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연관제품
1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12] 대비로자나성불경소 2
검색어
"전체 : 대비로자나"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4)
역사∙지리
(1)
문학
(0)
예술
(0)
철학
(0)
사회과학
(0)
자연과학
(0)
문화
(3)
인물전집∙사전
(0)
역사∙지리
1 건
더보기
비로자나불상(毘盧遮那佛像)의 출현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본문
교종미술의 완성과 선종미술의 개화
제8부 비로자나 광명세계、 후삼국
최완수 저
|
대원사
...
대비로자나
경(大毘盧遮那經)』을 교본으로 삼아 그린 것이다. 그래서 금강계 만다라에서는 그 중심불인 비로자나불의 손짓이 지권인을 짓게 되고, 태장계 만다라에서는 비로자나불이 법계정인(法界定印)이라는 선정인(禪定印: 가부좌를 틀고 앉아 손을 발 위에 올려놓고 오른손 손바닥 위에 왼손 손바닥을 포개 대고 있는 손짓)을 짓는다. 그런데 태장계 만다라의 중심불인 비...
문화
3 건
더보기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11]
대비로자나
성불경소 1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김영덕 저
|
소명출판
불교가 모든 종교와 여러 사상 중의 꽃이라면, 밀교는 그 꽃의 열매격이 된다. [대일경]은 그러한 밀교의 중심이 되는 교학을 담고 있다. [대일경소]는 이 경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풀이한 것인데, [대일경]의 사상을 재조직하여 발전시켜 중국 밀교의 성립에 커다란 역할을 했다. 그러므로 밀교를 알고자 하는 사람은 물론, 불교의 진수를 맛보려는 자라면 반드시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12]
대비로자나
성불경소 2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김영덕 저
|
소명출판
불교가 모든 종교와 여러 사상 중의 꽃이라면, 밀교는 그 꽃의 열매격이 된다. [대일경]은 그러한 밀교의 중심이 되는 교학을 담고 있다. [대일경소]는 이 경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풀이한 것인데, [대일경]의 사상을 재조직하여 발전시켜 중국 밀교의 성립에 커다란 역할을 했다. 그러므로 밀교를 알고자 하는 사람은 물론, 불교의 진수를 맛보려는 자라면 반드시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13]
대비로자나
성불경소 3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김영덕 저
|
소명출판
불교가 모든 종교와 여러 사상 중의 꽃이라면, 밀교는 그 꽃의 열매격이 된다. [대일경]은 그러한 밀교의 중심이 되는 교학을 담고 있다. [대일경소]는 이 경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풀이한 것인데, [대일경]의 사상을 재조직하여 발전시켜 중국 밀교의 성립에 커다란 역할을 했다. 그러므로 밀교를 알고자 하는 사람은 물론, 불교의 진수를 맛보려는 자라면 반드시 ...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1 건
통사
(1)
문화
3 건
종교
(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