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연관제품
1
[원전총서] 박세당의 노자 : 어느 유학자의 노자 읽기
검색어
"전체 : 박세당의 노자"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6)
역사∙지리
(3)
문학
(0)
예술
(0)
철학
(3)
사회과학
(0)
자연과학
(0)
문화
(0)
인물전집∙사전
(0)
역사∙지리
3 건
더보기
발문
한국문화사대계
본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대표집필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朴世堂의
「
老子
道德經」注解를 合本, 「國譯叢書」 제4집을 刊行하기 위하여 迫車를 加하고 있다. 이 「韓國文化史大系」의 編纂에 착수하게 된 것은 「韓國古典國譯委員會」를 1963년 6월 20일에 「高麗大學校 附設 民族文化硏究所」로 改稱하고, 初代 所長으로 취임한 故 趙東卓교수의 企劃이었다. 本 文化史大系야말로 5千年 우리 韓國의 文化史를 이때까지 없던 橫的인 分...
7월 4일 신미
승정원일기
본문
현종
현종 14년(1673년 계축)
7월
승정원 저
|
누리미디어
...
朴世堂의
상소에 대한 비답 ○ 答司諫 朴世堂 疏曰, 省疏具悉。臺閣不可久曠, 宜遵前旨, 勿辭, 從速上來察職。 사직하지 말라는 閔鼎重의 상소에 대한 비답 ○ 答大司憲 閔鼎重 疏曰, 省疏具悉。已諭予意於前後之批矣, 何用多誥? 此非臣子言病退處之時, 只觀分義而已。卿其勿辭, 從速察職。 사직하지 말라는 柳㝚의 상소에 대한 비답 ○ 答弼善...
8월 14일 경진
승정원일기
본문
현종
현종 9년(1668년 무신)
8월
승정원 저
|
누리미디어
...
朴世堂의
병이 실병이라고 한 吏曹의 草記에 대한 전교 ○ 吏曹, 以佐郞 朴世堂 所患, 果是實病, 勢將差出假郞廳啓稟草記, 傳曰, 若非死病, 擧動迫近之日, 渠何敢呈病? 昨請推考, 今欲變通者, 是何該曹道理耶? 徒循郞官之所欲爲, 不思事體之顚倒, 誠極駭異。當該堂上推考, 此草記, 還出給。 李夏 등이 사은함 ○ 謝恩, 兼持平 李夏 , 掌令 李休徵 ,...
철학
3 건
더보기
[원전총서]
박세당의
노자
: 어느 유학자의
노자
읽기
새 창에서 열기
박세당 저,박세당 저
|
예문서원
박세당은 사서 등 유가의 경전에 대해 주해서 『사변록』을 저술하면서 주희의 견해를 비판하면서 당시 정주학풍으로 통일되었던 학계의 범주에서 벗어나 실증적이고 자유로운 태도를 견지하였다. 주희가 이기론이나 체용론 같은 형이상학적 사유방법을 택한 것과는 달리, 박세당은 학문의 초심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평이한 방법으로 경서를 풀이했다.
2. 서명응 학문의 특징과 문제의식
도덕지귀
본문
해제: 보만재 서명응의 사상과 『도덕지귀』
서명응 지음
|
예문서원
...
朴世堂의
『新註道德經』, 洪奭周의 『訂老』, 李忠翊의 『談老』 등이 있다. 김학목, 「조선 유학자들의 『도덕경』 주석과 그 시대상황」, 『동서철학연구』 24호(2002) 참조. 27) 『參同攷』는 도교 內丹學의 경전이라 말할 수 있는 『참동계』에 관한 주석서로, 서명응의 양생술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잘 표명되어 있는 저술이다. 이 책에는 丙午年(178...
책머리에
도덕지귀
본문
서명응 지음
|
예문서원
...
박세당의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 『남화경주해산보南華經註解刪補』 정도를 들 수 있을 뿐이다. 조선조에 행해진
노자
에 대한 이해는 세 가지 틀에서 분석할 수 있다. 첫째, 성리학적 리기론의 차원에서 리理우월주의를 강조하면서
노자
사상을 기氣적인 차원으로만 이해하거나, 혹은 일방적으로 이단으로 규정하고 배척하는 입장이다. 삼봉 정도전, 회재 이언적, 퇴계 이황...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3 건
조선시대
(2)
통사
(1)
철학
3 건
중국철학
(2)
한국철학
(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