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연관제품
1
절옥귀감(折獄龜鑑)
2
동사(東史)
3
염철론(鹽鐵論)
4
원중랑집(袁中郞集)
5
이십이사차기(二十二史箚記)
6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7
양주화방록(揚州畵舫錄)
8
황제사경 역주(黃帝四經 譯註)
9
가무음악략사(歌舞音樂略史)
검색어
"발행처 : 소명출판"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440)
역사∙지리
(24)
문학
(341)
예술
(20)
철학
(32)
사회과학
(6)
자연과학
(3)
문화
(13)
인물전집∙사전
(1)
역사∙지리
24 건
더보기
가미카제 특공대 에서 우주전함 야마토 까지 : 전후 일본의 전쟁영화와 전쟁 인식
새 창에서 열기
박진한 외 저
|
소명출판
문헌사료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영상물을 어떻게 역사 자료로 활용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일본사 전공자들의 모임인 ‘일본영상연구회’의 젊은 연구자 5명의 공동저작으로 2007년 여름부터 주기적으로 연구 모임을 지속해온 그 첫 성과물이다. 아시아·태평양전쟁 이후 일본에서 제작된 주요 전쟁영화를 소재로 삼아 전쟁이 어떻게 재현되는지에 대해 살핀다. 그리고 이를 위 ...
[근대문학] 근대 동아시아 담론의 역설과 굴절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전성곤 외 저
|
소명출판
근대 제국주의 시기 일본 지식인들의 일그러진 ‘동아시아상’이 책은 근대 일본의 대표적 지식인들을 선정하여 이들의 동아시아 표상과 그 표상 속에 담긴 굴절되고 역설적인 인식에 대해 각각의 연구자들이 치밀하게 분석해낸 결과물이다.근대 일본 지식인들, 즉 근대기 일본 학계에서 문학, 사학, 철학(사상)을 전공으로 하여 활동한 지식인들의 동아시아 이미지는 굴절되고 ...
[규장각 학술총서 01]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강제 병합 공작과 `한국병합`의 불법성
|
규장각 학술총서
새 창에서 열기
윤대원 저
|
소명출판
일제가 남긴 자료를 통해 한국병합의 불법성을 파헤친다 이 책은 그동안 한일 사이에 쟁점이 되어온 ‘병합늑약’의 합법·불법성 문제에 대해 무효불법론의 입장에 서서 집중 연구한 것이다. 규장각이 소장한 대한제국기 관찬 문서 및 일제의 관찬 문서 그리고 병합늑약 체결 관련자들이 남긴 증언 내지 회고록 등을 ‘퍼즐조각 맞추듯’ 하여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받지 못한 ...
문학
341 건
더보기
(수정 증보) 한문산문의 내면 풍경
새 창에서 열기
심경호 저
|
소명출판
산문은 기록과 의론과 서정을 포괄하는 잡다한 성격을 지닌 문학 갈래다. 근세 이후의 서구 소설을 읽는 일로부터 문학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는 우리로서는, 문학은 허구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다시, 문학이 지닌 사회적 효용에 대하여 진지하게 논하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인물의 전형성이 뚜렷하여야 문학적 가치가 높다고 단정하기 일쑤다. 시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
#산문
#퇴계 이황
#다산 정약용
[여성작가연구총서 01] (방법으로서의 젠더) 나는 여자다 : 최정희론
|
여성작가연구총서
새 창에서 열기
김복순 저
|
소명출판
최정희에게는 음으로 양으로 늘 오해의 조각이 따라 붙었다. 사이비 사회주의자, 기자 나부랭이, 남으로부터는 빨갱이, 정권의 부침에 따라 흘러 다녔던 작가, 시종일관 기회주의자 등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최정희의 본질이고 전부일까? 한국여성문학학회가 총 30권으로 기획하고
소명출판
에서 ‘여성작가총서’의 첫 번째로 내 놓은 이 책은 그간의 조각들을 털어내 ...
[근대문학] 김유정의 귀환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김동환 외 저
|
소명출판
노란 동백꽃이 피는 봄은 「봄ㆍ봄」과 「동백꽃」의 작가 김유정의 계절이다. 그는 가난과 병고와 고독 속에서 어느 봄날 떠나갔지만, 그의 작품은 봄이 돌아올 때마다 꽃잎을 타고 찾아온다. 그가 남긴 서른 한 편의 작품(최근 발견된 김유정 작 「홍길동전」 포함)은 세월을 따라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재생산되고 있다. 김유정의 소설 작품은 희곡이나 패로디 소설처럼 ...
예술
20 건
더보기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조선영화와 충무로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새 창에서 열기
주창규 저
|
소명출판
최근 들어 한국 영화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는 계기가 많아지고 있다. 베니스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며 세계적 감독으로 발돋움한 김기덕 감독과, 할리우드의 탑 배우 니콜 키드만을 캐스팅하며 화려하게 할리우드에 입성한 박찬욱 감독과 같은 경우만 봐도 확연히 알 수 있다. 이러한 한국 영화의 위상은 결코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았다. 『식민적 근대성과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61] 한국 근대 극장예술과 취미 담론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새 창에서 열기
문경연 저
|
소명출판
이 책의 저자 문경연 교수는 이 책을 통해 근대 한국의 취미(趣味)는 서구ㆍ일본의 영향과 국내적 배경 맥락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 조선에서는 이미 일본의 식민화가 추진되며 진행된 다양한 식민지 통치전략을 통해, 식민지 조선을 문명화하려는 일본의 취미사상이 한국에 유입된 것이다. 이 책은 1900년대에 등장한 낯선 기표, 취미(趣味)의 구체적인 용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63] 근대 대중가요의 매체와 문화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새 창에서 열기
장유정 저
|
소명출판
이 책은 매체, 산업, 도시, 연예인이라는 핵심어를 중심으로 근대 대중가요의 구체적인 모습을 그리고 있다. 유성기 음반의 제한된 재생 시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노래를 찾는 과정 속에서 본격적인 의미의 대중가요가 형성되었으며, 유성기 음반과 라디오 방송을 통해 이 시기 가수들의 노래가 단시간 내에 광범위한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이른바 대중스타가 출현하게 되었다 ...
철학
32 건
더보기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38] 요가수트라 주석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비야사 외 저
|
소명출판
요가 철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요가수트라를 이해해야 하고, 요가수트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을 이해해야 하며, 을 이해하려면 다시 의 주석을 참고해야만 한다. 을 해설한 후대의 대가들 사이에서도 원저자의 생각을 저마다 다르게 파악한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이들의 견해를 선택하거나 취합하여 원저자의 생각을 엮어 볼 수 있다. 이 책은 이와 같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09] 신황정통기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기타바타케 지카후사 외 저
|
소명출판
『신황정통기』를 지탱하는 정치이념의 근간은 유교의 덕치사상이다. 지카후사는 역사에 가탁하여 정도론을 전개하고 있다. 역사상의 선례, 구체적으로는 위정자에 대한 비판을 통해 현실 정치에 도움이 되게 하고 있으며 그 비판의 근거는 바로 덕정 이념이다. 역사적 사건 자체의 이해나 시대의 변화보다는 인물에 대한 도덕적 평가 즉 ‘포폄褒貶’을 통한 ‘감계鑑戒’에 힘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10] 삼론현의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길장 외 저
|
소명출판
『삼론현의』는 지난날 중국, 한국, 일본에서 흥기한 삼론종(三論宗) , 또는 삼론학의 불교개론서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불교입문서이다.『삼론현의(三論玄義)』는 중국의 수(隋)와 당(唐) 시대에 활약한 삼론종(三論宗)의 불교학자 길장(吉藏, 549~623)이 저술한 것이다. 삼론이란 인도의 대승불교 중관학(中觀學)의 시조 용수(龍樹)가 저술한 『중론(中論)』, ...
사회과학
6 건
더보기
[근대문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임향란 외 저
|
소명출판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이웃한 나라로서, 역사적으로 문화적 교류가 빈번했던 만큼 서로 주고받은 영향도 많았다. 언어적인 측면에서도 중국은 고래로부터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깊어 『계림유사』 나 『조선관역어』 등 체계적으로 한국어 자료들을 수집하여 그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도 중국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를 짐 ...
[근대문학] 근대 학부 편찬 수신서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박병기 저
|
소명출판
조선(朝鮮)이라는 성리학을 이념으로 삼은 도덕 공동체이자 정치 공동체가 붕괴한 자리를 대체한 입헌군주국인 대한제국(大韓帝國)은 고종 황제의 초라한 위상으로 상징되는 가련한 운명 속에 놓여 있었다. 그 운명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대처하고자 했던 당시 지식인들은 면암 최익현과 외세를 등에 업은 혁명가 고균 김옥균으로 상징되는 다양한 실천적 대안을 내놓았 ...
[동아시아 중국] 현대 중국여성의 삶을 찾아서 : 국가 · 젠더 · 문화
|
동아시아 중국
새 창에서 열기
김미란 저
|
소명출판
사회주의 체제와 시장주의적 개혁을 각기 30년씩 경험한 중국 사회에서 여성의 삶은 동아시아 각국이 경험한 자본주의적 근대화와 구별되는 독특한 측면이 있었다. 그와 동시에 냉전과 탈냉전이라는 적대적 공존 속에서 인접국가에 영향을 주고 받으며 21세기에 이르렀다. 중국 여성 자체의 ‘해방’적 측면을 중국적 맥락에서 검토한다는 일차적인 목적과 함께 씌여진 이 책 ...
자연과학
3 건
더보기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039]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 : 상관적 우주론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부정의 역사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존 헨더슨 외 저
|
소명출판
20년 전 나의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 이 처음 출간된 이후 중국 우주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그러한 최근의 연구성과들은 전근대 중국의 우주론,특히 고대의 우주론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더욱 풍부하고 깊게 해주었다.그러나 1984년 이 책의 영문판이 처음 나온 이후 아직까지는 고대부터 청대에 이르는 전 시대에 걸친 중국 우주론의 역사를 종합 ...
서운관지(書雲觀志)
새 창에서 열기
성주덕 편저,이면우 역주,허윤섭 역주,박권수 역주
|
소명출판
『서운관지』는 조선시대 관상감에 관한 여러 사실들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기록해 놓은 관상감의 관서지(官署志)입니다. 관상감은 18세기, 특히 영ㆍ정조 시기 동안의 여러 가지 진흥책에 힘입어 양란 이후의 어려운 상황을 벗어나 면모를 일신해 가고 있었는데, 19세기 초에 편찬된 『서운관지』는 그런 조치들의 성과가 낳은 융성한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서운관지 ...
#조선시대사
산학계몽(算學啓蒙)
새 창에서 열기
주세걸 저,허민 역
|
소명출판
『산학계몽(算學啓蒙)』의 정확한 이름은 『신편산학계몽(新編算學啓蒙)』으로 중국 원나라 주세걸이 1299년에 발간한 저술입니다. 본문은 상중하 3권, 20문 259문제로 이루어져 있는데 2·3차방정식 등 수학의 다양한 면과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단순한 내용에서 복잡한 내용으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구조로 계몽 과 입문 을 위한 매우 훌륭한 교과서로 ...
#중국사
문화
13 건
더보기
[근대문학] 한국의 이야기판 문화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김유정기념사업회 저
|
소명출판
이야기판의 붕괴는 문화사의 거대한 흐름이다. 그것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는 없다. 발터 벤야민은 근대소설이 융성하기 시작하면서 이야기판이 쇠퇴해가는 상황을 면밀하게 검토한 바 있다. 인류의 문화사에서 구술문화가 문자문화로 바뀌면서 이야기판이 소설로 바뀐 것이다. 즉 근대소설의 발달이 이야기 쇠퇴의 분기점이 된 것이다.그런데 구술문화는 인간과 인간을 결집시키 ...
#한국근현대문학
#문학이론
[근대문학] (영어학자의 눈에 비친) 한국어의 힘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김미경 저
|
소명출판
언어제국주의와 영어 헤게모니를 극복하고 세계화로 5년 전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한글〉을 펴내 주목을 받았던 김미경 교수가 이번에는 언어로서의 ‘한국어’를 중심에 두고 한국어의 시대별 역할과 고유한 힘에 주목하여 한국인의 언어생활을 총체적으로 진단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한국어에 대한 오해 | 많은 사람들이 한국어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오해는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11] 대비로자나성불경소 1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김영덕 저
|
소명출판
불교가 모든 종교와 여러 사상 중의 꽃이라면, 밀교는 그 꽃의 열매격이 된다. [대일경]은 그러한 밀교의 중심이 되는 교학을 담고 있다. [대일경소]는 이 경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풀이한 것인데, [대일경]의 사상을 재조직하여 발전시켜 중국 밀교의 성립에 커다란 역할을 했다. 그러므로 밀교를 알고자 하는 사람은 물론, 불교의 진수를 맛보려는 자라면 반드시 ...
인물전집∙사전
1 건
더보기
임화문학예술전집
새 창에서 열기
임화 지음,임화문학예술전집 편찬위원회 편저
|
소명출판
『임화문학예술전집』은 일제 치하, 해방 후, 한국전쟁 등 근대 시기에 걸쳐 남북한을 통틀어 가장 핍박받았고, 근대문학사 100년에 단연 돋보이는 문학사이자 시인, 평론가, 연극연출가 등으로 다재다능한 활동을 펼친 월북작가 임화(1908∼1953)의 작품과 관련 자료를 집대성한 대작이다.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많은 자료들을 수합하여 현대어로 고치고, 주해작 ...
#동양근현대문학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24 건
근현대
(9)
역사일반
(5)
조선시대
(3)
중국사
(6)
통사
(1)
문학
341 건
가사
(2)
문집
(6)
문학일반
(305)
소설
(12)
시
(11)
에세이
(3)
희곡
(2)
예술
20 건
미술
(1)
예술일반
(15)
음악
(4)
철학
32 건
서양철학
(1)
중국철학
(23)
철학일반
(6)
한국철학
(2)
사회과학
6 건
법학
(1)
사회과학일반
(5)
자연과학
3 건
자연과학일반
(1)
천문학
(2)
문화
13 건
민속
(1)
언어
(6)
종교
(6)
인물전집∙사전
1 건
인물전집
(1)
TOP