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연관제품
1
중국소설사
검색어
"전체 : 몽량록 고려"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4)
역사∙지리
(1)
문학
(3)
예술
(0)
철학
(0)
사회과학
(0)
자연과학
(0)
문화
(0)
인물전집∙사전
(0)
역사∙지리
1 건
더보기
3. 재상과 집정(執政), 친왕(親王)과 황족(皇族), 그리고 백관(百官)이 궁궐로 들어와 황제께 술을 올려 축수(祝壽)를 드리다[宰執親王宗室百官入內上壽]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
본문
권9
맹원로 지음,김민호 역
|
소명출판
...
夢粱錄
』 권3 「宰執親王南班百官入内上壽賜宴」 조 위의 문장과 비슷한 “黑漆矮偏櫈坐物”이란 구절이 있다. 이에 ‘釘’을 여기서는 ‘櫈’, 즉 탁자로 해석한다. 29) 分 : 한 벌, 세트. 30) 環餠 : 고리 모양으로 생긴 기름으로 튀긴 밀가루 음식. 饊子라고도 한다. 31) 看盤 : 간탁看卓, 간석看席, 간식看食이라고도 하고, 예전에는 정좌飣座...
문학
3 건
더보기
제15편 원명(元明)으로부터 전래되어 온 강사(講史) 하(下)
중국소설사
본문
1부 중국소설사략
루쉰 저,조관희 역
|
소명출판
...
몽량록
(
夢梁錄
)』(20) 강사조(講史條)에 의거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왕륙대부(王六大夫) 40) 가 있었는데, 함순(咸淳) 연간에 『복화편(復華篇)』 및 『중흥명장전(中興名將傳)』을 부연(敷衍)하니, 듣는 이들이 수없이 몰려들었다(有王六大夫, 于咸淳年間敷衍『復華篇』及『中興名將傳』, 聽者紛紛).” 그런즉 마땅히 강사에 채록되었을 것이다. 『수...
제14편 원명(元明)으로부터 전래되어 온 강사(講史) 상(上)
중국소설사
본문
1부 중국소설사략
루쉰 저,조관희 역
|
소명출판
...
몽량록
(
夢粱錄
)』과 『무림구사(武林舊史)』에 보인다) 1) , [글로써 남아 있는] 저작이 있었다는 소리는 듣지 못했다. 원대(元代)는 소요가 많았고, 문화가 침체했던 때였으므로 더 논할 것이 없다. 일본 나이카쿠 분코(內閣文庫) 2) 에는 원(元) 지치(至治; 1321~1323) 연간 신안(新安)의 우씨 간본(虞氏刊本) 전상[全相; 지금의 이른바 ...
제21편 명(明)의 송대 시인소설(市人小說)을 모방한 소설과 후대의 선본(選本)
중국소설사
본문
1부 중국소설사략
루쉰 저,조관희 역
|
소명출판
...
몽량록
(
夢梁錄
)』의 기록의 불비함을 보완한 것으로, 뒤에 “삼언”의 원류를 더듬어가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삼언”에 실린 120편의 이야기의 연대에 관해서는 앞서 나온 바 있는 머우융허(繆詠禾)의 『풍몽룡화삼언』(22면)에 일일이 밝혀져 있다. 그것에 의하면, 춘추전국시대의 이야기가 셋이고, 진한대가 여섯, 위진남북조가 둘, 수당대가 열여덟,...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1 건
중국사
(1)
문학
3 건
문학일반
(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