호메이·김동인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새 창에서 열기
안영희 저
|
소명출판
이 책은 박사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으로 1993년부터 2003년까지 10년 동안, 도쿄대학 고마바 캠퍼스에서 수업을 듣고 연구방법론을 배운 유학생활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이 주제로 논문을 쓰게 된 것은 김동인의 “일본말로 구상하고 조선어로 썼다”라는 한 구절 때문이었다. 왜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로 소설을 구상할 수밖에 없었나가 논문의 출발점이었다. 김 ...
[근대문학] 한국문학과 역사의 그늘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하상일 저
|
소명출판
한국문학사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작가와 작품을 통시적으로 분석해보면, 부당한 정치권력과 편향된 이데올로기로 인해 지나치게 과대 포장된 작가와 작품들이 있는 반면, 오히려 이들에 의해 심각한 왜곡과 의도적 배제를 당함으로써 거의 언급조차 되지 않은 작가와 작품들도 상당히 많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한국문학에 짙게 드리워진 이와 같은 역사의 그늘은 아직까지도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29]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2 : 한성신보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새 창에서 열기
김영민 저
|
소명출판
한국의 근대신문은 근대문학의 변화를 이끌었고 오랜 기간 동안 그 변화의 중심에 서 있었다. 한국의 근대신문들은 새로운 방식의 기록과 복제 그리고 유통을 통해 한국인의 문학과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근대문학 연구에서 근대신문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이 책의 간행 목적은 한국 근대신문에 수록된 서사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통해 ...
[현대문학] 창조와 폐허를 가로지르다 : 근대의 구성과 해체
|
현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김행숙 저
|
소명출판
민지 치하에서의 근대화라는 경험을 가졌던 한반도의 근대 도래를 여러 가지 과거의 아이템들을 통해 되짚어보는 시도가 담긴 책. 구한말에서 일제시대로 넘어오며 한반도 사회에 등장했던 기차, 야구, 연애, 근대적 법치체계 등을 살펴보고 그 새로운 문물들이 미쳤던 영향을 다각도로 살펴본다. 그리고 그 근대의 구성이 오늘날 어떻게 우리 삶의 기반을 만들었는지를 살펴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236] 무깟디마 2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이븐 칼둔 외 저
|
소명출판
14세기 아랍에서 합리적 역사의식으로 역사의 변화와 그 너머를 보았던 이가 있었다. 그는 현대 역사학ㆍ사회학ㆍ경제학의 대부라 불리는 이븐 칼둔이다. 그는 이슬람 사상 최고의 역사가로 불리며 중세 최고의 지성으로 손꼽힌다. 이븐 칼둔은 당시 학문과 문화의 중심지였던 튀니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학자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코란 암송, 하디쓰, 아랍 ...
#서양사/세계사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08]
명사
식화지 역주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박원호 외 저
|
소명출판
식화지란 중국 역대 정사 중에서 경제를 중심으로 다룬 역사문화의 객관적 기축이다. 중국의 역대 식화지 가운데 체제와 논리가 가장 정연한 식화지. 중국의 정사(正史)인 ‘이십이사(二十二史)’ 속의 『식화지(食貨志)』는 특정 시대(이 책에서는 명대를 의미한다)의 역사 연구 특히 사회ㆍ경제사 방면의 연구에서 빠뜨릴 수 없는 필독서라 할 수 있다.『식화지』는 국가 ...
[원전총서] 공자성적도 : 고 판화로 보는 공자의 일생
새 창에서 열기
김기주 저,김기주 저
|
예문서원
古 판화로 보는 공자의 일생과 사상『공자성적도』는 신비로운 탄생에서부터 사후의 추앙에 이르기까지 공자와 관련된 중요한 사건들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여기에 간략한 설명을 곁들였다. 이를 통해 학자뿐만 아니라 일반 서민들에게도 유학의 근본 입장과 공자의 행적을 친절하게 소개한다. 물론 여기에 소개된 내용은 대부분 '사기'의 '공자세가'나 '공자가어'에 이미 기 ...
[원전총서] 서경잡기 : 서한 사회에 관한 132편의 견문록
새 창에서 열기
유흠 저,유흠 저
|
예문서원
중국인들의 의식 구조 속에 드러나는 漢代 문화의 자취들그들은 자신들을 漢族이라 부르고, 자신들의 글을 漢文이라 부른다. 한대의 문화를 알고 나면 중국 문화의 대강을 알게 되고, 중국 문화를 알고 나면 동양 문화의 대강을 알게 된다. 중국의 역사 속에 명멸해 간 왕조는 수없이 많지만, 중국인들은 그들의 가슴속에 아직도 이천여 년 전의 漢 왕조를 담고 있다. ...
#동양철학
#서경
[남명학연구총서 1] 남
명사
상의 재조명
새 창에서 열기
남명학연구원 저,남명학연구원 저
|
예문서원
남명 사상의 올바른 평가를 위하여! 『남명사상의 재조명』은 남명 사상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시도하였고 남명 조식의 실천의식과 선비정신, 처사상 등을 재조명 하였으며 차후 남명과 그 후학들의 사상이 올바로 자리매김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 일환이다.조선시대 양반들의 타협을 모르고 융통성 없는 모습을 지적하는 말로 '남산꼴깍발'이라는 말이있다. 그러나 이런 꼬 ...
#동양철학
#남명학
[연구총서 34]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새 창에서 열기
김일권 저,김일권 저
|
예문서원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는 하늘의 천체운행 원리를 끊임없이 인간의 질서 원리로 환원시키면서 하늘과 인간을 일치시키려는 천인감응 세계관 위에, 자연과 사회·정치 및 인간의 내면세계를 하나의 통일된 원리로 설명하려는 천지인 합일 사상에 대한 이론적 정비 작업을 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고古천문학 측면뿐만 아니라 동양의 역사와 문화, 철학과 종교에서 매 ...
#동양철학
#역학/천문학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결과 내 재검색
search
제품별보기
남북한말비교사전(7,059)
한국문집총간(韓國文集叢刊)(910)
국어학·언어학 용어사전(646)
의부집성(236)
고려사(209)
화몽집 교주(花夢集 校注)(186)
원중랑집(袁中郞集)(181)
구한국외교문서(168)
총서 불멸의 역사(151)
이이화의 한국사(114)
한국서지(107)
(2016년 6차 개정증보판) 연행록총간(燕行錄叢刊)(105)
한국학대백과사전(103)
한국문화사대계(96)
김지하전집(93)
역비한국학연구총서-현대편(77)
제자백가서(73)
우사 조동걸 전집(72)
한국사(한길사)(66)
(표준 발음법에 따른)우리말 발음사전(64)
바른말글사전(63)
한국민속대관(62)
한국현대문학대사전(55)
역비한국학연구총서-근대편(55)
리영희 저작집(54)
조선종교문학집성(불교편)(52)
한국의 독립운동가들(49)
이이화의 한문 공부(49)
국역 증보문헌비고(48)
이십이사차기(二十二史箚記)(45)
이슬람사전(43)
우초신지(虞初新志)(42)
근대문학 100년 연구총서(37)
고문진보(36)
전등삼종(剪燈三種)(36)
삼국사기·삼국유사(이병도 역)(35)
고려묘지명집성(35)
서하객유기(徐霞客遊記)(33)
한국현대문화사대계(32)
목민심서(30)
한국어의 문화전통(30)
도화선(桃花扇)(29)
반계수록(26)
경제학대사전(26)
이정박헌영전집(26)
역비한국학연구총서-전근대편(26)
일본속의 한국문화 유적을 찾아서(26)
역주 유양잡조(譯註酉陽雜俎)(24)
지방자치사전(23)
십삼경(21)
중국소설사(21)
잠서(潛書)(20)
CA현대건축 시리즈-통합버전(전체보기)(19)
양파유고(陽坡遺稿)(19)
한국문집총간(韓國文集叢刊) 인물연표(人物年表)(19)
유종원집(柳宗元集)(18)
한국역대제도용어사전(17)
(표점 교감본)삼국사기(허성도 역)(17)
최남선 연구(17)
조씨삼대록(17)
여씨춘추(呂氏春秋)(17)
대전회통(16)
한국서예대사전(16)
일석 이희승 전집(전9권)(16)
ABC북 맛보기 사전(16)
임씨삼대록(15)
양주화방록(揚州畵舫錄)(15)
혜환 이용휴 산문전집(15)
국역 해동문헌총록(15)
사기(14)
사통(史通)(14)
한국방각본소설전집 1편(13)
김진균교수 저작집(13)
소현성록(蘇賢聖錄)(13)
이성미콜렉션(13)
유씨삼대록(13)
임화문학예술전집(13)
지봉유설(12)
꾸란 주해(12)
예용해전집(12)
상군서(商君書)(12)
표암 강세황 산문전집(12)
한국신소설대계 1편(11)
한국인명대사전(11)
한국신소설대계 2편(11)
한국한문소설 교합구해(11)
근대계몽기의 학술ㆍ문예사상(11)
경국대전(10)
한국방각본소설전집 2편(10)
해행총재(海行摠載)(10)
대동수경(9)
사회복지대백과사전(9)
동양초학고전(9)
택리지(擇里志)(9)
혜강집(嵇康集)(9)
노자도덕경하상공장구(老子道德經河上公章句)(9)
조자건집(曹子建集)(9)
주역 - 역전편(周易易傳)(9)
한국과학사(8)
한국교회음악사(8)
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8)
문방청완(文房淸玩)(8)
현몽쌍룡기(8)
서운관지(書雲觀志)(8)
사서삼경(7)
담헌서(7)
발해사연구(7)
역주 순자론(7)
회남자(淮南子)(7)
개념사란 무엇인가(7)
동문선(東文選)(7)
경세유표(6)
동의치료경험집성(6)
역옹패설(6)
논쟁으로 읽는 한국사(6)
묵재한화(默齋閑話) : 한국미술사 외사(6)
근대 북경의 한인사회와 민족운동(6)
신어역해(新語譯解)(6)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6)
한국사회주의운동 인명사전(6)
조선외교문학집성(연행록편) 증보판(6)
한국역사지명사전(5)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5)
신서(新書)(5)
고산유고(孤山遺稿)(5)
염철론(鹽鐵論)(5)
백호통의(白虎通義)(5)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5)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5)
가무음악략사(歌舞音樂略史)(5)
부인ㆍ신여성(婦人ㆍ新女性)(5)
안성판방각본(5)
(색의 마술)디자인 컨셉을 위한 칼라 DB(4)
금궤비방(4)
한국근대시집총서(4)
차리석평전(4)
참동고(4)
한인 귀환과 정책(4)
중국언론 신보에 그려진 한국근현대사(4)
삼명시화(三溟詩話)(4)
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攷)(4)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4)
주역점의 이해(周易占의 理解)(4)
삐라로 듣는 해방 직후의 목소리(4)
중국본초도감(3)
규장각소장 발해사자료(3)
한국역대가사문학집성(3)
대역 화랑세기(3)
전국책(戰國策)(3)
한국천문학사(3)
북한연구자료집(3)
이돈화 연구(3)
고구려 가는 길(3)
발해 가는 길(3)
고사변 자서(古史辨 自序)(3)
주희의 후기 철학 : 朱子晩年全論(3)
절옥귀감(折獄龜鑑)(3)
동사(東史)(3)
태극해의(太極解義)(3)
이장의(二障義)(3)
한국의 문양(3)
역주 예개(藝槪)(3)
대동법, 조선 최고의 개혁(3)
이가환 시전집(3)
혜환 이용휴 시전집(3)
해천추범(3)
주역 - 역전해설(周易解說)(3)
번역 오하기문(2)
국어(國語)(2)
(시대의 물음에 대한 답변,)책문(2)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2)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2)
처용이 있는 풍경 : 삼국유사 사진기행(2)
중요무형문화재(2)
한국 불교조각의 흐름(2)
한국의 허브(2)
왕릉 풍수와 조선의 역사(2)
이광수 전집(2)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2)
조선총독부 법제 정책(2)
남아 있는 역사, 사라지는 건축물(2)
경연, 왕의 공부(2)
이찬 시전집(2)
산림경제(山林經濟)(2)
삼탄집(三灘集)(2)
송당집(松堂集)(2)
동국이상국집(1)
화훼 패턴 & 디자인(1)
(패션의 역사)서양패션 DB(1)
한국속담사전(1)
한국도안문양사전(1)
한국약용식물사전(1)
퇴계 이황, 고봉 기대승 서간집(1)
연대로 보는 한국사(1)
도덕지귀(1)
관자(1)
한국의 문과 창호(1)
휴전선 155마일 야생화 기행(1)
불모의 꿈 : 목아 박찬수의 불교 목조각 인생(1)
사진으로 보는 1940년대 농촌 풍경(1)
신궁궐기행(1)
한옥(1)
부휴자담론(浮休子談論)(1)
사화와 반정의 시대(1)
조벽암 시전집(1)
황제사경 역주(黃帝四經 譯註)(1)
문화세계(文化世界)(1)
한국전쟁기 문학ㆍ수기ㆍ제도 자료집(1)
조선전기회화(1)
녹두 전봉준 평전(1)
만해 한용운 평전(1)
약산 김원봉 평전(1)
한국유학사상대계 Ⅳ - 文學思想編 -(1)
한국유학사상대계 Ⅸ - 社會思想編 -(1)
한국금석문집성 35 : 고려19 금문 및 기타(1)
후흑학(1)
욱리자(1)
군주론(1)
인물로 보는 친일파 역사(1)
20세기 역사학, 21세기 역사학(1)
식민지 조선의 또 다른 이름, 시네마 천국(1)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1)
[연구총서 40] 죽간·목간·백서, 중국 고대 간백자료의 세계 1(1)
[남명학연구총서 2] 남명학파 연구의 신지평(1)
[연구총서 34]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1)
[남명학연구총서 1] 남명사상의 재조명(1)
[원전총서] 서경잡기 : 서한 사회에 관한 132편의 견문록(1)
[원전총서] 공자성적도 : 고 판화로 보는 공자의 일생(1)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08] 명사 식화지 역주(1)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236] 무깟디마 2(1)
[현대문학] 창조와 폐허를 가로지르다 : 근대의 구성과 해체(1)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29]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2 : 한성신보(1)
[근대문학] 한국문학과 역사의 그늘(1)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48] 한일 근대소설의 문체 성립 : 다야마 가타이·이와노 호메이·김동인(1)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59] 문학제도 및 민족어의 형성과 한국 근대문학(1890-1945) : 제도, 언어, 양식의 지형도 연구(1)
[근대문학] 박세영 시전집(1)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1)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1)
형재시집(亨齋詩集)(1)
도난문화재도록 Ⅲ 지정편(指定篇) : 1985-2010(1)
건축유적 발굴조사 자료집 사찰편 Ⅰ : 경기·충북·충남(1)
북한문화재해설집 Ⅱ : 사찰건축편(1)
생태학적 세계관과 문명의 미래 : 과학기술문명에 대한 대안적 통찰(1)
더보기
주제분류
역사∙지리 (1,559)
역사일반 (46)
통사 (403)
고대 (73)
고려시대 (246)
조선시대 (254)
근현대 (417)
중국사 (102)
지리 (18)
문학(13,424)
문학일반 (638)
시 (22)
소설 (350)
에세이 (63)
가사 (61)
희곡 (29)
문집 (12,261)
예술(90)
예술일반 (21)
건축 (27)
미술 (28)
음악 (13)
의류 (1)
철학(269)
철학일반 (86)
한국철학 (9)
중국철학 (146)
경학 (28)
사회과학(111)
사회과학일반 (106)
법학 (5)
자연과학(263)
식물학 (3)
천문학 (11)
의학 (249)
문화(162)
민속 (67)
언어 (80)
종교 (15)
인물전집∙사전(8,371)
인물전집 (203)
사전 (8,168)
영역
제목 (1,320)
저자 (1)
본문 (22,899)
유형
전자책 (35)
웹DB (24,214)
적용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