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추천제품
추천제품
새 창에서 열기
한국의 고건축
한국예술정보 저
|
한국콘텐츠진흥원
사진으로 만나는 고건축 DB
연관제품
1
한국의 고건축
2
한국문화사대계
검색어
"전체 : 법주사 가람배치"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4)
역사∙지리
(1)
문학
(0)
예술
(3)
철학
(0)
사회과학
(0)
자연과학
(0)
문화
(0)
인물전집∙사전
(0)
역사∙지리
1 건
더보기
Ⅱ 불교도래 이후의 건축
한국문화사대계
본문
풍속ㆍ예술사 下
한국미술사 (2) - 건축사 - 신영훈
2. 불교가 건축에 끼친 영향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대표집필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法住寺
捌相殿도 퍽이나 平底한 지붕을 가졌다. 이런 지붕은 대단한 安定感을 갖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建築의 特色으로 일컫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比較的 木材가 豊富하지 못한 편이어서 서까래는 必要 이상으로 길게 하려 하지 않았는데, 日本은 豊富한 木材의 德으로 서까래를 자유스럽게 만들 수 있어서 홑처마 지붕을 만들 수 있었다. 法隆寺에 홑...
예술
3 건
더보기
고건축의 시대별 개관
한국의 고건축
한국예술정보 저
|
한국콘텐츠진흥원
...
법주사
, 동화사, 범어사, 화엄사, 통도사, 봉정사 등 많은 사찰이 재건 또는 창건되었다. 그러나 기본적인 조선의 숭유배불 정책에 의해 그다지 불교 건축이 활발하지는 못했다. 유교 건축으로는 나주 향교, 영천 향교, 밀양 향교 등의 3대 향교 외에도 많은 향교가 각 지방에 세워졌고, 소수 서원, 도동 서원, 도산 서원, 필암 서원 등의 서원도 여러 곳에 세...
9) 호오류우지의 오중탑-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탑_정렬된 비례의 단정한 자태
이성미콜렉션
본문
내가 본 세계의 건축
Ⅰ. 종교 건축
1. 불교ㆍ힌두교 건축
이성미 저
|
대원사
...
법주사
(
法住寺
) 팔상전(捌相殿)이 호오류우지 오중탑과 가장 비슷한 형태의 목조탑이다. 현재의 구조는 임진왜란 이후 재건되고 그 후 또 보수를 거친 것이지만 원래의 팔상전은 6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7세기 이후 대부분의 탑들은 목조의 기원을 보이는 석조(石造)로 건립되었으며,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 그 좋은 예이다. 이 경우 상륜부에 역시 상징적 요소...
참고문헌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본문
김동욱 저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法住寺
捌相殿 修理工事報告書』, 문화재관리국, 1998 김성우 외, 『송광사』, 대원사, 1994 김동현 외, 『통도사』, 대원사, 1996 서치상 외, 『범어사』, 대원사, 1996 김봉건 외, 『마곡사』, 대원사, 1998 金奉烈, 「朝鮮時代 寺刹建築의 殿閣構成과 配置形式 연구」, 서울대, 1989 洪大炯, 「開岩寺 大雄寶殿 建築形式에 관한 연구」, 서...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1 건
통사
(1)
예술
3 건
건축
(2)
예술일반
(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