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연관제품
1
한국문집총간(韓國文集叢刊)
2
서하객유기(徐霞客遊記)
3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검색어
"전체 : 서하객 산해경"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10)
역사∙지리
(1)
문학
(9)
예술
(0)
철학
(0)
사회과학
(0)
자연과학
(0)
문화
(0)
인물전집∙사전
(0)
역사∙지리
1 건
더보기
校勘記 典據 現況(661種)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본문
[附錄]
校勘記 典據
이규경(李圭景) 저자
|
누리미디어
...
徐霞客
遊記【1회】 : 明 徐宏祖. [四庫全書][河北人民出版社;1998] 西河詩話【1회】 : 淸 毛奇齡(1623~1716). [昭代叢書] 西河集【8회】 : 淸 毛奇齡(1623~1716). [四庫全書] 西華仙籙【2회】 : 淸 王言. [昭代叢書] 石經考【3회】 : 淸 萬斯同(1638~1702). [四庫全書] 析骨分經【1회】 : 明 甯一玉. [說郛] 石...
문학
9 건
더보기
운남 유람일기7(滇遊日記七)
서하객유기(徐霞客遊記)
본문
서하객
지음,김은희 역,이주노 역
|
소명출판
...
서하객
이 운남성 북서부 지역을 유람한 기록이다.
서하객
은 여강부(麗江府)에 도착한 이후 열흘 남짓동안 토사인 목증(木增)에게 융숭한 환대를 받았는바, 목증의 도움으로 상비수(象鼻水)를 유람하고 목가원(木家院)의 거대한 산차나무를 감상했다. 아울러
서하객
은 목증을 위해 『운과담묵집(雲薖淡墨集)』을 정리ㆍ교열하고, 『산중일취집(山中逸趣集)』의 발문을 썼으며, ...
사하륭의 서문(史夏隆序)
서하객유기(徐霞客遊記)
본문
부록
서하객
지음,김은희 역,이주노 역
|
소명출판
서하객
선생은 기인이다. 그를 위해 전기를 지은 전겸익(錢謙益)은 그의 사람됨을 전하면서 그의 사적을 전했는데, 인물과 사적의 기이함은 모두 『유기』라는 한 권의 책에 있다. 어찌하여 한 권의 책이 기이하다 말하는가? 무릇 경전에서 일컫는 기인이란 한 가지 사적의 기이함이나 한 마디 말의 특이함이지만,
서하객
선생의 기이함은 유람에 있기 때문이다. 유람의 기...
호남 유람일기(楚遊日記)
서하객유기(徐霞客遊記)
본문
서하객
지음,김은희 역,이주노 역
|
소명출판
...
서下객
이 강서성을 유람한 이후 곧바로 이어서 호남성을 유람한 기록이다. 서유객은 1637年 정月 11일 늑자수(艻子樹)에서 서쪽으로 나아가 형산(衡山)을 거쳐 형주부(衡州府)와 영주부(永州府)에 이른 다음, 호남성을 한바퀴 빙 둘러 다시 형주부로 돌아왔다가, 다시 上강(湘江)을 타고서 윤사月 7일에 광서(廣西)로 들어갔다. 이 여정을 거치는 동안 그는 도둑...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1 건
조선시대
(1)
문학
9 건
문집
(3)
에세이
(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