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연관제품
1
고구려 가는 길
2
한국고고학사전 (하) : ㅇ~ㅎ
3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청동기시대편
검색어
"전체 : 고고학사전"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13)
역사∙지리
(5)
문학
(0)
예술
(0)
철학
(0)
사회과학
(0)
자연과학
(0)
문화
(0)
인물전집∙사전
(8)
역사∙지리
5 건
더보기
1. 광업의 발생과 발전
한국과학사
본문
원시, 고대편
제2장 광물채취 및 금속가공 기술
제1절 광업의 발생과 광물생산기술
북한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저,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저,한국과학사 편찬위원회 편저
|
여강출판사
...아니라 쉽게 채굴할 수 있게 노두와 표사광상으로 분포되어 있다는 것이며, 셋째로 우리 선조들이 캐낸 광물로 필요한 제품을 만드는 기술을 소유하고 발전시켜 나가고 있었다는 것이다. 12) 『世界
考古學事典
』上, 平凡社, p.376, 1985 13) 『世界
考古學事典
』上, 平凡社, p.595, 1985 14) 『北鮮太古石器』, 會寧博文館, 1924.
탑산산성
고구려 가는 길
본문
심양성의 유래
류연산 저
|
아이필드
...
고고학사전
》(208쪽)에서는 압록강 이북의 주요한 성들을 밝힌 도표에서 탑산성을 개모성이라고 썼다. 내가 탑산산성을 찾아간 것은 1996년 3월 26일, 이봉국의 동갑내기 외삼촌의 안내를 받아서였다. 그는 소가툰구 연맹촌(聯盟村)의 화원신촌(花園新村)에 살았다. 영춘가 대통로를 따라 번화한 소가툰을 금방 벗어나자 사과와 배나무(53,000평방미터에 4천 그...
봉황산성의 유래
고구려 가는 길
본문
고구려인의 늠름한 기상이 서린 봉황산성
류연산 저
|
아이필드
...
고고학사전
》 2) 에서는 봉황산성을 환도성이라고 분명히 찍었다. 그러면서 안시성은 요녕성 해성에 있는 영성자산성으로, 오골성을 요녕성 수암성을 점찍었다. … 봉성 부근에는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 고려문성과 규모가 큰 봉황산성이 있다. … 고려문성과 봉황산성과의 관계는 국내성과 위나암성과의 관계나 안학궁과 대성산성과의 관계와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인물전집∙사전
8 건
더보기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청동기시대편
|
한국고고학사전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 저
|
문화재청
『韓國考古學專門事典-靑銅器時代篇』은 한국 청동기시대를 유적과 유물, 개념 등의 범주로 나누어 비교적 세밀하게 서술한 전문사전입니다. 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인 일본 중국.러시아의 청동기시대 중 우리문화와 비교적 긴밀한 관련이 있는 항목을 선정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항목들에 대해서는 도면과 도판을 충분히 수록해 본서를 이용하는 일반인들의 이해를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신석기시대편
|
한국고고학사전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저
|
문화재청
이 사전에는 한국 신석기시대 고고학의 성과를 유적과 유물, 개념 등의 범주로 나누어 용어를 해설하고 주요 자료를 정리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한반도 외에도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우리의 신석기문화와 밀접한 지역의 연구 성과가 포함되었고, 도면과 도판을 수록하여 이 사전을 이용하는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성곽·봉수편
|
한국고고학사전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번에 『韓國考古學專門事典-城部·烽燧篇-』을 발간하였습니다. 본 사전은 청동기시대편, 고분편에 이은 『韓國考古學專門事典』의 새로운 결과물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고고학의 성곽 및 봉수에 대한 그간의 연구성과를 집대성하고 공인된 용어 통일안을 마련하여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5 건
고대
(3)
역사일반
(1)
통사
(1)
인물전집∙사전
8 건
사전
(8)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